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론
대상기업 소개
1-1. 경영이념
1-2. 사업전략
1-3. 주요제품소개
1-4. 선정이유
II. 본 론
1. 안경시장의 SWOT 분석
2. 제품포트폴리오 매트릭스
III. 결 론
1. 성과
2. 성공요인
3. 개별 사례
4. 앞으로의 과제
대상기업 소개
1-1. 경영이념
1-2. 사업전략
1-3. 주요제품소개
1-4. 선정이유
II. 본 론
1. 안경시장의 SWOT 분석
2. 제품포트폴리오 매트릭스
III. 결 론
1. 성과
2. 성공요인
3. 개별 사례
4. 앞으로의 과제
본문내용
86년 31살의 어린 나이에 사표를 던지고 나와 회사를 차렸다. 사장 혼자 서 007가방 하나 달랑 들고 미국을 누볐다. 6개월여를 발이 부르트도록 찾아다닌 결과 100개짜리 주문을 겨우 받아냈고, 이것이 성장의 밑거름이 됐다.
뉴스타가 자사브랜드인 '시선(SEE-SUN)' 을 개발해 외국 유명브랜드와 맞선 것 도 그 동안 주문자상표부착방식(OEM) 수출에 의존해온 업계 관행과! 는 다른 왕따 전략의 일환이었다.
이후 뉴스타의 매출은 매년 10%대의 성장세를 보이면서 지난 2002년 매출 155 억원을 달성했고 국내 소비침체, 중국 등 후발국의 추격으로 안경업체들이 쓰러져간 지난해에도 현상유지를 했다.
상식을 깨는 뉴스타의 돌출행위는 지난해에도 계속됐다. 불경(?)스럽게도 바이어를 구조 조정한 것이다.
불경기라면 으레 한 사람의 바이어라도 더 끌어들이려하는 게 정상이지만 마진 을 낮게 책정하는 바이어는 과감히 털어내 수익구조를 개선했다. 제품과 브랜드에 대한 자신감이 없었으면 불가능한 일이었다.
뉴스타는 동양인의 얼굴형을 연구해 한국형 안경을 처음 만들었다.
동양인은 서양인에 비해 얼굴은 평균 4㎜가 넓은 반면, 얼굴 앞면에서 귀까지 거리는 많게는 1㎝까지 짧지만 서양인 기준의 안경만 판매하다보니 안경 구매 시 억지로 비틀거나 늘려 수명이 급격히 줄어드는 등 부작용이 컸다. 뉴스타는 여기에 착안해 기술표준원, 전남대와 공동으로 한국인 1000명을 대상으로 일일 히 치수를 재서 안경을 디자인했다. 30ㆍ40대 위주의 고가 브랜드인 시선의 성공에 힘입어 10ㆍ20대 위주를 겨냥한 '엔프리'를 출시했다.
3-2. 반도 옵티컬 뱅크의 성공사례
기업탐방 '반도광학'
좋은 품질로 역수출 도모- 반도광학은 1986년 설립되어 국내 처음 ‘죠다쉬’라는 브랜드를 런칭 그 뒤를 이어 Guy Laroche, renoma, Michko London등의 파워있는 브랜드 라이센스를 게약해 국내 안경테 시장의 품질을 높여 놓았다. 또한 최근에는 국내 라이센스 브랜드 1위를 석권할 정도로 그 입지를 확고히 다져 국내 안경테 시장에서 손꼽히는 기업이다.
이상탁 시장은 “현재 안경테 시장은 과잉생산이 여러 가지 문제를 야고 하고 있다. 과잉생산 하다보디 가격경쟁이 생긴다. 따라서 80%정도의 안경테를 수출할 수 밖에 없다.” 며 “하지만 단가가 싼 중국과의 경쟁에서 밀려 다시 내수쪽으로 돌아서고 있는 상황이다”라고 안경테 시장의 전반적인 흐름의 문제점의 대해 말했다. 이상탁 사장은 “현재 가장 중요한 것은 수출”이라고 전했다. 현재 반도광학의 주력상품은 레노마, 모야, 겐지아, 앙드레 김 아이웨어 이다. 2003년 홍콩, 타이완, 태국, 싱가폴 등 아시아 7개국으로 독점 판매권을 확대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모야는 미국의 고급 토탈 브랜드로 1999년 반도광학과 월드라이센스 계약을 해 독점하고 있다. 대만에 이어 올해 중국에 까지 수출을 단행하고 있다.”고 말해 모야가 세계를 대상으로 뻗어 나갈 수 있는 제품이라는 것을 시사했다. 반도광학의 모야 제품은 현재 국내 500개 특약점과 해외 25개국에 독점 공급되어 있어 역수출의 진가를 발휘하고 있는 제품이다.
