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3. 위장관출혈
4. 참고문헌
2. 문헌고찰
3. 위장관출혈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N/S 500cc bottle에서 약 150 내지 200cc 만 남긴 정도로 하며 lubrication에 유의하여야 한다. S-B tube는 48시간 까지 사용 할 수 있으며, 지속하여 사용시는 esophageal laceration 등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4) 수술
: Portocaval or distal splenorenal shunt를 시행하면 95%의 환자에서 정맥류출혈을 조절한다. 하지만 수술에 따른 치사율이 높고, 수술 후 상당수에서 간성혼수가 나타난다.
5) Transjugular intrahepatic portosystemic shunt(TIPS)는 수술적 션트에 해당 하는 방사선시술이다. 방법은 간정맥과 문맥사이에 금속성 스텐트를 삽입하는 것이다.
6) Propranolol과 nadolol은 충분한 용량을 사용해서 휴식시 심박수를 25% 감소시키면, 전체 생존율은 줄이지 못하나, 대정맥류 환자의 정맥류출혈이나 반복적 출혈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다.
3. Mallory-Weiss 파열
: 위식도접합부위에서의 점막파열이다. 대부분의 환자에서는 대개 출혈이 저절로 멎으며, 출혈이 재발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4. 스트레스성 궤양
: 중환자실 환자의 흔한 위장관출혈 원인이다. 위험도가 높은 환자로는 두부손상, 화상, 주요손상, 쇽, 패혈증, 호흡부전, 응고장애와 집중치료를 요하는 중추신경계질환이 있다.
위험성이 있는 모든 환자에서 예방적인 치료를 시행한다.
5. 혈관이형성(Angiodysplasia)
: 위장이나 소장에 발생하며 대량출혈을 일으키기도 한다. 진행성 출혈병소는 치료적 내시경으로 조치한다. Estrogen과 progesterone을 병용하면 출혈횟수와 수혈 요구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수혈시 간호
1. 수혈의 목적
· 질병이나 손상으로 인해 손실된 순환 혈액량을 보충하기 위함
· 부족된 혈액 인자를 보충하여 혈액을 교정해주기 위함
· 혈액 응고 인자를 보충하기 위함
2. 수혈 부작용과 치료
①용혈반응 : 오한, 열, 두통, 요통, 핍뇨, 황달, 호흡곤란, 청색증, 흉통, 빈맥, 저혈압
· 수혈 후 10분동안 환자를 자세히 관찰한다.
· 반응이 나타나면 즉시 수혈을 중단한다.
· 환자의 증상과 활력 징후를 의사에게 알린다.
· 공혈자의 혈액을 검사실로 돌려 보내고 수혈자의 혈액을 다시 검사한다.
· 신기능 정도를 사정하기 위해 수분섭취량 및 배설량을 기록한다.
· 5% D/W나 식염수로 정맥 주입을 유지한다.
②열성반응 : 열, 떨림, 오한, 피부홍조, 두통, 요통, 오심, 토혈, 설사, red shock,
착란 또는 섬망
· 경한 반응시에는 수혈 첫 30분동안 자세히 관찰한다.
· 심한 반응시 수혈을 중지하고 식염수나 5% D/W로 정맥 주입을 유지
· 30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③알레르기 반응 : 두드러기, 때때로 천식음, 관절통, 전신가려움증, 비충혈, 기관지경련, 심한 호흡곤란, 순환허탈, 담마진(ulticadia), 발진, 소양증, 드물게 천식, 페수종, 안면이나 성문 부종, anaphylaxis
· 경한 반응시 천천히 수혈하고 의사의 처방에 따라 처치를 수행한다.
· 심한 반응시 즉시 수혈을 중지하고 의사에게 알린 뒤 정맥 주입을 유지하며 자주 활력 징후를 측정한다.
▷ 수혈중단 항히스타민제 투여
④순환 과부담 : 호흡곤란, 두통, 발열, 오한, 급성 심부전
· 사지에 토니켓을 묶어 순환 혈량을 일시적으로 감소시켜준다.
· 교대로 토니켓을 풀어준다.
· 답답함을 호소하면 수혈을 중지한다.
⑤ 발열반응: 주입시작 후 1시간 정도에서 열이 나고 오한, 두통, 안면홍조, 빈맥, 전신권태감등의 증상 (8~10시간 동안 지속)
▷ 수혈중단, 처방에 따라 해열제 투여
⑥ 세균성반응: 오한, 열, 저혈압, 건조하고 홍조된 피부, 복부와 사지의 동통 구토 및 혈액이 섞인 설사,
▷ 수혈중단, 처방에 따라 광범위 항생제 투여
⑦ 공기 색전증: 청색증, 호흡곤란, 쇽, 심정지
▷ 수혈중단, 대상자의 머리를 낮추고 왼쪽으로 눕힌다. (공기가 폐 쪽으로 서서히 나가도록 공기를 우심방으로 모은다)
3. 수혈방법
· 준비물 : 처방된 혈액, 혈액 투여 세트, 알코올 솜, 반창고, 18G needle, IV pole대
· 환자에게서 서약서를 받고 수혈전 환자상태(V/S, 알레르기 반응, 수혈 부작용, 수혈과 관 련된 검사상 수치)를 파악한다.
