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사례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생아 사례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본문내용

.4
92.2
O₂2ℓhood box → SaO₂: 100%
생화학검사
항목
정상
7/25
검사목적
Glucose
80~120
mg/dl
101
공복시 혈당농도가 감소됨에 따라 자극을 받아서 유리된다.
B.U.N
5~20
mg/dl
2
Blood Urea Nitrogen은 암모니아를 배설하기 위해 요소싸이클을 통해 배출 되는 것으로서, 섭취단백량, 요소합성량, 배설량에 의해 좌우되는 신장기능의 지표이다.
Crea-
tine
0.5~1.5
mg/dl
0.5
간, 신장에서 형성되어 근육에 분배되어 고에너지 합성물로 변화
total-
bili
0.1~1.0
mg/dl
4.3
적혈구 붕괴속도나 빌리루빈 포합기능의 문제와 관련
A.S.T
0~40
U/L
63
Aspatate aminotransferase는 간, 심장, 골격근에 분포하여, 세포가 손상받으면 혈청내로 유출되는 효소.
A.L.T
0~40
U/L
19
Alanine aminotransferase는 조직에너지를 생산하는 효소로서 AST와 달리 세포질내에 풍부하고 신장, 심장, 골격근에 분포되어 있으며, 급성 간세포 손상시 예민한 지표가 됨.
Chole-
sterol
130-230
105
-
Protein
6.5-8.2
4.3
-
Albumin
3.5-5.1
3.1
-
5) 간호진단
#1. 폐의 미성숙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자료수집>
*특히 Feeding시 신생아의 피부색이 변하면서 호흡양상이 변한다.
*SaO₂가 급격히 떨어지는 양상이 보인다.
<간호목표>
*신생아는 적절한 호흡양상을 보일 것이다.
*SaO₂가 정상적으로 유지될 것이다.
<간호계획>
*v/s check
*호흡수와 호흡형태를 관찰한다.
*적절한 제한된 수분을 공급한다. 제한된 수분공급으로 폐부종을 예방
*중성온도 유지를 위한 적절한 환경을 제공한다. 너무 낮은 온도, 환경은 대사요구량을 증가시켜 호흡을 힘들게 함.
*산, 염기 균형을 사정한다.
*필요시 suction 한다.
*desaturation의 증상이 있는지 모니터를 잘 관찰한다.
*필요시 산소를 공급한다.(Feeding중,후) 저산소증과 과탄산증 예방
*호흡곤란으로 인한 청색증을 관찰한다.
<간호수행>
*2시간 마다 v/s check함.
*1분동안 호흡수 측정한다.
*retraction 관찰한다.
*호흡음을 사정한다.
*처방된 수액 공급을 한다.
*혈액가스 분석 시행을 한다.
*Hood box O₂공급(인큐베이터로 공급)
*SaO₂모니터링 시행함.
<평가>
*호흡횟수의 감소가 보인다.
*산소없이도 호흡조절이 가능해짐.
*SaO₂모니터상 97-100%를 유지한다.
#2. 미성숙한 체온 조절, 피하지방 조직부족과 관련된 비정상적 체온변화
<자료수집>
*제태기간 : 30+1wks,
*Bwt : 1432g
<간호목표>
*신생아는 안정된 체온을 유지한다.
<간호계획>
*미숙아에게 통제된 환경을 제공한다.
*v/s check
*체온손실을 막는다.
<간호중재>
*인큐베이터에 넣고 간호한다.
출생 1-2일까지는 Radiant warmer로 체온조절을 돕는다.
*체온을 매 2시간 마다 체크한다.
필요시 인큐베이터 온도를 조절한다.
*될 수 있는 한 스트레스를 줄인다.
*간호시 손을 따뜻하게 한다.
*청진기를 따뜻하게 하여 사용한다.
*검사나 처치할 경우 Radiant warmer에서 시행한다.
*처치시 인큐베이터의 hand hole을 통해서 시행한다.
<평가>
*체온범위가 정상범위에 (36.5℃~37.2℃) 있었다.
#3. 면역학적 방어결핍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자료수집>
*제태기간 : 30+1wks, *Bwt : 1432g
*CRP검사 결과 0.78로 0.3 이상이다.
<간호목표>
*감염의 증거가 없을 것이다.
<간호계획>
*v/s check
*처방된 항생제 투여한다.
*침습적 절차나 이에 필요한 기구는 철저하게 무균술을 지킨다.
*철저히 손씻기를 한다.
*인큐베이터 청결히 유지한다.
*I&O를 체크한다.
*활동정도를 관찰한다.
*혈액검사를 실시한다.
<간호수행>
*호흡형태의 변화나 체온유지정도를 정상범위와 비교사정한다.
*처치시 소독된 물품 사용한다.
*환아를 만질 때 항상 손씻기를한다.
*일주일에 한번씩 보육기 교체한다.
*매일 청결하고 소독된 린넨으로 교체한다.
*CRP 검사를 시행한다.C-반응성단백질은 염증과 관련되어 있다.
<평가>
*v/s상 특별한 변화 없음. 활발한 움직임.
*CRP검사 결과 < 3.0
#4. 미성숙한 피부구조, 침습적 절차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자료수집>
*IV line 연결후 침습 부위와 반창고 부위의 피부색이 붉게 변한다.
*G-tube insert시, 반창고 붙이고 때어낼때 피부색이 붉게 변한다.
*기저귀가 닫는 부분과 접히는 부위에 발적이 있다.
<간호목표>
*피부는 깨끗하고 자극이나 손상이 없을 것이다.
<간호계획>
*체위변경을 자주 시킨다.
*피부는 가능한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간호수행>
*아기머리 방향을 자주 변경시킴.귀가 눌리지 않고, 혈액순환이 잘 되도록 해준다.
*드레싱이나 테이프를 제거할 때에는 세심한 간호를 시행한다.
*피부는 가능한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기저귀가 너무 습기 차지 않도록 규칙적으로 기저귀를 점검하여 교환한다.
<평가>
*피부가 깨끗하고, 손상이 없었다.
3. 결론
이번 신생아실 실습으로 산모의 뱃속에서 건강하게 태어나는 것이 정말 큰 축복 이라는 것을 새삼 느낄 수 있었다. 내가 본 집중 치료를 받는 거의 대부분의 아기들은 호흡기, 심장등의 생명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질환을 갖고 있는 아이에서부터 생명에는 지장이 없지만 외모상 기형인 신생아였다. 말은 못 하지만 얼마나 아플까 하는 생각에 너무나 안타까웠다.
또, 그들이 치료 후에 과연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을까도 걱정이 되었다. 많은 부분 원인은 조산이었다. 나또한 미래의 한 아이의 엄마가 될 것이다. 이는 여성으로서 한번쯤은 깊이 생각해 볼 일이다. 건강한 아기의 탄생을 위해서는 산모의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함을 알고, 자신의 건강상의 문제를 바로 알고 이상증후를 자주 점검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 같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4.08.19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37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