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적혈구와 관련된 질환
1) 실혈로 인한 빈혈
2) 영양장애로 인한 빈혈
3) 적혈구 생산불량에 따른 빈혈
4) 용혈성 빈혈
5) 원발성 다혈구혈증
2. 백혈구와 관련된 질환
1) 과립구 감소증
2) 백혈병
3. 지혈, 혈소판, 응고장애
1)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2) 혈우병
3) 비타민 K 결핍증
4) 저프로트롬빈혈증
5) 산재성 혈관 내 응고증 (DIC)
4. 조혈기관장애
1) 다발성 골수종
2) 악성 림프종
3) 감염성 단핵구 증가증
1) 실혈로 인한 빈혈
2) 영양장애로 인한 빈혈
3) 적혈구 생산불량에 따른 빈혈
4) 용혈성 빈혈
5) 원발성 다혈구혈증
2. 백혈구와 관련된 질환
1) 과립구 감소증
2) 백혈병
3. 지혈, 혈소판, 응고장애
1)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2) 혈우병
3) 비타민 K 결핍증
4) 저프로트롬빈혈증
5) 산재성 혈관 내 응고증 (DIC)
4. 조혈기관장애
1) 다발성 골수종
2) 악성 림프종
3) 감염성 단핵구 증가증
본문내용
- 설사, 담도폐쇄로 인한 위장관계내의 담즙 결핍, 소장점막의 손상, 소장의 외과적 광
범위 절제, 간질환의 결과 등
증상
- 외상이나 질병에 의해 혈관 손상된 경우 출혈 시간 지연되는 것이며 점상출혈, 혈뇨,
위장관계 출혈, 수술 후 출혈 등
(1) Coumarin 제제 중독증
- coumarin 제제는 간에서 비타민 K 의 활동을 방해
치료
- 구강, 비경구로 비타민 K, 즉 sodium bisulfite, menadiol sodium diphosphate 투여
(2) 간질환
- 간은 Ⅳ응고인자를 제외한 모든 혈장단백 응고인자를 생산
- 비타민 K 결핍이 없는 상황에서 prothrombin time이 지연되면 심각한 간 손상을 의심
- PT, PTT 지연
치료
- 신선 동결혈장, 냉동침전제제, 혈소판 주입
5) 산재성 혈관 내 응고증 (DIC)
- 응고기전이 갑작스럽게 비정상적으로 자극되는 상태
- 단독으로 나타나지 않으며 세포를 손상시키는 다양한 급성 질환과 함께 나타남
증상
- 혈소판과 응고인자가 소모되어 출혈, 국소빈혈로 인한 조직의 손상, 적혈구 손상, 용
혈로 인한 쇼크 등
진단검사
- 임상증상과 혈액검사로 진단
- 혈소판수는 감소하고 PT와 PTT는 지연
- 섬유소원 수치는 감소하고 섬유소 분해산물 증가
치료와 간호
- 치료의 목적 : DIC의 유발 원인 제거, 출혈 조절
- 원인질환의 치료 : 패혈증, 악성종양, 태반 조기박리 등 유발질환 치료하면 증상 호전
- 응고물질의 투여 : 응고인자들이 포함된 동결침전제제, 신성냉동혈장, 혈소판 투여
- 약물요법 : 출혈을 조절할 수 없을 때 aminocaproic acid 투여
- 심리적 간호 : 환자, 가족이 효율적 대응할 수 있도록 적절한 교육과 심리적 지지 필요
4. 조혈기관장애
1) 다발성 골수종
- 혈장세포 골수종이라고도 부른다.
- 골수 내에 비정상적으로 혈장세포가 증식하는 악성 장애로서 비정상적인 면역글로불린의
생산이 촉진
원인
-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방사선과 유해한 화학물질에 노출되는 것이 위험요인, 유전
되는 것으로 추정
증상
- 잠재성, 전구기는 5~20년 정도 지속
- 뼈의 통증 : 움직일 때 심해지고 쉬면 완화
- 척수신경 압박 : 혈장세포가 척수강 내에 침윤되면 척수신경을 압박하여 마비 증상
- 골수 억제 증상 : 골수 성분은 혈장세포로 대치되어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모두감소
- 전신 증상 : 피로, 고혈압, 식욕부진, 구토, 오심, 체중감소, 혼돈, 체액 불균형
- 신부전 증상 : 면역글로불린 분자들이 신세뇨관 손상시켜 환자 1/2 정도가 신기능장애
진단검사
- 혈액 검사, X-선 검사, 소변검사, 골수생검 등을 시행
치료
- 완전한 치료법은 없다.
