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문제의 이론- 기능주의, 갈등주의,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교환주의이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노인문제의 이론

Ⅰ. 기능주의이론

Ⅱ. 갈등주의이론

Ⅲ.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이론

Ⅳ. 교환주의이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존적이고 쓸모없는 사람으로 볼 때
노인문제가 있다고 판단하며, 이러한 부정적인 의미 부여로 노인은 문제가
많은 사람이라고 인정된다. 이렇게 노인을 부정적인 면으로 이해함으로써
노인 스스로도 가정과 사회에서 고립되고 쓸모없는 존재로 낙인 적는다.
이러한 노인 스스로의 낙인은 노인을 더 무능하고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존
재로 만들게 된다(최일섭, 최성재, 2000). 따라서 노인문제의 원인은 사회적
낙인에 따라 행동하는 노인 개인에게도 있지만 일차적인 원인은 노인을 낙
인 찍는 사회의 일반적 인식이 잘못된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IV. 교환주의이론
교환주의이론은 개인이나 집단 칸의 상호작용을 당사자끼리 자원을 주
고받는 관계로 보고, 사회는 이러한 교환관계가 어떤 일정한 형태로 유형
화된 것으로 본다. 또한 당사자들의 권력이 대등하게 유지될수록 교환관계
는 계속되는 경향이 있고, 당사자들의 권력이 대등하지 못하면 대등한 관
계를 이루는 방향으로 움직이려는 경향이 있다(최일섭 , 최성재, 2000).
로소(Rosow, 1974)는 전통사회에서 산업사회로 변천함에 따라 노인의
재산소유 및 통제권의 약화, 노인 지식의 낙후, 노인의 생산성 약화, 도시
화와 핵가족에 따른 가족공동체적 유대성의 약화 등으로 노인의 교환자원
은 점차 약화되었다고 주장한다. 또한 다우드(Dowd, 1980)는 노인은 적은
자원을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젊은이와 상호작용할 때 상대적으로 권력의
열세에 처하게 마련이라고 말한다. 젊은이의 입장에서는 노인과의 지속적
인 상호작용에 비용이 드는 셈이다. 그 결과로 의도하든 의도하지 않든 노
인의 사회참여 횟수는 줄어들게 된다.
노인의 퇴직을 예로 들면, 퇴직은 노인의 상대적 무력감의 표시 이고, 퇴
직 후에는 사회와의 관계에서 노인이 가진 교환자원의 가치가 인정되지 않
는다. 따라서 사회는 일반적으로 노인을 사회 속에 다시 참여시키는 것을
원하지 않게 되어, 노인은 결국 사회적으로 고립되는 것이다.
* 참고문헌
- 백종만 외 공역(2006). 사회복지개론. 서울: 시그마프레스
- 김근홍, 박영란, 이정규(2006).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서울: 학현사
- 김종일, 엄명용, 최경구(2004). 사회문제론. 서울: 청목출판사
- 김만두(2006). 사회복지법제론. 서울: 홍익재
- 현외성(1992). 비교사회정책연구. 마산: 성은출판사
- 이용교(2006). 디지털사회복지개론. 서울: 인간과 복지

키워드

노인문제,   기능주의,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6.09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35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