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레포트)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의 의미와 가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 레포트)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대동여지도의 재원

2. 대동여지도의 특징
(1) 축척 적용
(2) 어디서나 거리 파악 가능
(3) 기호 활용
(4) 군사 지도
(5) 연이어지는 산맥과 강 표기

3. 대동여지도에 담긴 의미와 가치
(1) 자연과의 일체성 반영
(2) 산자분수령 표현
(3) 백두대간을 반영한 지형도와 지질도

III. 결론

* 참고자료

본문내용

두대간이 힘차게 뻗어 나가다가 그 흐름을 조금씩 늦추어 강과 만나는 지점에 마치 가지 끝에 매달린 사과인 양 고을들이 자리잡고 있다. 이는 풍수지리의 배산임수’라는 명당과 만난다. 산줄기와 물줄기는 각각 연결되어 지형을 드러낸다. 수원이 서로 갈라진 곳을 따라 산줄기가 연결된다. 물줄기를 연결하면 그 물을 가르는 산줄기의 흐름을 볼 수 있다는 것이 <대동여지도> 지도유설 ‘산자분수령’ (산은 스스로 분수령이 된다)이라는 원칙이다. 이런 원리에 따라 백두대간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이 바로 18세기경에 나온 <산경표>라는 책으로 우리나라 산들의 체계를 족보식으로 기술하고 있다. 강을 끼고 있는 정맥 13개, 물줄기와 상관없이 솟은 정간 1개, 한반도의 등뼈를 이루는 큰 줄기 대간 1개로 정리했다. 이 산줄기 이름은 강에서 따와 붙였다.
(3) 백두대간을 반영한 지형도와 지질도
생활과 문화에 있어서 산과 강은 나누고 합치는 역할하기 때문에 높은 산은 교류를 막고 흐르는 강물은 교류를 촉진한다. 이러한 산줄기와 물줄기의 흐름을 알면 우리나라 역사와 문화의 흐름이 왜 그러한 경로를 취했는지, 나아가 산과 강이 어떻게 사람을 만드는지, 우리가 왜 이 땅의 산물인지를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정리한 산줄기는 이 땅의 모든 산줄기가 백두산과 통해있고 산들이 백두산에서 지리산까지 이어진다는 옛 선조들의 오랜 지리적 상식을 담고 있다. 백두대간은 우리나라 땅을 동과 서로 나누면서 수많은 골짜기와 넓은 들을 낳으며 우리 민족의 삶터를 이루어온 역사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지리인식 체계를 반영한 것이다.
III. 결론
전통지리학이 담고 있는 건강한 세계관을 밑바탕으로 눈에 보이는 지형을 중심으로 발달시켜온 지리학의 발자취와 지구역사와 한반도의 역사를 설명해주는 지질학의 성과가 만나야한다. 인간은 자기를 둘러싼 세계를 끊임없이 탐구하고 설명하고 있다. 대동여지도는 우리 선조들이 한반도에서 살며 어떻게 우리 땅을 인식해 왔는지를 보여준다. 산과 물이 어우러진 거대한 생명체로 보고 그 땅의 지세를 거르스지 않으며 지기에 민감하게 터를 잡고 살아왔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며 사는 것을 인간 삶의 근본으로 보았다는 증거이며, 지구 생명의 진화의 역사를 함께 살았다는 것으로 보았다. 대동여지도는 전통과학사에서 지리학 분야의 마지막 업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그동안의 지리학의 성과를 계승 발전시켜 결산했다. 하지만 산경도가 아닌 일본인이 만든 산맥도를 중심으로 교육하고 있는 한국교육의 현실에서 볼 수 있듯이 고래로부터 이어온 국토인식과 과학적 성과로부터 단절되었다. 국토를 하나의 생명으로 보는 지혜로부터 멀어져 자원의 발굴이라는 경제만 바라보는 시각에서 4대강 살리기와 같은 이슈를 만들어내고 있는 지도 모른다.
* 참고자료
◇ 국립중앙발물관 사이트, http://www.museum.go.k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한국의 고지도, 범우사, 1991.
◇ 장보경, 대동여지도, 한국사 시민강좌, 일조각, 1998.
  • 가격3,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6.28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68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