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와 청소년문화의 관계에 대해 논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대중문화에 대한 이해

1) 1990년대의 대중문화와 청소년문화

2) 대중문화의 개념과 의미

3) 아비투스와 크로스오버, 그리고 퓨전

2. 청소년학에서의 대중문화 연구

* 참고문헌

본문내용

견으로부터 기인한다.
이른바 절대적 질서와 믿음을 숭배하는 모더니스트들이 마치 계급적 속성이 잔재하고 있는 지배계급의 독단적 문화 형성 과정에서 하위 계급문화를 무시하듯, 학문적 영역에서 대중문화를 하나의 독립적인 연구 영역으로 주목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었다.
사상적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문화를 제한된 내용과 영역으로 포섭하고자 하는 접근 방식에 경도되어 있는 입장이다.
즉,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의 경계선을 긋고 대중문화를 폄하함으로써 고급문화를 숭상코자 하는 입장에서 대중문화는 저항하고 부정해야 하는 대상체였다.
대표적으로 지금껏 학교를 중심으로 하는 제도교육은 고급문화만을 대상으로 하고
이미 청소년세대의 삶의 일부로 천착된 대중문화는 철저하게 외면되어 왔다. 중등교육의
음악교과에서는 서구의 고전음악과 가곡만이 불리고, 고등교육 과정에서도 인문사회 영
역에서는 여전히 고전적 텍스트 중심이다. 만약 청소년들의 대중문화 향유 방식에 불만
을 갖고 있다면, 먼저 우리 사회가 청소년들에게 바람직한 문화적 관점을 스스로 세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었는지, 문화적 향유 방식에 대한 실질적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였
는지, 대중문화의 실질적 창출자는 누구인지를 곰곰이 생각해 볼 일이다. 나아가 다양한
문화적 체험의 기회가 충분히 제공되었는지에 대한 자평도 때놓을 수는 없다. 이러한 과
정을 간과하고 단지 대중문화, 혹은 대중문화에 심취되어 있는 성장세대에 대해 차가운
냉소만을 보내는 것은 결국 청소년들의 문화적 이중성만을 배태시키는 기성세대의 교육
적 책임 방기라 아니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이유들 때문에 문화에 대한 청소년의 주체성과 자율성에 대해 우리 사회는
애초부터 인정하지 않으려는 경향으로 도착되어 왔다. 그래서 문화의 교육적 기능을 주
목하면서 대중문화를 통해 청소년 교육의 가능성을 진단하는 최근의 움직임은 다행스런
일이자 주목할 만한 일이다. 특히 서울대가 1999학년도부터 현대문화를 주도하는 대중문
화를 다루는 강좌들을 개교 50년 만에 교육 과정에 포함해 다른 학문과의 연계를 강화하
는 등 획기적인 인문학 개혁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은 대중문화 연구의 활성화를 고무
하는 일임에는 틀림없다(김대용, 1998:113). 차제에 대중문화를 우리 시대의 압도적인 문
화현실의 하나이자 청소년에게도 그들의 감수성과 의식을 표출하는 주도적인 표현 양식
으로 당당히 인정하는 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뒤따라야 한다. 특히 우리사회의 청소년문
화는 대중문화에 그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여 그들의 문화 양태와 문화 공
간들을 면밀하게 분석하는 청소년학 이론가들의 노력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참고문헌
- 김성이 외(2010). 청소년복지학. 양서원
- 김진화 외(2003). 청소년 문제행동론. 학지사
- 이용교, 천정웅(2009). 청소년인권과 참여. 양서원
- 한창설(2008). 청소년학: 이해와 지도. 학지사
- 박철현(2010). 사회문제론: 이론, 실태, 지구적 시각. 박영사
- 장일순(2007). 청소년사회학. 학문사

키워드

대중문화,   청소년문화,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7.11
  • 저작시기201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90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