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즈&힙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즈&힙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재즈 댄스(JAZZ DANCE)에 대하여..>

<재즈 댄스를 제외한 춤 한가지에 대해서-힙합(HIP HOP)>

본문내용

oul dance>
매우 섹스어필한 춤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재즈 댄스와 많이 혼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 춤은 Rap Dancea의 영원한 동반자이며, Soul Train이라는 흑인전문방송에서 여성흑인 언더 댄서들이 대체로 보여주는 춤이며, 여성에게 참으로 매력적인 춤이다.
물론 남성이 여성춤을 잘 소화 해내면 여성보다 더 아름답다고 생각한다. 미흑인댄스 뮤직비디오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춤이며, Body Line에 있어 매우 곡선적인 특징이 있다.
<로보트(로보)>
로보 동작은 쉽게 말해서 로보트의 움직임을 표현하는 동작으로 스트리트 댄스의 한 장르로 마임과 적절히 혼합되어 감정 및 로보트의 움직임을 표현하는 동작으로 일렉트로 사운드에 잘 어울리는 동작으로 팝핀댄스의 한 요소로서 자주 등장하는 기술로서 동작의 움직임과 고정을 정확히 표현하며 머리속에서 기계적인 움직임을 상상하며 느낌과 동작이 일치하도록 하는데 그 중요성이 있으며 캐릭터의 표현에 있어서도 자유롭게 다양화할 수 있는 춤이다.
<비보잉(b-boying)>
말 그대로 브레이크를 추는 것을 뜻하는데, 이는 뉴욕에 있는 Bronx라는 마을의 뒷골목 길거리축제에서 DJ Kool Herc에 의해 브레이킹 비트가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B-boying의 형태가 갖추어지기 시작했다. 초기의 브레이킹은 브룩클린 락이라 불리던 업락에 프리즈 위주의 스타일 무브였다. 여기에 일렉트릭부기의 여러 동작, 그리고 아프리카 댄스, 동양무술(쿵후)의 여러 동작 등 많은 요소가 첨가되어 오늘날의 브레이킹과 같은 스타일을 창조하게 되었다.
<팝핀 또는 팝핑(popin)>
로보트춤, 각기춤이라고도 불리는 팝핑은 60년대초 'Lost in space'라는 TV쇼에서 LA의 한 흑인아이가 나와 로봇처럼 움직이는 것을 시초로 Robots란 장르가 탄생하였고 퍼지기 시작했다. 그 이후 다른 장르로 발전을 거듭하다 Boogaloo에 의해 팝핑이라는 장르로 정착하게 된 것이다. 이 춤은 B-boy들이 기술을 하기 전에 하는 동작에서 발전된 것으로 몸의 마디와 관절을 딱딱하게 끊듯이 하는 동작을 말한다.
<락킹>
1969년 LA street dancer들 사이에 알려지게 된 Don Cambell 이라는 흑인 청년이 Hydraulic robotic이란 장르에 Tap-flash라는 장르를 섞어 Campbellock 이라는 춤을 만들었으며 이 춤을 추는 사람들을 Campbellocking이라 칭하였다. 그리고 그 캠벨락킹이라는 말이 줄어 락킹으로 불리워지게 된 것이다. 이 춤은 몸의 동작이 통제밖에 있다가 튕겨서 통제 가능한 상태로 돌아오고, 무너졌다가 다시 돌아오는 듯한 느낌으로, 주로 휘감아 올리는 동작이 주류를 이룬다.
<힙합>
B-boying과 Newschool hiphop을 모두 통틀어 힙합이라 일컫는다. 하지만 B-boying과 뉴스쿨힙합의 시작은 좀 다르다. 1986년 흑인랩퍼들의 단순한 움직임에 Robocop, Roger rabbit, Running man, Wap같은 인기 있는 스텝들을 표현하며 시초가 되었다. 뉴스쿨힙합은 reggae, locking, 70년대의 솔 트레인 스텝 등을 가미하면서 점점 더 복잡하게 발전해 나아갔으며, 레벨과 형태 등의 많은 차이를 보이면서 그 장르를 구분하기가 정말 어려워졌다. 힙합은 리듬, 웨이브, 스텝 위주의 동작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스>
뉴욕시의 가장 뛰어난 하우스 댄서중의 하나로 꼽히는 Ejoe Wilson에 의하면 하우스 댄스는 1988년 무렵부터 나타난 것으로 보여 진다. 힙합에 비견되는 하우스 댄스의 주요한 특징을 꼽는다면 그 스타일의 자유분방함을 들 수 있다. 재즈와 탭댄스의 영향을 많이 받아 댄서의 창조적인 동작을 음악의 비트에 맞춰 제어한다는 의미로 외형적으로는 보다 화려하고 복잡한 발동작을 보여준다. 최근에는 Capoeira 동작이 많이 접목되고 있다.
<뉴잭스윙>
1980년대 후반기에 들어서 뉴잭스윙(New Jack Swing)이라는 새로운 스타일의 음악이 시도되었다. 힙합을 즐기면서 자라온 세대들에겐 이 스타일의 음악이 크게 어필했으며 케이스 스웨트(Keith Sweat)와 테디 라일리(Teddy Riley)가 뉴잭스윙을 크게 융성하게 한 장본인들이다. 이러한 뉴잭스윙은 기존의 리듬앤블루스에 힙합을 도입하여 느린 템포의 노래에서도 흥겨움을 주는 노래에 맞춰 추는 춤이다. 흑인 여성들이 주로 추는 스타일이었으며 일본에서는 Street dance 라고도 칭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6.04
  • 저작시기200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23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