- 수년간 증상 조절하면서 생활
- 증상 완화 위해 조혈모세포 이식 하기도 함
- Allopurinol은 xanthine 산화제 형성을 억제하여 요산 형성을 감소(다발성 골수종에서
고요산혈증으로 인한 신장병 예방)
간호
- 통증조절 : 경한 통증 NSAIDs 사용(신장 기능장애 주의), 필요시 마약성 진통제 투여,
- 적절한 신장 기능 유지 : 고칼슘혈증, 고단백혈증, 고요산혈증으로 인한 신장 기능장애
- 골절 예방 : 걷는 운동 계속하면 순환 증진, 칼슘손실 느려져 뼈의 탈무기질화와 병리
적 골절 발생률 감소
- 감염 예방, 환자 교육, 빈혈 증상과 혈소판 감소증으로 인한 출혈 증상을 관찰, 관리
2) 악성 림프종
- 림프구의 비정상적인 증식으로 발병
- 림프종은 전신에 퍼져 있는 림프조직, 특히 림프절과 비장에서 림프구가 증식
(1) 호지킨병
- 비교적 드물며 치유율 높다.
원인
- 원인은 불명이나 20% 정도의 환자 Epstein - Barrr 바이러스 감염력
- 가족력, 화학물질 노출
증상
- 목의 한쪽 림프절이 통증없이 비대
- 결절은 단단하고 분리되어 있으며, 종창은 있으나 통증은 거의 없다.
- 전신 증상 (피로, 허약, 식욕부진, 발열, 야간 발한 등)
진단검사
- 림프절 생검으로 Reed-Sternberg 세포의 유무 검사
치료와 간호
- 1단계나 2단계인 경우 방사선 치료와 화학요법을 병행
- 방사선 치료 : 4~6주 동안 3,500~4,500 rad의 용량으로 치료받으면 완전히 또는 영
구적으로 치료될 수 있다.
- 약물 요법 : 생물학적 물질인 interferon을 여포형 림프종에 사용
(2) 비호지킨병
- Reed-Sternberg 세포를 가지고 있지 않아 호지킨병으로 분류할 수 없는 모든 악성 림프
종을 의미
- 초기에 결절 이외의 조직을 침범하고,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
원인
-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종양 억제 유전인자 기능 잃게 만드는 유전자 손상,
바이러스 감염, 자가면역질환, 방사선유해 화학물질 노출, 면역 억제 상태와 관련
증상
- 발열, 통증 없는 림프절 비대, 발한, 체중 감소, 피로, 소양증, 간과 비장 비대 등
진단검사
- 컴퓨터 단층촬영, 골수생검, 뇌척수액검사 등
치료와 간호
- 방사선 치료는 Ⅰ,Ⅱ 단계와 같이 병소가 국한되었을 때 실시
- 병소가 진행되어 확산 된 경우는 방사선 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을 병용
- Ⅲ,Ⅳ 단계의 림프종에는 항암화학요법 실시
예후
- 병소 국한된 Ⅰ,Ⅱ단계는 예후가 좋은 편, Ⅲ,Ⅳ단계도 점차 생존 기간 길어짐.
