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의 2000년 주요 공업생산 능력(capacity)을 살펴보면 철강 600.2
만 톤(조강기준),자동차 3.3만 대, 비철금속 47.3만 톤, 시멘트1,202만
톤, 공작기계 3.5만 톤, 화학비료 351.4만 톤, 석유화학(에델렌기준) 6만
들, 화학섬유 17.7만 톤, 조선 21.4만 톤, 전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1.06.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확장공사를 완료(철강생산
능력 240만들, 압연능력 140만들)하였다. 북한은 1993년 당중앙위원
회 제16기 제21차 전원회의에서 제3차 7개년 계획의 실패를 자인하면
서도 철강을 비롯한 금속공업을 선행부문으로 인식하여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1.06.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생산의욕을 제고시키는 방법을 도입하고 있다. 분배 방법은 농민이 제공한 노동의 양과 질을 기초로 산정된 「노력점수」에 따라서 행하여진다.
② 공업관리와 그 운영
북한은 1946년 8월 중요 산업의 국유화 조치를 계기로 사회주의 공업관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10.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 지역의 식량생산과 산업생산의 협력 증대를 통해 극심한 어려움에 처한 북한 경제를 재생시킬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남북 경제협력이 북한 경제발전이라는 목표와 연결될 경우, 북한의 경공업, 특히 생필품 생산공업 분야부터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6.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은 사회간접자본을 생산적 이 거나 비생산적 인 고정시설을
개보수, 확장하는 기본건설의 일부로 취급하고 있다. 북한은 기본건
설을 집중화 공업화정상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기본건설
에서는 사회주의 확대 재생산을 빠른 속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1.06.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