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의 기초이론) 단체자치와 주민자치 및 보충성의 원칙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지방자치의 기초 이론

Ⅰ. 단체자치와 주민자치

Ⅱ. 보충성의 원칙

* 참고문헌

본문내용


근거하고 있다. 그러나 개인별 격차 혹은 지역격차가 문제가 되는 것은 전체적인
격차 폭에서 최하위 수준이지 최고위 수준이 아니다. 따라서 적극적 의미의 보충성
원칙을 적용하더라도 앞서가는 개인이나 지역을 규제하는 일이 정책대상이어서는
안 된다. 중앙정부가 지역균형발전 혹은 국가통합을 이유로 지역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앞서서 발전하는 지역에 대해 규제정책을 사용할 경우 소극적 의미의 보충성
원칙을 침해할 가능성이 있다. 지역격차를 우려하여 지방분권을 꺼리는 것은 낙후지역
에 대한 적극적 의미의 보충적 지원이라는 상급 공동체의 의무를 해태하는 행위에
속한다. 개별 구성원 혹은 하급 공동체에 대한 보충적 지원은 상급 공동체의 존재이유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 참고문헌
- 최창호(2007). 지방자치학. 서울: 삼영사
- 김종희(2006). 지방재정론. 서울: 범론사
- 정세욱(2003). 지방행정학. 서울: 법문사
- 정일섭(2006). 한국지방자치론. 서울: 대영문화사
- 홍준헌(2005). 중앙과 지방간 사무배분의 현실과 대책
- 이기우 외(2007). 지방자치법. 서울: 대영문화사
- 김보현, 김용래(1990). 지방행정의 이론과 실제. 서울: 법문사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1.06.22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59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