3) 감염성 단핵구 증가증
원인
- Epstein-Barr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질환
- 호발 연령 : 15~30세의 젊은 층
증상
- 권태감, 발열, 림프절 증대, 목의 통증, 두통, 유행성 감기 같은 전신적인 통증과 불
편감, 소양증, 발진, 간과 비장의 증대 등
진단검사
- Heterophil aggglutination 이나 monospot 혈액 검사
- 백혈구 수치 10,000~20,000/mm3
치료
- 대부분 몇 주간 휴식을 취하면 자연적으로 회복
- 비대된 비장 파열 될 수 있으므로 최소한 1개월간 혹은 비장 증대 회복될 때까지 무거
운 물건 들거나 과격한 운동 피하도록
- 수분 충분히 섭취
- 질병의 전파를 예방하도록 손을 잘 씻게 하고, 6개월간 헌혈은 하지 않도록
범위 절제, 간질환의 결과 등
증상
- 외상이나 질병에 의해 혈관 손상된 경우 출혈 시간 지연되는 것이며 점상출혈, 혈뇨,
위장관계 출혈, 수술 후 출혈 등
(1) Coumarin 제제 중독증
- coumarin 제제는 간에서 비타민 K 의 활동을 방해
치료
- 구강, 비경구로 비타민 K, 즉 sodium bisulfite, menadiol sodium diphosphate 투여
(2) 간질환
- 간은 Ⅳ응고인자를 제외한 모든 혈장단백 응고인자를 생산
- 비타민 K 결핍이 없는 상황에서 prothrombin time이 지연되면 심각한 간 손상을 의심
- PT, PTT 지연
치료
- 신선 동결혈장, 냉동침전제제, 혈소판 주입
5) 산재성 혈관 내 응고증 (DIC)
- 응고기전이 갑작스럽게 비정상적으로 자극되는 상태
- 단독으로 나타나지 않으며 세포를 손상시키는 다양한 급성 질환과 함께 나타남
증상
- 혈소판과 응고인자가 소모되어 출혈, 국소빈혈로 인한 조직의 손상, 적혈구 손상, 용
혈로 인한 쇼크 등
진단검사
- 임상증상과 혈액검사로 진단
- 혈소판수는 감소하고 PT와 PTT는 지연
- 섬유소원 수치는 감소하고 섬유소 분해산물 증가
치료와 간호
- 치료의 목적 : DIC의 유발 원인 제거, 출혈 조절
- 원인질환의 치료 : 패혈증, 악성종양, 태반 조기박리 등 유발질환 치료하면 증상 호전
- 응고물질의 투여 : 응고인자들이 포함된 동결침전제제, 신성냉동혈장, 혈소판 투여
- 약물요법 : 출혈을 조절할 수 없을 때 aminocaproic acid 투여
- 심리적 간호 : 환자, 가족이 효율적 대응할 수 있도록 적절한 교육과 심리적 지지 필요
4. 조혈기관장애
1) 다발성 골수종
- 혈장세포 골수종이라고도 부른다.
- 골수 내에 비정상적으로 혈장세포가 증식하는 악성 장애로서 비정상적인 면역글로불린의
생산이 촉진
원인
-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방사선과 유해한 화학물질에 노출되는 것이 위험요인, 유전
되는 것으로 추정
증상
- 잠재성, 전구기는 5~20년 정도 지속
- 뼈의 통증 : 움직일 때 심해지고 쉬면 완화
- 척수신경 압박 : 혈장세포가 척수강 내에 침윤되면 척수신경을 압박하여 마비 증상
- 골수 억제 증상 : 골수 성분은 혈장세포로 대치되어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모두감소
- 전신 증상 : 피로, 고혈압, 식욕부진, 구토, 오심, 체중감소, 혼돈, 체액 불균형
- 신부전 증상 : 면역글로불린 분자들이 신세뇨관 손상시켜 환자 1/2 정도가 신기능장애
진단검사
- 혈액 검사, X-선 검사, 소변검사, 골수생검 등을 시행
치료
- 완전한 치료법은 없다.
- 수년간 증상 조절하면서 생활
- 증상 완화 위해 조혈모세포 이식 하기도 함
- Allopurinol은 xanthine 산화제 형성을 억제하여 요산 형성을 감소(다발성 골수종에서
고요산혈증으로 인한 신장병 예방)
간호
- 통증조절 : 경한 통증 NSAIDs 사용(신장 기능장애 주의), 필요시 마약성 진통제 투여,
- 적절한 신장 기능 유지 : 고칼슘혈증, 고단백혈증, 고요산혈증으로 인한 신장 기능장애
- 골절 예방 : 걷는 운동 계속하면 순환 증진, 칼슘손실 느려져 뼈의 탈무기질화와 병리
적 골절 발생률 감소
- 감염 예방, 환자 교육, 빈혈 증상과 혈소판 감소증으로 인한 출혈 증상을 관찰, 관리
2) 악성 림프종
- 림프구의 비정상적인 증식으로 발병
- 림프종은 전신에 퍼져 있는 림프조직, 특히 림프절과 비장에서 림프구가 증식
(1) 호지킨병
- 비교적 드물며 치유율 높다.
