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숙아]보육기 간호 미숙아가 정상아에 비하여 불리한 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보육기 간호

1. 미숙아

3. 미숙아가 정상아에 비하여 불리한 점

본문내용

시력소실. 미숙아들에게 산소공급시 PaO₂가 50-70mmHg 범위로 유지시킨다.
9)뇌실/두개 내 출혈: 뇌실이나 두개 내 출혈은 미숙아에 있어서 가장 심한 합병증중의 하나로 출생시 체중이 적을수록 빈도가 높아 체중이 1000-1500gm일 경우 10-20%에서 나타납니다.
10) 감염
면역학적으로 미숙하여 opsonization, 다핵 백혈구의 chemotaxis, 세포 내의 살균 능력이 저하되어, 국소의 감염이 전신적으로 퍼질 위험이 많다.
11) 영양
일반적으로 재태기간 마지막 3개월 동안에 대부분의 영양분이 몸에 저장되는데 미숙아들은 미리 태어나는 만큼 철분,칼슘,인,비타민등의 영양분의 축적이 부족한 상태로 되어 있어 만삭아 보다 영양공급에 더욱 신경을 써야하며 태어난 후에도 위장관의 미숙으로 영양공급이 잘되지 않아 체중증가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재태기간 34주 미만의 미숙아는 흡철반사와 연하 반사의 불완전하므로 튜브로 영양을 시작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7)미숙아 망막증: 망막의 발육 미숙이 주원인이며 고농도의 산소흡입, 저체온, 비타민E의 결핍, 빛에 대한 노출등이 원인으로 최근 적극적인 예방으로 감소추세이지만 심한 미숙아의 생존율이 높아짐에 따라 다시 증가되고 있습니다. 미숙아 출생의 예방과 출생후 관리 산전에 임산부에 대한 교육 및 정기적인 산모와 태아검진이 필수적이며 미숙아출생 예방을 위한 가장 이상적인 방법입니다. 즉 산모의 영양, 감염예방, 질병의 치료, 치료제의 부작용, 임신의 합병증 및 정서적인 불안증에 대한 조기진단과 적절한 치료와 태아의 상태를 평가하여야 합니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7.10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67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