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조사론 과제)단일사례연구 설계 중 ABCD와 복수기초선 설계에 대해 사례를 들어 기술하시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조사론 과제)단일사례연구 설계 중 ABCD와 복수기초선 설계에 대해 사례를 들어 기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ABCD 설계 및 사례

3. 복수기초선 설계 및 사례

본문내용

도입했으나 표적행동(근로일수)에 전혀 변화가 없었다. 첫 개입단계인 B.
그래서 사회기술훈련을 중단하고 새로운 프로그램인 근로보상을 도입했으나 표적행동에 전혀 변화가 없었다. 제2 개입단계인 C.
그래서 다시근로보상프로그램을 중단하고 다시 새로운 프로그램인 사례옹호(D : 제3의 개입)를 도입하였더니 표적행동이 크게 변화하였다. 여기까지 하면 ABCD 설계가 된다.
△ 장점 : 클라이언트에게 적합한 새로운 개입방법을 적용해 볼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에 게 도움이 되지 않는 개입을 수정하려 하거나 개입의 어느 부분이 실제로 표적문 제에 변화를 가져오는지를 설명하고자 할 때 다중요소설계는 유용하다.
△ 단점 : 상호작용 효과, 즉 클라이언트가 두 가지 혹은 세 가지 개입을 함께 경험함으로 써 개입의 효과가 누적되는 경향이 있어 특정한 개입에 대한 개별적 효과를 파악 할 수 없다. 이월효과, 순서효과, 우연한 사건이 일어날 수 있다.
① 이월효과(carry-over)
각기 다른 개입이 계속되는 동안 C, D의 개입효과는 연속적인 선행효과들과 섞여서 나 타나는 효과를 뜻한다. 즉 B개입이 C단계에, B, C개입이 D단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의미다. 상기 예에서 사례옹호프로그램이 효과를 나타냈을 때 이것은 이전의 근로보상과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에 의한 이월효과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② 순서효과
개입이 ABCD 순서적으로 실시되기 때문에 그 순서가 표적행동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는 것이다. 만일 D단계의 사례옹호를 B단계나 C단계로 바꾸었다면 개입효과가 없는 것 으로 나타날지도 모른다는 얘기다. 이런 경우 개
  • 가격1,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4.04.26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50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