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rt의 참여사다리 모델을 비판하시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다리 모형과 같은 또 다른 많은 도안들이 시도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끝으로, Hart의 참여 사다리 모형에 대한 가장 중요한 비평은 문화적 측면에서 볼 수
있다. 가장 중요한 점은 아동과 청소년참여와 관련한 대부분의 연구가 서구에서 이루어
지고 있으며 주요한 학자들의 대부분이 서구에서 교육받았으며 서구의 아동발달 이론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 지적된다. 안타깝게도 서구의 아동발달 이론이
거의 전 지구적 아동발달 이론을 지배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이동기와 아동발
달에 대한 서구적 오리엔테이션에 대해서는 많은 비판이 있다. 아동과 청소년참여에 대
한 강조 정도가 문화적 차이에 따라 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서구의
개인문화와 동양의 집단문화 간에는 분명히 중요한 차이가 있다.
* 참고문헌
- 김성이 외(2010). 청소년복지학. 양서원
- 김진화 외(2003). 청소년 문제행동론. 학지사
- 이용교, 천정웅(2009). 청소년인권과 참여. 양서원
- 한창설(2008). 청소년학: 이해와 지도. 학지사
- 박철현(2010). 사회문제론: 이론, 실태, 지구적 시각. 박영사
- 장일순(2007). 청소년사회학. 학문사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1.07.11
  • 저작시기201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91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