· 환자에게 수혈 절차와 목적을 설명한다.
· 수혈하려는 혈액에 환자의 이름, 차트 번호, 혈액형, Rh 그룹, 혈액 제공자 번호 및 혈액 만기 날짜를 점검하고 다른 간호사와 함께 서명한다.
· 세트를 준비하여 환자에게 간 후 환자의 이름과 혈액형을 다시 확인한다.
· 작은 바늘은 적혈구 용혈반응을 초래하므로 18G이상의 바늘로 정맥을 천자한다.
· 첫 15분간은 천천히 주입하며 환자의 반응을 확인한다.
· 수혈 전 활력징후, 혈액형, 점적 속도, 바늘의 크기, 수혈 시작 시간 등을 기록한다.
4. 수혈 부작용과 수혈시 주의사항
1)수혈시 주의사항
· 대개의 수혈은 실온 방치시에 혈액의 온도상승과 관련되어 감염과 혈액성분의 파괴위험 성으로 인하여 4시간 안에 실시한다.
· 수혈전용 set를 사용한다. (혈소판을 위한 set는 filter가 없다.)
· 0.9%의 생리식염수외에는 혈액제제와 같이 사용해서는 안된다.
(D/W는 용혈을 일으키고 ca을 포함하고 있는 용액은 set내에서 Clot을 형성할 수 있음)
·수혈도중 side로 투약해서는 안된다.
·수혈의 부작용은 대부분 수혈 처음 15분 동안 나타나므로 이 시간에는 매우 천천히 혈액 을 주입하며 수혈로 인한 부작용의 유무를 관찰한다.
참고문헌
1. 2006년도, 건강사정, 정담미디어, 242~245
2. 최신 기본간호학(상)(하), 현문사
3. 이향련외 7인(2007), 성인 간호학(Ⅰ), 수문사,350~351 4. http://www.daehang.com/
5. http://www.druginfo.co.kr/
6. http://www.kimsonline.co.kr/
7. http://www.naver.com/
4) 수술
: Portocaval or distal splenorenal shunt를 시행하면 95%의 환자에서 정맥류출혈을 조절한다. 하지만 수술에 따른 치사율이 높고, 수술 후 상당수에서 간성혼수가 나타난다.
5) Transjugular intrahepatic portosystemic shunt(TIPS)는 수술적 션트에 해당 하는 방사선시술이다. 방법은 간정맥과 문맥사이에 금속성 스텐트를 삽입하는 것이다.
6) Propranolol과 nadolol은 충분한 용량을 사용해서 휴식시 심박수를 25% 감소시키면, 전체 생존율은 줄이지 못하나, 대정맥류 환자의 정맥류출혈이나 반복적 출혈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다.
3. Mallory-Weiss 파열
: 위식도접합부위에서의 점막파열이다. 대부분의 환자에서는 대개 출혈이 저절로 멎으며, 출혈이 재발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4. 스트레스성 궤양
: 중환자실 환자의 흔한 위장관출혈 원인이다. 위험도가 높은 환자로는 두부손상, 화상, 주요손상, 쇽, 패혈증, 호흡부전, 응고장애와 집중치료를 요하는 중추신경계질환이 있다.
위험성이 있는 모든 환자에서 예방적인 치료를 시행한다.
5. 혈관이형성(Angiodysplasia)
: 위장이나 소장에 발생하며 대량출혈을 일으키기도 한다. 진행성 출혈병소는 치료적 내시경으로 조치한다. Estrogen과 progesterone을 병용하면 출혈횟수와 수혈 요구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수혈시 간호
1. 수혈의 목적
· 질병이나 손상으로 인해 손실된 순환 혈액량을 보충하기 위함
· 부족된 혈액 인자를 보충하여 혈액을 교정해주기 위함
· 혈액 응고 인자를 보충하기 위함
2. 수혈 부작용과 치료
①용혈반응 : 오한, 열, 두통, 요통, 핍뇨, 황달, 호흡곤란, 청색증, 흉통, 빈맥, 저혈압
· 수혈 후 10분동안 환자를 자세히 관찰한다.
· 반응이 나타나면 즉시 수혈을 중단한다.
· 환자의 증상과 활력 징후를 의사에게 알린다.
· 공혈자의 혈액을 검사실로 돌려 보내고 수혈자의 혈액을 다시 검사한다.
· 신기능 정도를 사정하기 위해 수분섭취량 및 배설량을 기록한다.
· 5% D/W나 식염수로 정맥 주입을 유지한다.
②열성반응 : 열, 떨림, 오한, 피부홍조, 두통, 요통, 오심, 토혈, 설사, red shock,
착란 또는 섬망
· 경한 반응시에는 수혈 첫 30분동안 자세히 관찰한다.
