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임상병리검사 -혈액, 소변검사
2. 대변검사
3. 방사선 검사
4. 특수검사
2. 대변검사
3. 방사선 검사
4. 특수검사
본문내용
lium) 과 같은 진정제를 정맥주사하거나 Meperidine(Demerol)같은 진통제를 미리 투여함으로 써 불편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 내시경 시술 시 시야 확보위한 공기 투여가 압박감이나 팽만감을 유발할 수도 있다.
- 검사 후 환자에게 연하곤란, 출혈, 통증 증상이 있는지 확인하고, 구토반사가 확인될 때까지 구강으로 음식물을 투여해서는 안된다.
② 결장경검사(colonoscopy)
- 광학섬유 결장내시경검사(fiberoptic colonoscopy)는 대부분의 환자에게 전체 결장을 검사하는데 이용된다. 양성 및 악성 종양을 평가하거나 폴립의 제거, 생검, 출혈부위의 위치를 밝혀내기 위해 사용된다.
- 사전 준비로 환자는 2~3일간 맑은 유동식, 강력한 하제를 제공받고 검사 당일에는 관 장이 실시된다. 결장 내시경 검사중에는 전반적으로 전해질 소실이 일어나므로검사 하루 전날 삼투성 용액을 경구로 충분히 공급한다.
- 약 4리터의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 Colyte)용액을 빠른 속도(매15분 당 24ml)로 주입하므로 환자는 30~60분안에 다량의 묽은 설사를 하게 되며, 약 4시간 동안 지속된다.
- 검사 전 환자는 적어도 8시간동안 금식상태를 유지하고 시술전 Midazolam(Versed)이 나 Diazepam(Valium), Meperidine(Demerol)같은 약물이 투여되는데 필요한 경우 검사 중에 투여될 수도 있다.
- 결장점막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결장경을 삽입할 때 공기를 주입하는데 이는 흔히 복부경련을 유발한다.
- 검사 후 활력징후 변화, 심한복통, 직장출혈이나 발열증상이 나타나는지 주의깊게 관 찰
- S상 결장경검사(sigmoidoscopy)는 결장경검사보다 더 많이 실시되며, 항문, 직장, 원 위 S상결장을 관찰하는데 이용된다. 대장의 폴립, 종양의 75%가 이를 통해 확인된다.
환자는 이틀간 유동식을 먹어야 하고 검사전에 금식을 한다. Fleet관장이나 청결관장이 처발될 수 있고 검사시 knee-chest position,를 취하고 굵은 S상 결장경이 삽입될 때 당 장 배변하고 싶은 느낌은 불편감을 유발할 수 있으나 진정제를 항상 사용하지는 않는다.
- 검사 후 팽만, 압통, 출혈을 관찰하고 환자는 검사 동안 다량의 공기를 주입받음으로 써 다량의 가스를 배출할 수도 있으며 생검을 실시한 경우에는 출혈이 있을수도 있다.
- 내시경 시술 시 시야 확보위한 공기 투여가 압박감이나 팽만감을 유발할 수도 있다.
- 검사 후 환자에게 연하곤란, 출혈, 통증 증상이 있는지 확인하고, 구토반사가 확인될 때까지 구강으로 음식물을 투여해서는 안된다.
② 결장경검사(colonoscopy)
- 광학섬유 결장내시경검사(fiberoptic colonoscopy)는 대부분의 환자에게 전체 결장을 검사하는데 이용된다. 양성 및 악성 종양을 평가하거나 폴립의 제거, 생검, 출혈부위의 위치를 밝혀내기 위해 사용된다.
- 사전 준비로 환자는 2~3일간 맑은 유동식, 강력한 하제를 제공받고 검사 당일에는 관 장이 실시된다. 결장 내시경 검사중에는 전반적으로 전해질 소실이 일어나므로검사 하루 전날 삼투성 용액을 경구로 충분히 공급한다.
- 약 4리터의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 Colyte)용액을 빠른 속도(매15분 당 24ml)로 주입하므로 환자는 30~60분안에 다량의 묽은 설사를 하게 되며, 약 4시간 동안 지속된다.
- 검사 전 환자는 적어도 8시간동안 금식상태를 유지하고 시술전 Midazolam(Versed)이 나 Diazepam(Valium), Meperidine(Demerol)같은 약물이 투여되는데 필요한 경우 검사 중에 투여될 수도 있다.
- 결장점막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결장경을 삽입할 때 공기를 주입하는데 이는 흔히 복부경련을 유발한다.
- 검사 후 활력징후 변화, 심한복통, 직장출혈이나 발열증상이 나타나는지 주의깊게 관 찰
- S상 결장경검사(sigmoidoscopy)는 결장경검사보다 더 많이 실시되며, 항문, 직장, 원 위 S상결장을 관찰하는데 이용된다. 대장의 폴립, 종양의 75%가 이를 통해 확인된다.
환자는 이틀간 유동식을 먹어야 하고 검사전에 금식을 한다. Fleet관장이나 청결관장이 처발될 수 있고 검사시 knee-chest position,를 취하고 굵은 S상 결장경이 삽입될 때 당 장 배변하고 싶은 느낌은 불편감을 유발할 수 있으나 진정제를 항상 사용하지는 않는다.
- 검사 후 팽만, 압통, 출혈을 관찰하고 환자는 검사 동안 다량의 공기를 주입받음으로 써 다량의 가스를 배출할 수도 있으며 생검을 실시한 경우에는 출혈이 있을수도 있다.
추천자료
신우신염 case study -급성 신우신염, 정의,빈도, 간호력, 진단검사
하부호흡기계진단적검사
(간호학) 신장이식과 간호, 진단검사
SAH, 지주막하출혈 - 정의, 원인 및 병태생리, 임상증상, 진단검사, 내과적 관리
순환기계의진단적검사[1]
중환자의진단적검사
심장 장애를 가진 대상자를 위한 진단검사 및 간호사정
[의학과][진단검사의학과] 결핵배양
급성신부전의 이론정리 및 진단검사와 치료 예시
폐결핵 case study [ 성인간호학 실습 폐결핵 컨퍼런스 자료 - 문헌고찰, 약물, 진단검사, 과...
간,담도 및 췌장의 건강문제과 간호, 간의구조, 간의기능, 담도의구조, 담도의기능, 췌장의구...
동맥류 (동맥류 정의, 동맥류 병태생리, 동맥류 원인, 동맥류 분류, 동맥류 호발부위, 동맥류...
뇌졸중 ( 뇌졸중 정의, 뇌졸중 종류, 뇌졸중 증상, 뇌졸중 진단검사, 뇌졸중 합병증)
급성 ·만성 동맥 폐색 (급성 ·만성 동맥 폐색 원인, 급성 ·만성 동맥 폐색 증상과 징후,급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