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문제행동의 개념과 청소년 문제에 대한 시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청소년 문제행동의 개념

2) 청소년 문제에 대한 시각

* 참고문헌

본문내용

않는 난폭한 또는 무례한 행동으로서 자신의 갈등을 해
결할 것이며, 질서의식과는 무관한 괴팍하고 엉뚱한 발상으로서 그들의 제한된
기회를 확장시켜 나갈 것이다. 그들의 반사회적 또는 비규범적인 행동은 어떻
게 보면 그들의 생존전략에서 비롯된 것일 뿐 특별한 문젯거리가 아닐 수 있다
(한상철, 1998a).
그러나 살인이나 절도, 강도, 폭력 등과 같은 행동은 결코 특정 사회의 성인
들이 그들 삶의 편리를 위해 그리고 권력유지를 위해 인위적으로 만들어 놓은
것이 아니라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것은 인간의 존엄성과 본성을 실현하
기 위해 그리고 공동체적 삶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자연적으로 형성된 규범
이며 의식이다. 그러므로 인간의 존엄성과 본성 실현을 위협하는 행위에 대해
서는 청소년이기 때문이 아니라 인간이기 때문에 처벌받고 규제되어야 할 것이
다. 그러나 청소년의 생존 전략적 행동이 성인 사회의 권력유지와 질서유지를
위해 성인들이 인위적으로 만든 규범에 위배된다고 하여 무조건 규제하고 처벌
한다는 것은 청소년들의 인권과 문화창조 그리고 독창적 사고과정을 무시한 처
사라고밖에 볼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성인 사회의 집합의식을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한 가지는 인간 본성이나 공동체적 삶과 관련된 자연적인 규범 또는 집합의식
이고, 다른 하나는 성인들의 권력과 질서유지를 위해 인위적으로 만든 규범 또
는 집합의식이다. 자연적 규범을 우리는 절대적 규범이라고 할 수 있는 반면,
인위적 규범을 상황적 또는 상대적 규범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절대 규범
에 벗어난 행위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규제하여야 하겠지만, 상대 규범에 벗어
난 그들의 생존전략에 대해서는 행위 뒷면에 감추어진 욕구와 갈등, 불만 등의
요인을 보다 적극적으로 이해하고 수용하려는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다. 이러
한 대처방법이야말로 청소년 문제에 대한 세대간 견해의 차이를 조정할 수 있
을 것이다.
* 참고문헌
- 김동위(1994). 청소년의 인간화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 남정걸(1998). 사회교육행정론. 서울: 교육과학사
- 박진규(2003). 청소년문화. 서울: 학지사
- 이춘재 등(1998). 청년심리학.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 김흥규(1994). 인간행동의 이해. 서울: 양서원
- 한상철(1998). 청소년학 개론.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 한상철, 임영식(2000). 청소년심리의 이해. 서울: 학문사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7.11
  • 저작시기201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91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