· 심한 반응시 수혈을 중지하고 식염수나 5% D/W로 정맥 주입을 유지
· 30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③알레르기 반응 : 두드러기, 때때로 천식음, 관절통, 전신가려움증, 비충혈, 기관지경련, 심한 호흡곤란, 순환허탈, 담마진(ulticadia), 발진, 소양증, 드물게 천식, 페수종, 안면이나 성문 부종, anaphylaxis
· 경한 반응시 천천히 수혈하고 의사의 처방에 따라 처치를 수행한다.
· 심한 반응시 즉시 수혈을 중지하고 의사에게 알린 뒤 정맥 주입을 유지하며 자주 활력 징후를 측정한다.
▷ 수혈중단 항히스타민제 투여
④순환 과부담 : 호흡곤란, 두통, 발열, 오한, 급성 심부전
· 사지에 토니켓을 묶어 순환 혈량을 일시적으로 감소시켜준다.
· 교대로 토니켓을 풀어준다.
· 답답함을 호소하면 수혈을 중지한다.
⑤ 발열반응: 주입시작 후 1시간 정도에서 열이 나고 오한, 두통, 안면홍조, 빈맥, 전신권태감등의 증상 (8~10시간 동안 지속)
▷ 수혈중단, 처방에 따라 해열제 투여
⑥ 세균성반응: 오한, 열, 저혈압, 건조하고 홍조된 피부, 복부와 사지의 동통 구토 및 혈액이 섞인 설사,
▷ 수혈중단, 처방에 따라 광범위 항생제 투여
⑦ 공기 색전증: 청색증, 호흡곤란, 쇽, 심정지
▷ 수혈중단, 대상자의 머리를 낮추고 왼쪽으로 눕힌다. (공기가 폐 쪽으로 서서히 나가도록 공기를 우심방으로 모은다)
3. 수혈방법
· 준비물 : 처방된 혈액, 혈액 투여 세트, 알코올 솜, 반창고, 18G needle, IV pole대
· 환자에게서 서약서를 받고 수혈전 환자상태(V/S, 알레르기 반응, 수혈 부작용, 수혈과 관 련된 검사상 수치)를 파악한다.
· 환자에게 수혈 절차와 목적을 설명한다.
· 수혈하려는 혈액에 환자의 이름, 차트 번호, 혈액형, Rh 그룹, 혈액 제공자 번호 및 혈액 만기 날짜를 점검하고 다른 간호사와 함께 서명한다.
· 세트를 준비하여 환자에게 간 후 환자의 이름과 혈액형을 다시 확인한다.
· 작은 바늘은 적혈구 용혈반응을 초래하므로 18G이상의 바늘로 정맥을 천자한다.
· 첫 15분간은 천천히 주입하며 환자의 반응을 확인한다.
· 수혈 전 활력징후, 혈액형, 점적 속도, 바늘의 크기, 수혈 시작 시간 등을 기록한다.
4. 수혈 부작용과 수혈시 주의사항
1)수혈시 주의사항
· 대개의 수혈은 실온 방치시에 혈액의 온도상승과 관련되어 감염과 혈액성분의 파괴위험 성으로 인하여 4시간 안에 실시한다.
· 수혈전용 set를 사용한다. (혈소판을 위한 set는 filter가 없다.)
· 0.9%의 생리식염수외에는 혈액제제와 같이 사용해서는 안된다.
(D/W는 용혈을 일으키고 ca을 포함하고 있는 용액은 set내에서 Clot을 형성할 수 있음)
·수혈도중 side로 투약해서는 안된다.
·수혈의 부작용은 대부분 수혈 처음 15분 동안 나타나므로 이 시간에는 매우 천천히 혈액 을 주입하며 수혈로 인한 부작용의 유무를 관찰한다.
참고문헌
1. 2006년도, 건강사정, 정담미디어, 242~245
2. 최신 기본간호학(상)(하), 현문사
3. 이향련외 7인(2007), 성인 간호학(Ⅰ), 수문사,350~351 4. http://www.daehang.com/
5. http://www.druginfo.co.kr/
6. http://www.kimsonline.co.kr/
7. http://www.naver.com/
추천자료
ICH 환자의 간호과정 사례연구 보고서
응급간호 지침서
ICH환자의 간호과정 사례연구 보고서
신경과 신경외과 간호 실습 case study
간호사가 알고있어야할 응급실에서 시행되는 처치와 필요한 약물
성인간호학 실습 ICH (Intracerebral Hemorrhage) 케이스 스터디
Liver cirrhosis 환자 case study 간호진단
[케이스스터디][세기관지염][만성신부전]세기관지염 케이스스터디(CaseStudy), 만성신부전 케...
성인간호학) 눈의 외상성 장애와 간호
성인간호 ICU case study- SAH(A+ 칭찬받은자료)
성인 간호, case study, 식도정맥류 (esophageal varix)
위 세척(gastric lavage, gastric irrigation) 간호
[간호학] 월경장애 disorders of menstruation
[성인간호학실습A+]울혈성 심부전 case, 성인간호학 실습 case, congestive heart failur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