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심장 흥분파의 전달
▣ ECG의 기록 원리
▣ ECG 분류
▣ Abnormal ECG pattern
▣ Clinical ECG system
▣ ECG 해석
▣ ECG의 기록 원리
▣ ECG 분류
▣ Abnormal ECG pattern
▣ Clinical ECG system
▣ ECG 해석
본문내용
lar Tachycardia
- R파만이 나옴
④ Artrial Fibrillation
- random P파가 섞여 나옴
⑤ Ventricular Fibrillation
- random R파가 섞여 나옴, 수분 내 사망
⑥ Right Artrial Enlargement
- P파가 비정상적으로 큼
⑦ First - degree Block
- 방실결절에서 전도 차단으로 나타나는 현상
- P-R interval이 비정상적으로 길어짐
⑧ Second - degree Block
- QRS 전체가 사라짐
▣ Clinical ECG system
① 표준지 유도
- monitoring ECG에 사용
- 특정방향으로 나오는 전압만을 측정
- 전압이 가장 크기 때문에 리드Ⅱ가 주 관찰대상이 된다.
- Lead Ⅰ은 음전극을 우측상지(RA)에 양전극을 좌측상지(LA)에 둔다.
- Lead Ⅱ은 음전극을 우측상지(RA)에 양전극을 좌측하지(LL)에 둔다.
- Lead Ⅲ은 음전극을 좌측상지(LA)에 양전극을 좌측하지(LL)에 둔다.
② 증폭된 단극지 유도
- Lead aVR은 음전극은 전기저항을 거쳐 LA와 LL에 양전극은 RA에 연결
- Lead aVL은 음전극은 전기저항을 거쳐 RA와 LL에 양전극은 LA에 연결
- Lead aVF은 음전극은 전기저항을 거쳐 LA와 RA에 양전극은 LL에 연결
③ 흉부유도
- Lead V1은 제 4늑간과 흉골우연의 교차점
- Lead V2은 제 4늑간과 흉골좌연의 교차점
- Lead V3은 V2와 V4의 중간지점
- Lead V4은 제 5늑간과 좌측 정중쇄골선의 교차점
- Lead V5은 V4와 같은 수평면과 좌측 전액와선의 교차점
- Lead V6은 V4와 같은 수평면과 좌측 정중액와선의 교차점
▣ ECG 해석
- P파 : 심방의 탈분극기로서 폭은 0.11초 이하이고, 높이는 0.25㎷ 이하의 부드러운 곡선
- QRS군 : 심실의 탈분극기로서 폭은 0.10초 이하이고, 높이는 1㎷ 정도
- T파 : 심실의 재분극기로서 P파보다 크고 부드러운 곡선이 0.2초간 지속
- PQ간격 : P파 시작부터 QRS군의 시작까지, 방실흥분전도시간, 0.12~0.2초
- ST분절 : QRS군 끝에서 T파 시작까지, 심실 전체가 탈분극된 상태
- QT간격 : QRS군 처음부터 T파 끝까지, 심실의 전기적 수축기
심실의 타분극에서 재분극까지
- TP분절 : T파 끝에서 P 파 시작까지, 심장의 정지기(이완기)
- R파만이 나옴
④ Artrial Fibrillation
- random P파가 섞여 나옴
⑤ Ventricular Fibrillation
- random R파가 섞여 나옴, 수분 내 사망
⑥ Right Artrial Enlargement
- P파가 비정상적으로 큼
⑦ First - degree Block
- 방실결절에서 전도 차단으로 나타나는 현상
- P-R interval이 비정상적으로 길어짐
⑧ Second - degree Block
- QRS 전체가 사라짐
▣ Clinical ECG system
① 표준지 유도
- monitoring ECG에 사용
- 특정방향으로 나오는 전압만을 측정
- 전압이 가장 크기 때문에 리드Ⅱ가 주 관찰대상이 된다.
- Lead Ⅰ은 음전극을 우측상지(RA)에 양전극을 좌측상지(LA)에 둔다.
- Lead Ⅱ은 음전극을 우측상지(RA)에 양전극을 좌측하지(LL)에 둔다.
- Lead Ⅲ은 음전극을 좌측상지(LA)에 양전극을 좌측하지(LL)에 둔다.
② 증폭된 단극지 유도
- Lead aVR은 음전극은 전기저항을 거쳐 LA와 LL에 양전극은 RA에 연결
- Lead aVL은 음전극은 전기저항을 거쳐 RA와 LL에 양전극은 LA에 연결
- Lead aVF은 음전극은 전기저항을 거쳐 LA와 RA에 양전극은 LL에 연결
③ 흉부유도
- Lead V1은 제 4늑간과 흉골우연의 교차점
- Lead V2은 제 4늑간과 흉골좌연의 교차점
- Lead V3은 V2와 V4의 중간지점
- Lead V4은 제 5늑간과 좌측 정중쇄골선의 교차점
- Lead V5은 V4와 같은 수평면과 좌측 전액와선의 교차점
- Lead V6은 V4와 같은 수평면과 좌측 정중액와선의 교차점
▣ ECG 해석
- P파 : 심방의 탈분극기로서 폭은 0.11초 이하이고, 높이는 0.25㎷ 이하의 부드러운 곡선
- QRS군 : 심실의 탈분극기로서 폭은 0.10초 이하이고, 높이는 1㎷ 정도
- T파 : 심실의 재분극기로서 P파보다 크고 부드러운 곡선이 0.2초간 지속
- PQ간격 : P파 시작부터 QRS군의 시작까지, 방실흥분전도시간, 0.12~0.2초
- ST분절 : QRS군 끝에서 T파 시작까지, 심실 전체가 탈분극된 상태
- QT간격 : QRS군 처음부터 T파 끝까지, 심실의 전기적 수축기
심실의 타분극에서 재분극까지
- TP분절 : T파 끝에서 P 파 시작까지, 심장의 정지기(이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