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규의 『달을 먹다』에 대한 독후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김진규의 『달을 먹다』에 대한 독후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작가와 책
2.인물, 사건, 배경
1)인물
2)사건
3)배경
3.구성의 독특함
4.줄거리와 문체
1)줄거리
2)문체
5.인간 내면의 은밀한 욕망: 애틋함

본문내용

다 읽고 들었던 생각은 마치 한 편의 대하소설을 본 것 같은 기분이라는 거였다. 학창시절 즐겨 읽었던 조정래 작가의 대하소설들을 읽었을 때 느꼈던 것과 비슷한 느낌이었다. 아마도 이 소설 역시도 분량은 대하소설에 비해서 턱 없이 짧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대와 세대를 넘나드는 인연을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러한 인연을 이야기함으로써 작가가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일까? 앞서 말했지만, 세상에 존재하는 소설들을 작가가 독자에게 전달하려는 주장이 비교적 명확하게 담겨져 있는 소설과, 주장이라기보다는 작가의 머릿속에 있는 세계를 있는 그대로 보여주고자 하는 소설로 나눈다면 이 소설은 분명하게 후자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 속에서 무엇을 발견하고 또 느껴낼 것인가는 오롯이 독자의 몫으로 남겨지는 것일 게다.
그러한 맥락에서 내가 이 소설을 읽으면서 느꼈던 것은 인간의 내면에 본질적으로 박혀 있는 애틋함에 대한 공감의 능력 혹은 향수가 아닌가 생각된다. 그래서 작가는 그러한 인간의 본질을 인식하고는 독자가 이 책을 읽음으로써 자신의 내면에 있는 그러한 애틋함을 발견하고 독자와 이야기가 서로 공명을 이루는 것을 의도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다. 물론 작가가 명확하게 그러한 것을 의도했으리라 생각되지는 않는 일면도 있기는 하다.
아무튼 분명한 것은 인간이라는 존재를 가지고 있는 우리들은 그 마음속에 인연에 대한 애틋함을 어느 정도는 분명히 다 가지고 있으리라는 것이다. 아마도 그것은 사춘기 시절에 씨의 형태로 심어져서 인생의 어느 순간에 몇 번 씩이나 만개하는 꽃과도 같은 것이 아닐까.
-끝-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6.09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32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