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관계요인의 교재화 논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남북한 관계요인의 교재화 논리

Ⅰ. 사회구성주의

Ⅱ. 사회과 의사소통학습 모형의 탐색과 통일수업 디자인

* 참고문헌

본문내용


변화에도 민감하게 반응한다. 그러므로 사회구성주의 모형에서 말하는
사회적 대화의 상대자는 꼭 교사일 필요는 없다. 때로는 교사의 역할을
동료나 상급생이 수행할 수도 있고, 컴퓨터, 영상 매체, 특정 직업인, 박
물관의 그림 등이 수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의사소통학습 모형에 따라 남북한 관계요인을 학습해 나가는 수업 디
자인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도입 단계에서는 사회과 통일교육에서 현재의 발달수준을 의미하는
아동의 통일문제와 남북한 관계요인에 대한 인식수준을 확인하여 학습목
표와 문제를 설정한다.
(2) 사회적 말의 단계에서의 학습은 역동적 수업환경 속에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역동적 수업환경이란 통일문제에 대한 인식과 문제해결을 통한 주
체적인 사회적응 능력의 확장 범주를 뜻한다. 이 단계에서는 교사에 의한
동기유발과 통일에 관한 문제를 제시하는 과정이 나타나며, 학습자는 활동
할 내용과 문제 해결을 위한 설계를 하게 된다. 남북한 관계요인을 다룬 자료들이 교사에 의하여, 혹은 학습자들 스스로 구체적인 형태로 제시하게 된다. 즉, 교사가 만들어낸 읽을 거리, 이야기, 시청각 자루 퀴즈 등과 함께 학습자가 제시할 수 있는 언론 보도자룐 통일원 방문을 통하여 얻은 원자료(raw data), 인터뷰 결과 등이 나타날 수 있다.
(3) 교사와 학습자가 함께 수업 활동을 주도하는 자기중심적 말의 단계에서는 점차 학습자가 수업을 주도해 나가며, 교사는 주로 조언자와 안내자의 위치에 머무른다.
이 단계는 학습자가 통일의 남북한 관계요인을 분석하여, 긍정적 부정적 요인으로 분류해 나가는 활동이 이루어지며 문제점이 발견되었을 때는 언제나 교사나 동료의 도움을 받는다.
(4) 내적 말의 단계에서는 학습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여 나름대로의 지식을 구성해 내는 단계이다. 통일을 위한 남북한 관계요인에 대한 다양한 결론이 도출될 수 있으며, 교사는 이러한 다양성을 수용하고 새로운 통일 관련 사회과 학습과제를 아동에게 제시해야 한다. 사실상 사회인식-적용 능력이 최대한 발취되어 교사와 아동의 역동적 수업 환경에 대한 정의가 일치하는 단계이다.
(5)남북한 관계요인을 다룬 통일문제를 해결하여 적용하는 단계에서는 교사와 학습자는 자유로운 의사소통과정을 통하여 토론과 보좌 평가 활동을 수행한다. 통일문제와 관련하여 사회적용수준의 확인은 역동적 수업환경의 구성에 대한 굉가가 이루어지는 단계이며, 새로운 사회과 통일 학습과제에의
도전을 통하여 교사와 학습자는 수업환경을 재구성하고 통일에 관한사회인식-적응 능력을 키우기 위한 활동을 다시 시작하는 단계이기도 하다.
* 참고문헌
- 이동신, 박기순(1996). 정치커뮤니케이션원론. 서울: 법문사
- 최정호 외(1995). 정보화사회와 우리. 서울. 소화
- 이수윤(1995). 정치철학. 서울: 법문사
- 김병렬 외(1985). 사회과교육. 서울: 한국방송통신대
- 김대환 외(1997). 참여민주주의와 한국사회. 서울: 창작과 비평사
- 전득주 외(1992). 현대민주시민교육론. 서울: 평민사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6.22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57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