원인
- 원인은 불명이나 20% 정도의 환자 Epstein - Barrr 바이러스 감염력
- 가족력, 화학물질 노출
증상
- 목의 한쪽 림프절이 통증없이 비대
- 결절은 단단하고 분리되어 있으며, 종창은 있으나 통증은 거의 없다.
- 전신 증상 (피로, 허약, 식욕부진, 발열, 야간 발한 등)
진단검사
- 림프절 생검으로 Reed-Sternberg 세포의 유무 검사
치료와 간호
- 1단계나 2단계인 경우 방사선 치료와 화학요법을 병행
- 방사선 치료 : 4~6주 동안 3,500~4,500 rad의 용량으로 치료받으면 완전히 또는 영
구적으로 치료될 수 있다.
- 약물 요법 : 생물학적 물질인 interferon을 여포형 림프종에 사용
(2) 비호지킨병
- Reed-Sternberg 세포를 가지고 있지 않아 호지킨병으로 분류할 수 없는 모든 악성 림프
종을 의미
- 초기에 결절 이외의 조직을 침범하고,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
원인
-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종양 억제 유전인자 기능 잃게 만드는 유전자 손상,
바이러스 감염, 자가면역질환, 방사선유해 화학물질 노출, 면역 억제 상태와 관련
증상
- 발열, 통증 없는 림프절 비대, 발한, 체중 감소, 피로, 소양증, 간과 비장 비대 등
진단검사
- 컴퓨터 단층촬영, 골수생검, 뇌척수액검사 등
치료와 간호
- 방사선 치료는 Ⅰ,Ⅱ 단계와 같이 병소가 국한되었을 때 실시
- 병소가 진행되어 확산 된 경우는 방사선 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을 병용
- Ⅲ,Ⅳ 단계의 림프종에는 항암화학요법 실시
예후
- 병소 국한된 Ⅰ,Ⅱ단계는 예후가 좋은 편, Ⅲ,Ⅳ단계도 점차 생존 기간 길어짐.
3) 감염성 단핵구 증가증
원인
- Epstein-Barr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질환
- 호발 연령 : 15~30세의 젊은 층
증상
- 권태감, 발열, 림프절 증대, 목의 통증, 두통, 유행성 감기 같은 전신적인 통증과 불
편감, 소양증, 발진, 간과 비장의 증대 등
진단검사
- Heterophil aggglutination 이나 monospot 혈액 검사
- 백혈구 수치 10,000~20,000/mm3
치료
- 대부분 몇 주간 휴식을 취하면 자연적으로 회복
- 비대된 비장 파열 될 수 있으므로 최소한 1개월간 혹은 비장 증대 회복될 때까지 무거
운 물건 들거나 과격한 운동 피하도록
- 수분 충분히 섭취
- 질병의 전파를 예방하도록 손을 잘 씻게 하고, 6개월간 헌혈은 하지 않도록
키워드
추천자료
성인간호학 CHF 케이스스터디 (울혈성 심부전)
성인간호학 - 고혈압
성인간호학 - 맥관계 건강문제와 간호
성인간호학 - 후천성 판막질환과 간호
성인간호학 실습- 갑상선암 케이스 ,Thyroid cancer ,간호사례연구
성인간호학 - 승모판협착증 문헌고찰
성인간호학 정리 (포타슘 potass, 칼슘과 인, 산-염기)
성인간호학, NICU CASE STUDY 경막하출혈
성인간호학 국가고시 대비 1주일전 이것만은 꼭 보자
성인간호학 4학년1학기 과제물
성인간호학 2018> 1. 암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관찰과 신체계측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
성인간호학] 1.영양지원방법의 유형, 적응증 및 장단점(장점 단점) 비교 설명, 영양지원방법 ...
성인간호학]1 영양지원 방법의 유형 적응증 및 장단점 간호중재방법-영양지원 영양지원방법 2...
성인간호학 폐암 c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