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LAN의 기술 발달과 향후 전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Ⅰ.1 무선LAN
Ⅰ.2 유선 LAN의 현황과 문제점

Ⅱ. 본 론
Ⅱ.1 무선LAN의 기술
Ⅱ.1.1 무선 LAN의 물리층
Ⅱ.2 무선 LAN 보안
Ⅱ.2.1 현재 사용되고 있는 보안 기법들
Ⅱ.2.2 무선 LAN의 구축 예
Ⅱ.3 무선 LAN의 표준화
Ⅱ.3.1 MAC(MEDIUM ACCESS CONTROL)
Ⅱ.3.2 802.11의 무선LAN 시스템 구성
Ⅱ.3.3 무선 LAN의 구성 요소

Ⅲ. 결 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stem)는 사실상 유선LAN의 NOS와 다를 바가 없다. 단지 무선과 유선을 연결해 주는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가 필요할 뿐이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를 드라이버라고 하는데, 결국 무선 LAN상품을 선택할 때는 그 상품이 사용자가 고려하고 있는 NOS를 지원 하는지의 여부만 확인하면 된다.
참고로 유선LAN의 망운영체제(Network Operating System)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우선, NOS란 다른 소프트웨어와 독립으로 네트워크 하드웨어가 단일화된 시스템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보장해 주는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말하는 것으로 이는 크게 동배간 (Peer-to-Peer) 방식과 클라이언트-서버(Client-Server)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Ⅲ. 결론
이미 시장에서는 제품이 등장하여 보급이 시작되었으며, 향후 10Mbps 등의 고속화 심의가 활발해질 것이다. 유럽의 ETSI에서는 주파수 5GHz대에서 전송속도가 20Mbps인 고속 무선LAN 등의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용도에 따라서, 이와 같은 고속 무선 LAN도 보급되리라 생각하지만 동시에 이와 같은 표준이 IEEE 802.11에 반영되어 IEEE 802.11표준으로서 저 가격 고속 무선LAN의 등장이 기대되고 있다.
1) ATM-LAN의 표준을 진행하는 ATM 포럼에서는 ATM의 WG를 설립하여 표준화 (25Mbps)를 시작하는 등 고속 무선LAN을 둘러싼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2) 일본에서 표준화되고 있는 무선LAN의 대역은 3GHz(준 마이크로파)대 이하 ISM band인 2.4GHz대(2.471~2.497GHz)와 19GHz대(19.495~19.555GHz) 7채널이며, 대역폭은 각각 26MHz와 80MHz이다. 한편 5GHz 경우, 1999년 11월 1일 우정성은 5GHz대의 Broadband Mobile Access System에 대한 기술적 조건에 관한 전기 통신 기술심의회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band는 산업 과학 의료용 대역이라는 의미이지만, 이 대역은 이미 전자렌지나 의료용 메스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무선 LAN의 대역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이들 기기로부터 발생하는 소음 대책을 강구 할 필요가 있다. 그 대책으로 스펙트럼 확산 방식이 있다.
또, 일본의 무선 LAN에 관한 표준화 단체로서 ARIB가 있는데, 여기에서는 이미 2.4GHz대(전송속도 256k~2Mbps)와 19GHz대(전송속도 10M~15Mbps, 구내 무선국을 설치하기 위한 면허가 필요) 표준화를 종료하였다.
ARIB에서는 IEEE 802.3 CSMA/CD와 호환성을 갖는 10Mbps 광 무선 LAN 시스템 (적외선 사용)의 표준 규격을 정한 것을 시작으로 무선 LAN의 고속화를 목적으로 심의가 진행 중이다.
3) 19GHz대 고속무선LAN 시스템
NTT에서 개발한 19GHz대 무선 LAN 장치는 CM(Control Module)과 UM (User Module)으로 구성되며, CM 1대로 10대까지의 UM과 통신이 가능하고, UM은 8 포트의 HUB 기능을 내장하고 있어, 최대 80대의 단말을 동시에 운용 할 수 있다. 무선LAN은 실내에서 사용되므로, 전파가 벽이나 집기 등에 의해 복잡하게 반사하여 발생하는 multipath로 통신품질이 약화되기 때문에 이것을 극복하는 기술의 개발이 과제이다. 그 때문에 CM은 무지향성, UM은 좁은 빔 12섹터 안테나를 사용함으로써 멀티패스에 의한 통신품질의 열화를 저감함과 동시에, 12섹터 안테나에 의한 각도 다이버시티를 채용하여 통신효율을 향상시켰다.
이 장치에서는 무선 구간에서 신호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통신을 CM에서 일원적으로 관리하는 GSMA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또 Ethernet 패킷 길이는 64~1,518Byte로 가변길이이므로 이 장치에서는 패킷 길이를 검출하여 무선 패킷을 생성함으로써 최대 15.2Mbit/s의 처리량을 얻고 있다.
무선 LAN은 많은 부분에서 적용에 대한 효율성과 배선으로부터의 해방이라는 최대의 장점을 이용해서 이용되고 있음을 알수 있었고 그 수요가 점차 증대되어가는 것을 알 수 있다.
표준과 호환성, 간섭, 보안등의 많은 단점을 보유하고 있으나 지속적인 개발과 연구로 경쟁력을 극복하여 미래의 생활에 많은 부분을 차지할거라 확신한다. 또 한 아직은 유무선의 혼합적인 구축이 사무실등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지만 앞으로는 전 지역에서 무선으로만 구성이 될것이고 빌딩이라든지 지역간의 설치비에 대한 부담감을 해소할수 있는 역할을 할것이라 본다.
아직은 많은부분에서 무선 LAN이 이용되고 있지는 않지만 앞으로 그 필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많은 장점들에 인해 수요가 증가됨을 알수 있다. 대학내, 공항 나아가 국가 전체의 인프라망 구성에 무선 LAN이 도입되어 생활의 편리함, 누설에 대한 부담감으로 부터의 해방, 언제 어디서나 통신을 이용할수 있도록 할것이다.
Ⅳ. 참고 문헌
[1] 뉴미디어 개발 협회 "무선 LAN 시스템에 관한 조사 연구 보고서" 1991 1992
[2] 한국 전산원 "A Technical Guideline of the Wireless LAN for Public
Institutions" 1996
[3] 한대훈, “무선 데이터 시스템에서 Master-Slave MAC 제어기의 구현에 관한 연구”, 2002
[4] 5GHz 대역 무선접속망 기술 및 응용 서비스,” 이성춘, 이미숙, 김대근, 신기수, 정보통신연구 제15권 4호, pp.11-25, 2001년 12월.
[5] 정보통신부 "특정 소출력 무선국용 무선기기의 기술적 조건"
[6] Craig J. Mathias "Wireless LAN 개요"
[7] Artech House "Wireless LAN System" 1994
[8] NIKKEI Comunication "무선 LAN의 분석" 1992
[9] 무선 LAN의 기술강좌 자동 인식 기술
[10] 이석규, 차세대 추선 LAN동향, 주간기술동향 , 1992.6.1
[11] 강희일, 무선 LAN의 최근 기술동향 및 향후 전망, 1994

키워드

무선,   구축,   해결,   네트워크
  • 가격3,0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11.07.18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01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