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DR(심폐소생술 관련)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PDR(심폐소생술 관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심폐소생술의 개요
2. 심폐소생술의 목적 및 필요성

Ⅱ. 본론
1. 심폐소생술의 원리
2. 성인(8세 이상)에서의 심폐소생술
3. 영아(출생~1세) 및
소아(1세~8세)에서의 심폐소생술
4. 병원내 CPR절차
5. 사례 1. (ICU의 CPR PROTOCOL)
6. 사례 2. (병동에서의 CPR PROTOCOL)

Ⅲ. 결론

본문내용

처치자가 under mask를 하며 입과 코를 덮은 후 ambu-bagging을 한다. 부드럽고 빠르게 20~30회/분 제공
-인공호흡
영아 : mouth-to-mouth and nose, mouth-to-nose
소아 : mouth-to-mouth breathing
④ Circulation
-맥박확인 : 영아-상완동맥, 소아-경동맥 촉지를 한다.
-맥박인 60회 이하인 경우 즉시 심장마사지를 시행한다.
-흉부 압박 : 검지 중지로 영아의 흉골 중간 부위 압박
-마사지는 최소 100회/분의 속도와 1.5~2.5cm의 깊이로 시행한다.
-마사지와 호흡비율 5:1
-30분간 계속 CPR을 해도 반응이 없으면 CPR을 중지한다.
4. 병원내 CPR절차
1) 목적 :
갑자기 심장이 멈추고 호흡을 안 할 때 심폐기능을 회복시켜 생명을 보존하기 위함
순환을 유지하여 무산소증으로 인한 영구적 뇌손상을 막기 위함
2) 준비물품 :
삼장 지지대 (cardiac board)
필요시 Ambu bag
심폐소생술을 위한 응급 cart (Defibrillator, 심전도기, 기도확보에 필요한 기구, 약품, 정맥주사 용구, 흡입 기구)
3) 기록(documentation) :
심폐소생술팀의 도착시간, 투여된 약물과 시행된 행위, 심폐소생술이 끝난 시간, 대상자의 반응
기도유지(기도내 이물제거, Head-tilt & Neck-lift 또는 Head-lift & Chin-lift maneuver, Airway 삽입)
Ambu bag ,O2, Intubation, Suction, Defibrillation 준비
EKG monitoring 작동
Cardiac massage
IV rout 확보
응급약 준비, 투여
V/S는 5분마다 측정
기록
약품
epinephrine atropine bivon dopamine dobutamine Ca.gluconate lidocaine digoxin valium ephedrine isoket(앤지비드 isosorbide dinitrate)
5. 사례 1. (ICU의 CPR PROTOCOL)
CPR 또는 Emergency 상황에서 duty당 4명의 nurse가 근무 시 우선 담당간호사(혹은 발견한 사람)가 “Emergency”라고 외친 후 주위의 도움을 받도록 하고 각 nurse마다 책임 한계를 정하여 신속하고 정확히 응급상황에 대처하도록 한다.
◆ 선임 간호사
Emergency cart와 Defibrillator를 준비한 후 미리 perp.해둔 intubation set에서 ambu에 face mask를 끼운 후 O2를 연결하여 Dr.가 올때까지 ambu-bagging하면서 전체적인 CPR상황을 지휘한다. Ambu-bagging할 Dr.가 온 경우 Emergency drug를 두 번째 선임에게 받아서 복창한 후 정확히 injection한다. mental과 pupil reflex를 check하고 필요시마다 suction을 시행한다.
◆ 두 번째 간호사
Dr.가 없을 경우 필요시에는 cardiac massage를 시행한다. Dr.가 온 경우 IV route를 확보하고 Emergency drug와 ABGA등 sampling하고 정확한 약과 용량을 syringe에 재어서 선임 간호사에게 준다.
◆ 담당 간호사
CPR상황에 대한 charting과 V/S, pupil reflex 등을 check한다.
ABGA, drug injection이 잘 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전반적인 환자 상황을 관찰한다.
◆ 후임 간호사
Dr. call한 후 Defibrillator를 환자 옆에 가져온다.
central monitoring에서 EKG rhythm을 reading한다.
보호자 연락 후 다른 환자들을 rounding하면서 관찰하고 파악한다.
◆ NA
Syringe나 다른 부족한 물품을 채우고 필요시 sampling된 ABGA check해준다.
6. 사례 2. (병동에서의 CPR PROTOCOL)
◆ 담당 간호사
상대 간호사에게 CPR상황을 알린다.
Emergency cart를 밀고 병실로 간다.
환자 상태를 살피고 face mask와 ambu를 사용하여 ambu-bagging을 실시하면서 충분한 산소 공급을 해준다.
맥박이 없을 때 심장 마사지를 병행하며 반응이 안보이면 병동에 비치된 epinephrine을 injection한다.
Dr. 도착한 경우 필요시 정맥주사 route를 확보 및 확인한다.
활력증후 및 동공을 확인한다.
Dr. 지휘에 따라 emergency medication을 준비한다.
charting을 한다.
◆ 상대 간호사
call bell을 눌러 CPR상황을 알리고, Dr.에게 연락한다.
병실 CPR 준비를 한다.
공간을 확보한다.
담당 간호사가 Emergency cart를 밀고 오면 산소와 ambu를 정확하게 연결하여 준비한다.
담당 간호사가 ambu-bagging을 하는 동안 EKG monitoring을 한다.
심장 맛사지를 도와주면서 intubation set준비, suction set를 준비한다.
Dr. 도착 후 지시에 따라 Emergency drug을 투여한다.
상황에 따라 ICU로 환자를 transfer한다.
Ⅲ. 결론
우리는 의료인으로서 항상 환자 옆에서 환자를 돌보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응급상황을 가장 먼저 접하게 된다. 응급환자 발생 시 병동이나 중환자실에서 환자를 평가하고 응급처치를 시행하여, 회복이 지연되거나 영구적 육체적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 합병증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숙지하고 있어야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호흡이 멎거나 심정지 시에는 의료진이 도착할 때까지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여야 한다. 또한 전문 심폐소생술을 할 수 있도록 교육을 하여 응급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빠른 대처와 효과적인 처치로 환자의 건강권 보장을 확보 할 수 있도록 한다.
심폐소생술을 시작하면 그 환자는 소생할 수 있거나, 소생하지 못할 수 있지만 심폐소생술을 실시하지 않으면 그 환자는 반드시 사망한다.
병원은 조기 심폐소생술과 조기 제세동을 위한 포괄적인 프로그램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환자가 있는 병원내 모든 장소에서는 조기 제세동이 가능하도록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6.06.17
  • 저작시기2005.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54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