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성관절염PBL입니다. 사례를 제시한후 문제를 뽑아서 간호적용하는것입니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퇴행성관절염PBL입니다. 사례를 제시한후 문제를 뽑아서 간호적용하는것입니다.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인방법이다.손목이나발목관절의퇴행성관절염에대해서는경우에따라관절고정술이나자가조직을이용한관절성형술이고려되기도함
인공관절 치환술
- 목적 : 통증을 없애고 경화된 관절의 기능을 소생시켜 관절 운동 범위 유지하고, 기형을 교정하여 관절의 안정감을 유지하기 위함
- 수술 받아야 할 경우 :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외상 후 관절염, 화농성 관절염
, 이상의 질환 등
- 수술시기 : 중년층으로 질환이 심하게 진행되었거나관절 파괴가 경미할 때가 적절하다. 양측의 관절이 심히 이완된 경우에 한쪽에 인공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후 수술
한 고관절의 기능이 만족스러워진 다음 다른쪽 관절에 수술함
- 문제점 : 관절염 환자의 경우 골다공증이 심해짐
비골 내 측벽의 두께가 얇아지고 대퇴골이 약해짐
류마티스 관절염, 결핵이나 화농성인 경우 재감염의 가능성이 있음
인공관절 치환술 전 후 간호
1. 수술 전 간호
- 환자 교육 : 인공관절 치환술의 필요성과 수술후 과정에 서 대상자가 해야할 일들을 교육 :
대퇴 사두근 힘주기 운동이나 둔부근육 힘주기 운동 고관절 신전 및 외전 상태의 피요성을
교육하고 목발이나 보행기에 대한 설명과 걷는 동작을 알려줌: 12시간 NPO
- 신체적 준비
수술전 검사 : 혈액검사, EKG, chest P-A, PFT(pulmonary function test) , ABGA
피부준비 : 삭모
수술복착용 : 장신구, 속옷, 화장, 메니큐어 제거
배변
8시간 이상 금식: aspiration예방
항생제 정맥주사 : 감염 합병증 대비
- 정서적 지지
2. 수술직후 간호
- 자세 : 절대 침상 안정 &무릎상승
- v/s : 30분마다 2회 - 1시간마다 2회 - 4시간 마다 측정 오한. 떨림, 약하고 높은 혈압, 빠른 호흡 , 수술 후 3일 동안은 약간의 체온 상승 이 있을 수 있음
- OP wound 관찰 H/V 을 이용하여 상처의 배액을 돕는다. 첫 24시간 동안은 500ml가량 배액
- 신경혈관 상태 관찰 매 3~4시간 마다 CMT(carpometatarsal)수근 중간골간관절과 발의 맥박 관찰
- gas out시 까지 NPO하도록 교육
- 배뇨(Foley Cath Keep) urine output: cardiac output의 지표 24 ~ 48시간 동안 요분비
증가 될 수 있음
- pain control Baxter기능 확인
- 수술 후 항생제를 투여하여 감염을 예방 : antibiotics, antiacid, 진해거담제, 진통제
- 피부간호 supine p.을 유지하므로 3!4시간 마다 등 간호 시행 무릎부위의 피부 손상 및 신경 손상 증상관찰
- I&O 체크, 밸런스 유지
- 수술 후 하지의 혈전을 예방하기 위해 탄력 붕대를 감음
퇴행성관절염 합병증
- 이미 퇴행성 변화가 발생한 관절을 정상 관절로 복수 할 수는 없음
- 인공관절의수명이제한적이기때문에향후재치환술을필요로할수있음
- 수술과정에있어출혈이나감염등의합병증이발생할수있으므로전문의에의한세심
한진료후선택적으로실시되어야함
퇴행성관절염 예방
- 과체중의 경우 체중을 지탱하는 관절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체중을 조절하여 관절염의
발생과 위험을 줄이는 것이 중요
- 정상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체중에 부하되는 관절에 발생하는 퇴행성관절염의 예방에 필 수
- 무리한 동작의 반복, 좋지 않은 자세 등이 관절의 퇴행성 변화를 유발 하므로 주의
- 무리한 운동은 관절에 좋지 않지만, 적당한 운동으로 근육을 강화하고 관절 운동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관절염 예방 필수 요소
(무리한 운동은 관절에 손상 주므로, 전문가의 도움을 받도록 함)
퇴행성관절염 영양관리
- 무절제한 체중 감소는 영양결핍을 초래하여 뼈와 관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뼈와
관절에 적절한 영양공급을 위한 균형 잡힌 식사섭취가 필요- 연골 손상의 예방과 치료에 항산화영양소의 섭취가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비타민 C, 비
타민 E, 베타케로틴, 셀레늄과 같은 항산화 영양소가 많이 함유된 채소과일 섭취 좋음- 뼈와 관절에 주요 영양소인 칼슘과 칼슘 흡수를 촉진시켜 줄 수 있는 식품을 섭취
- 식이 요법이나 약물요법을 통한 퇴행성관절염의 예방은 현재까지 확실한 검증된 방법이
없으므로 이와 같은 방법에 의존하지 않는 것이 좋음
▶ 기술
수술하기 전 AST 시행
- AST 반응 검사 시 음성 나와야 수술 가능
환자가 호소하는 병력 잘 청취하기
- 환자나 보호자가 호소하는 증상에 기울이고 즉시 대처하기
슬관절 신전 운동
- 운동근 : 대퇴 사두근(직근)
- 지지근 : 대퇴 사두근(내측/외측 광근) - 슬개골 상연 1횡지 부의 내측, 외측 광근부
- 지지운동근 : 반건 반 막 양 근/대퇴 이두 근 장두(좌괄결절부의 반건 반 막과 대퇴이두
근부)
* 검사점 : 대퇴직근 (운동근) - 대퇴전면 중앙부 → 테이프 모양이 근주행방향인지 직각방
향인지 검사 해 결정
* 운동제한 : 근 주행으로 직각일 경우
→ 대퇴직근(운동근) : 대퇴전면 중앙부 - 근 직각방향 테이핑
→ 내외측광근(지지근) : 슬개골 상연 1횡지 부의 내측, 외측광근부 - 근 주행 방향 테이핑
→ 반건 반막양근/대퇴이두근 장두(지지운동근) : 좌골결절부의 반건 반막 대퇴이두근부
* 운동통 : 근 주행 방향일 경우
→ 대퇴직근(운동근) : 대퇴전면 중앙부 - 근 주행방향 테이핑
→ 내외측광근(지지근) : 슬개골 상연 1횡지 부의 내측, 외측광근부 - 근 직각 방향 테이핑
→ 반건 반막양근/대퇴이두근 장두(지지운동근) : 좌골결절부의 반건 반막 대퇴이두근부
- 근 주행 방향 테이핑
대퇴사근 힘주기
수술 전 CMS 확인
▶ 태도
환자 간호 전 시행하는 간호의 목적과 효과를 설명해주고 환자를 안심시킴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정서적정신적인 지지로 환자와 보호자가 안정 도모
수술에 대한 환자나 보호자의 불안이나 스트레스에 대한 적절한 반응과 대처
환자가 통증을 호소할 때마다 즉각적으로 상황을 평가하고 대응함
환자에게 수술에 대한 설명을 충분히 하고, 신뢰와 믿음을 줌
환자에게 자신의 질병이에 대한 감정을 표현할 기회를 제공함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1.06.14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42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