넉점반개작 양상 연구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방법 및 제한점

가. 연구 방법

나. 연구의 제한점

II. 동시와 그림동화 개작의 이해

1. 동시의 개념과 유형

가. 개념과 특성

나. 동시의 유형

2. 그림동화 개작의 개념과 가치

가. 개념 과 유형

나. 그림동화의 가치

III. 그림동화 [넉점반] 원작과 개작 비교

1. 장르 변환된 형태와의 비교

가. 원작과 그림책

1) 등장인물의 확장

2) 매체적 특성에 의한 변화

나. 원작과 음악동화

2. 그림동화 개작의 의의와 효과

가. 그림동화 개작의 문학적ㆍ교육적 의의

1) 작품 감상의 확장

2) 작품 이해의 용이성

3) 다채로운 문학적 경험 제공

4) 흥미 유발

5) 상상력 확장

3. 그림동화 개작의 한계

가. 동화 개작의 한계

1) 내면세계 표현의 미흡

2) 동시와의 간극 확대

IV. 결 론

본문내용

로 우리나라 대표적인 동시인 윤석중의 <넉점반>을 음악동화, 그림동화 개작의 양상을 살펴본다.
그림책은 플롯 전개, 이야기의 도입, 등장인물, 표현방법을 주제의 측면에서 비교 분석 한다. 그 결과 그림동화의 개작은 문학적, 교육적인 면에서 긍정적인 의미와 함께 한계점을 드러낸다는 사실을 밝히고자 한다. 개작의 의의는 작품 감상의 작품이해의 용의성, 다체로운 문학적 경험제공, 흥미유발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반해 원작 구성의 내면 세계표현의 미흡, 동시와의 간극 확대라는 한계점도 밝혀준다.
결국 본 연구는 그림동화 한 편의 개작양상을 장르 변화 된 형태와 비교하고 분석함으로써 개작의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작된 그림동화가 아동에게 문학적, 교육적인 측면에서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밝히고자 한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1.06.27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69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