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공업생산의 관리체계와 북한의 공급생산과 자원구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북한 공업생산의 관리체계

Ⅱ. 공급생산과 자원구조

1. 철강공업
2. 비철금속 공업
3. 기계 및 기타공업

* 참고문헌

본문내용

확장공사를 완료(철강생산
능력 240만들, 압연능력 140만들)하였다. 북한은 1993년 당중앙위원
회 제16기 제21차 전원회의에서 제3차 7개년 계획의 실패를 자인하면
서도 철강을 비롯한 금속공업을 선행부문으로 인식하여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임을 밝혔다. 특히 금속공업의 기본정책 방향으로
서 '자체의 원료연료에 의존한 금속공업의 주체와 현대화'를 제시
하였다.
북한은 금속공업의 발전이 인민경제의 기술개조와 더불어 사회주의
물질적 기술적 토대를 강화하는 기초로 인식해 왔고, 특히 철강과 압
연강제의 생산능력 제고에 관심을 보여 왔다. 그러나 전력난과 원자재
부족 등으로 제철 제강소들의 가동률이 낮아지면서 1997년 6월 금속
부문의 생산목표를 연간 1천만들에서 144만 톤으로 대폭 감축하지 않
을 수 없게 되었다. 북한의 철강제품 생산능력은 1999년 현재 제선부
문의 542.1만 톤, 제강부문 600.2만 톤, 압연강제부문이 403. 7만 톤으로
서 아주 저조한 능력을 갖추고 있다.
2) 비철금속 공업
비철금속은 철을 제외한 금속을 총칭하며 기계, 전기, 전자 및 군수
공업 등 여러 산업분야의 기초소재로서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쓰이고 있으며 외화가득률이 높다.
비철금속은 대규모 장치산업이자 에너지 다소비산업이며 부존자원
여부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 산업이다. 아울러 유해물질을 배출하
는 공해위험산업으로서 환경친화적 기술개발이 절실하게 필요한 산업
이다. 또한 기초소재를 공급하는 특성 때문에 전방연관효과가 크고
국내시장 및 세계시장에서 공급탄력성이 낮아 제품의 가격 변동이 심
한 편이다.
북한의 비철금속부문 실태는 현재 해방 전에 건설되어 재건확장된
남포, 문펀과 흥남등 3대 제련소를 주축으로 하여 80년대 들어 건설,
조업한 운흥(銅),평북, 해주 10.13(鉛), 단천(亞鉛),9.21(亞鉛) 제련소와
북창알루미늄공장 등에서 연간 동 9만 톤, 연 8.8만 톤, 아연 29.5만 톤,
알루미늄 2만 톤 등 총 49.5만 톤의 비철금속을 생산할 수 있는 설비를
보유하고 있다.
북한 비철금속 공장은 남포를 비롯하여 강원도 문천과 함남, 함흥
등 각지에 산재해 있다. 비철금속공업의 배치는 함남을 포함하는 동부
지구와 남포시와 평남을 중심으로 하는 서부지구 간에 비철금속의 광
물 생산능력과 그 제련능력에 있어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동광석은
82%가 동부지구에서 생산되나 그 제련 능력은 거의 대부분 서부지구
에 집중되어 있으며, 연광석은 62%가 동부지구에서 생산되고 나머지
가 서부지구에서 생산되나 그 제련능력은 대부분 동부지구에 집중되
어 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평양에 평양유색금속공장, 만경대알루미늄샷시
공장 등이 있으며 남포에는 남포제련소와 211호제련소가 있다. 평남에
는 북창알루미늄공장과 부산알루미늄공장이 있고 평북에는 평북제련
소와 용암포제련소가 있다. 황남에는 해주제련소와 해주 10. 13 청년
제련소가 있다. 강원도에는 문평제련소, 9.21 일제련소와 원산제련소
가 있다. 함남에는 흥남제련소와 흥남제2제련소(7월 27일 제련소)가 있
으며, 양강도에는 운흥제련소가 있다.
3) 기계 및 기타공업
북한의 기계공업은 '중공업의 우선적 발전'과 '다방면적, 종합적 발
전'이라는 정책과제 하에서 우선적으로 발전되었다. 북한은 특히 범용
공장기계. 불도저, 10m2 이상의 대형 굴착기. 종합 굴착기 등의 생산
을 통해 광산 및 채굴 부문 개발을 기해 왔다. 특히 공작기계공업 부
문에서는 선반, 밀링기, 드릴링기, 보링기, 연삭기 등 범용공작기계와
굴삭기 불도저 등 건설, 광산기계, 운반하역기계가 주요 생산 제품이
되고 있다. 그 밖에도 농업기계공업, 산업기계공업, 정밀기계공업, 전
기전자공업, 자동차공업, 철도차량공업, 화학공업, 섬유공업, 직물공
업, 의류공업 등 분야 등에서도 자급자족화를 위해 생산능력 증대를
위해 꾸준히 노력해 온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자본부족, 기술부족
과 더불어 1990년대부터는 에너지 공급부족까지 겹쳐 생산이 침체되
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 참고문헌
- 고경민. 북한의 IT 전략.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 박순성. 북한의 경제와 한반도 통일. 서울: 풀빛. 2003
- 동용승 · 이정철. 북한경제 변화의 조짐과 시사점. 2002
- 문성민. 북한의 금융제도. 서울: 한국은행. 2000
- 김영수 외. 김정일시대의 북한.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 북한경제연구소. 북한경제의 현황과 전망.

키워드

북한 공업생산,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6.15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44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