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어업생산기반의 여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용되고 있다. 아울러 서해안에서는 강한 조류를 이용하여 개막이 그
물, 주목망, 낭장망 등이 연안에서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은 식량 확보를 위한 수산물 생산에 대한 정책의지가 확고하기
때문에 수산계 대학과 수산관련 연구소를 중심으로 기술 보급과 함께
연구 인력이 지속적으로 양성되고 있다. 따라서 어군어법 그 자체의
잠재적 수준은 결코 낮은 것으로 볼 수 없다. 이미 1980년대 초반에도
중층트를 어법이 보급된 바 있으며, 어로장비 및 어업자재의 대부분을
자력으로 생산하여 자급자족하고 있다는 선전은 단순하게 볼 수 없다.
그러나 어로 기술은 고도의 숙련과 자본을 필요로 하는 종합응용과학
의 산물이므로, 최근처럼 심각한 물자부족의 상황에서 더 이상의 발전
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 참고문헌
- 고경민. 북한의 IT 전략.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 박순성. 북한의 경제와 한반도 통일. 서울: 풀빛. 2003
- 동용승 · 이정철. 북한경제 변화의 조짐과 시사점. 2002
- 문성민. 북한의 금융제도. 서울: 한국은행. 2000
- 김영수 외. 김정일시대의 북한.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 북한경제연구소. 북한경제의 현황과 전망.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1.06.15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45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