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증주의철학과 실존주의철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증주의철학과 실존주의철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증주의(實證主義, positivism)
1) 실증주의(實證主義, positivism)란?
2) 실증주의(實證主義, positivism)철학의 형성 배경

2. 실존주의(實存主義, existentialism)
1) 실존주의(實存主義, existentialism)란?
2) 실존주의(實存主義, existentialism)철학의 형성 배경

3. 실증주의(實證主義, positivism)와 실존주의(實存主義, existentialism)
1) 실증주의(實證主義, positivism)
- 논리실증주의(論理實證主義, logical positivism)
- 합리주의(合理主義, rationalism)
- 콩트(1798 ~ 1857, Comte)
- 행동주의(behaviorism , 行動主義)

2) 실존주의(實存主義, existentialism)
- 실존주의와 마르크시즘(Marxism)
- 니체(1844 ~ 1900, Nietzsche)
- 마틴 하이데거(1889 ~ 1976, Martin Heidegger)
- 키에르케고르(1813 ~ 1855, Soren Aabye Kierkegaard)
- 장 폴 샤르트르(1905 ~ 1980, Jean Paul Charles Aymard Sartre)
- 마르틴 부버(Martin Buber, 1878.2.8 ~ 1965)

3) 실증주의(實證主義, positivism)와 실존주의(實存主義, existentialism)철학의 비교

4. 교육학적인 관점에서의 실증주의 철학과 실존주의 철학에 대한 분석

본문내용

불변적인 존재
- 경험적으로 관찰된 것에 대해 가설을 세우고 이것이 증명되어야 참된 진리이며 지식
- 학습자에게 있어서 교사는 불변의 진리를 가르치는 획일화된 교수자
반면에, 실존주의에 있어서 같은 맥락과 사상을 지니는 교육학자들은 학습자들이 개개인의 가치를 중시 여기고 교육내용과 지식, 진리들은 자아를 인지하기 위한 내용이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과학이나 수학과 같이 정확하게 풀이되는 증명되는 자연과학보다는 인간적인 세계에 관련한 인문학을 중시하였다. 그리고 획일화된 교사의 역할을 주장했던 기존과는 달리, 교사란 학습자의 자유와 독창성, 그리고 창의성을 고양시키는 데에 목적이 있다고 하였다.
● 실존주의 교육원리
- 개인의 중요성 강조
- 사회적 적합성(사회적 선발체제)에 대해 반발
- 전인교육과 인성교육 중시
- 개인의 자유는 절대적이고 필수적인 것이며, 도덕적 가치는 외부로부터 강요받아서는 안 된다고 주장
- 초인 사상(Wille zur Macht und Ubermensch) : 대표적인 실존주의학자인 니체가 주장한 사상으로 '초인'이란 일반적으로 인간의 불완전성이나 제한을 극복한 이상적 인간(理想的人間)을 말한다.
- 허무주의(Nihilism) : 니체가 초인이론과 함께 주장하였던 사상으로, 니힐리즘이라고도 하며 절대적인 진리, 도덕 혹은 가치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주장.
- 망치의 철학자 : 파격적인 사상을 가지고 이성과 과학으로 통용되는 근대성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모든 철학과 학문을 뒤엎었던 실존주의 철학자인 니체를 두고 하는 말이다.
- 현존재(dasein) : 인간, 실존(존재)를 두고 하는 말이다. 유신론자와 무신론자 사이에서 용어가 다르게 정의되긴 하지만, 그 자체의 '존재'를 가리키는 철학용어이다.
- 유신론적 실존주의자(Existentialist of Theism) : 신이 존재하고 실존의 주체가 신이라고 믿는 실존주의 철학자들을 일컬어 하는 말.
- 무신론적 실존주의자(Existentialist of Atheism) : 신의 실존을 부정하고 실존의 주체는 우리 인간이라고 주장했던 실존주의 철학자를 일컬어서 통용하는 말.
- 본질은 실존에 앞선다 : 전통의 형이상학적인 철학에 있어서 그리고 유신론자들에게 있어서 신은 인간의 꼭대기에 있는 절대적인 존재이므로 본질이라는 것은 절대자이다. 즉, 본질은 실존(인간의 주체적인 존재)에 앞선다는 것이다.
-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 : 무신론적 실존주의자(하이데거, 장 폴 샤르트르 등)들은 인간 존재에 대한 실존론적인 분석을 하였고 신은 없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즉, 인간의 주체적인 존재(실존)는 인간으로서 실존을 본질의 상위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 '나와 너'의 철학 : 김춘수의 "꽃"이라는 시가 있다. 그중에서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라는 어구가 있는데, 여기서 '그'는 나와 제3자와의 관계이다. 즉, '나 - 그' 의 관계는 단절되고 멀리 떨어진 관계이다. 하지만,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다는 것은 내가 나에게 있어 '그/그녀'로 해당되는 사람에게 당신(너)이라는 또 하나의 인격체로서 대우해 주는 것을 말한다. 그렇게 하게 되면 '너'라는 존재는 나에게 있어 '꽃(나에게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존재)'이 되는 것이다. 마르틴 부버는 이러한 '나와 너'의 철학을 통해, 현대인들의 물질적이고 삭막한 세상을 조금 더 인간적이고 휴머니즘적인 시각으로 바라볼 것을 권장하였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인물정보 - 네이버 백과사전 참고함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6.06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27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