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인터넷과그리드인터넷의분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인터넷의 출현 배경
1.3 GRID의 출현 배경
Ⅱ 인터넷의 구조
2.1 인터넷 개념
2.2 인터넷 브라우져
2.3 인터넷의 보안
Ⅲ GRID의 구조
3.1 GRID 개념
3.2 GRID 미들웨어
3.2.1 GRID 정보 서비스
3.2.2 GRID 자원 관리
3.2.3 GRID 보안
3.2.4 사용자 환경
3.3 미들웨어 툴킷 - 글로버스
Ⅳ 결론
4.1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AM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요소로써 원격지에 있는 파일을 사용하여 작업을 처리하기 원하거나 원격지에서 처리한 작업의 결과를 또 다른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GridFTP는 GRID 내의 데이터가 대규모 대용량이란 점을 고려하여 고속으로 파일 전송과 파일의 이어받기를 가능케 하는 요소이다. Replica catalog는 데이터 GRID를 위해 개발된 것으로 데이터들을 분산 저장 및 관리함으로 필요할 때에 신속하게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참고 문헌 및 관련 사이트 : http://www.Gridforumkorea.org
- 2002년 국가 그리드 기반구축사업보고서 (한 국 과 학 기 술 정 보 연 구 원)
Ⅳ.결론
여기까지 기존의 Internet과 GRID Internet을 알아봤다. 아직 사용 중인 Internet과 차세대 GRID Internet과의 차이를 한번 알아보겠다.
GRID는 지역적으로 떨어져 있는 사람들끼리 협력해서 작업을 수행할 뿐 아니라 이러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대용량 멀티미디어의 이동, 더욱 활발해진 커뮤니케이션 실현, 정보의 구조화로 자원낭비를 막는 등 기존의 Internet의 수동적이고 조금 폐쇄적인 개념을 벗어나 더욱더 효율적이고 강력한 네트워크가 될 것이다. 기존 인터넷과 GRID의 차이점을 이해하기 쉽게 <표4.1>에 정리하였다.
기 능
인터넷
그 리 드
비교(인터넷:그리드)
개발자
Tim Bemers외
다수(영국)
Ian Foster외 다수(미국)
상용화 효과
인터넷 이용 확산,
e-Bussiness 태동
인터넷 이용 심화
e-Bussiness 정착
인터넷의 태동 : 정착
전 송 구 조
Server to Client 중심
Peer to Peer 중심
C/S중심 : P2P 중심
전 송 속 도
Kbps ~ Mbps
Gbps ~ Tbps
정 보
정적 정보 제공
동적 정보 제공
단일경로 :
동일한 논리공간
자 원 할 당
단일자원 할당
다중 자원 할당
단일자원 : 다중자원
보 안
비단일 인증 기능
단일 인증 기능(SSO)
DES : PKI
아 키 텍 처
단일계층
다중계층
mapped계층 :
mix & match
서비스 유형
연결
가상조직
ISP 중심 ; 사용자중심
서비스 구성
정적
동적
세션 설치 후
<표4.1> WWW와 GRID의 간단 비교
표에서 보았듯이 GRID Internet이 기존 Internet에 비하여 월등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인터넷 시대의 새로운 지표를 열어 갈 것이다. 하지만 기술의 발달로 생기게 될 문제를 미리 예방하는 것도 GRID개발과 함께 병행하여야 할 것이다. 현재 사용 중인 인터넷에서 발견되고 있는 문제점이 개선되지 않고서는 GRID의 개발이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현존하는 문제들이 더 크게 확산될 수 있다.(사생활 보호, 그릇된 인터넷 문화의 확산 등)
4.1 결론
본 연구는 현재 IT에서 크게 대두되고 있는 Internet과 GRID Internet의 출현배경과 구조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현재 인터넷은 클라이언트/서버 기반에서 정보는 정적으로 교환이 되고 있으며, 현재의 정보는 서버에서만 관리하기에 엄청난 양으로 증가하고 있기에, 이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고자 GRID가 제시된 것이다.
기존의 Interent과 GRID 컴퓨팅과 기존 분산시스템의 차이점으로는 수용 가능한 시스템의 수가 무한대이며, 이기종의 시스템을 기본으로 한다는 것이다. 또한 컴퓨팅 자원의 동적인 추가와 삭제가 가능하며 컴퓨팅 액세스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하고 컴퓨팅 자원에 접근, 사용에 있어서 투명성을 제공하는 것이 큰 차이점으로 발견되었다. 이런 장점을 바탕으로 GRID는 차세대 인터넷으로 전문적인 분야부터 일반적인 분야로 확산,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현재 개발 중에 있는 GRID가 새로운 기술추세로 자리 잡을 것이다. 하지만 그에 따른 보안 또한 철저하게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4.1.1 연구의 한계점
본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아직은 사회적 이슈화가 되고 있는 GRID에 관한 자료가 많이 부족하였다. 국내에는 원어로된 도서조차 없는 실정이며, ‘GRID 포럼 코리아’는 발족된지 6년 정도 된 상황으로 아직까지 무한한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전문적으로 된 용어는 일반인에게 거리감을 생기게 할 수 있다.
이 분야는 광범위하게 전 세계적으로 연결시켜 이루어지는 네트워킹으로 인해 기술적인 부분을 연구하기는 어려움이 따랐다.
4.1.2 향후 연구 방향
아직 많은이가 Internet을 사용하며, 차차 GRID라는 현재 계발 진행 단계이며 점차적으로 진보해 가고 있다. 이는 아직 발전될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는 것을 볼 수 있다. GRID 기술은 다양한 기술 분야와 IT 산업을 접목시키는 데 있어서 새로운 방법을 제공해 준다. 먼저 현재 수행 중에 있는 기후 GRID나 생명공학 GRID의 경우 100년 정도의 기후까지 예측할 수 있다는 견해가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으며 ,생명공학분야는 현재 불치병으로 여겨지던 암과 AIDS의 치료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예견하고 있다. 이를 위해 각 분야의 전문가들의 연구결과가 다른 분야의 연구자에게 신속히 전달되어 신기술을 개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몇 년 전부터 국가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돌발적 기후에 관하여 지역간 기상청에 슈퍼컴퓨터를 구축, 연결시켜야 할 것이며, 국내의 경우 대학교, 병원 간 GRID를 구축하여 정보를 공유한다면 보다 큰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세계 각 국의 GRID 기술 개발 및 프로젝트를 벤치마킹 하여 세부적인 기술 개발 및 GRID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http://www.Kisti.re.kr
2) http://www.Gridforumkorea.org
3) 2002년 국가 그리드 기반구축사업보고서 (한 국 과 학 기 술 정 보 연 구 원)
4) 컴퓨터 이해와 활용을 위한 컴퓨터과학개론 -저 : 박재년 - 21세기사 -
5) I am Computer - 저 : 강성호변혜란 - 인터버젼 -
6) 전산학 개론 - 저 : 이상범 외 - 정익사
  • 가격3,000
  • 페이지수48페이지
  • 등록일2011.07.18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02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