4-1. 뉴스타광학의 앞으로의 과제
① 전략적 제휴
경쟁관계에 있는 기업이 일부사업 또는 기능별 활동부문에서 경쟁기업과 일시적인 협조관계를 갖는 전략적 제휴가 기업발전의 하나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제품수명주기의 단축과 엄청난 연구개발비용에 따른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자원공유 형태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자원과 위험을 공유하고, 전략적 제휴는 신제품개발을 위한 주변기술의 확보와 즉시적인 세계시장 침투를 위한 유통망을 확보하고 신제품개발과 시장진입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신제품개발 및 신 시장 개척에서 뿐만 아니라 기존의 사양산업에서 탈퇴하는 데에도 유용한 수단이 될 수도 있다.
② 브랜드 인지도
안경테업계의 국산브랜드 키우기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산안경테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는 여전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뉴스타 광학의 메인 브랜드인 “시선(視線)” 또한 아직 국내 외에서 브랜드 인지도가 높지 않다. 현재, 가격경쟁에서는 유리하지만, 브랜드 인지도가 낮아서 고부가가치 상품화 전략을 펼치기는 힘든 상황이다. 최근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고부가가치 상품화 전략을 위해 힘쓰고는 있으나, 극히 일부 소비자들에게 인지 되고 있는 상태이며, 해외 직접투자 추진 단계에 있기 때문에, 아직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③ 새로운 마케팅 전략
뉴스타광학의 역사가 17년이상이 되었는데, 아직까지 뉴스타광학이라는 기업명칭조차 생소하다. 현재, 뉴스타광학의 메인 브랜드인 “시선(視線)”의 마케팅 활동은 일부 명품 잡지에만 광고를 내보내고 있으며, TV나 라디오 광고 등에는 활동을 하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시선(視線)”이란 브랜드가 극히 일부에만 알려져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대중매체의 광고를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홍보가 힘들다면 다른 새로운 마케팅전략이 필요하다. 최근, 북한 선수단 전원에게 1억원 상당의 최고급 안경을 대회 조직위원장인 조해녕 대구시장을 통해 선물하기도 하고 국제 광학전의 참가를 통해서 광고효과를 거두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광고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지 않으며, 마케팅 전략에 좀 더 비중을 높여야 할 것이다.
4-2. 반도 옵티컬 뱅크의 앞으로의 과제
① 자체 브랜드 개발 필요
현재 반도 옵티컬에서는 오로지 해외 및 국내 브랜드 라이센스에 의존하고 있다. 뉴스타광학의 시선처럼 국내 브랜드를 개발에서 국내에 런칭 할 필요가 있다. 아직까지는 지속적인 라이센싱으로 기업을 유연성있게 유지하고 있지만 그 와중에도 틈새시장을 노리는 용기가 필요할 것이다.
② 마케팅 전략의 필요성
현재 반도 옵티컬 뱅크에서는 TV나 다른 대중매체를 통해 광고를 하고 있지 않고 있다. 하지만 브랜드 선호도 1위 제품인 레노마나 3위인 모야 제품을 가지고 있지만 이를 더욱 더 굳히기 위해서나 앞으로 국내에서 주력제품으로 선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앙드레 김 아이웨어의 홍보를 위해서는 대중매체의 광고 필요성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뉴스타가 자사브랜드인 '시선(SEE-SUN)' 을 개발해 외국 유명브랜드와 맞선 것 도 그 동안 주문자상표부착방식(OEM) 수출에 의존해온 업계 관행과! 는 다른 왕따 전략의 일환이었다.
이후 뉴스타의 매출은 매년 10%대의 성장세를 보이면서 지난 2002년 매출 155 억원을 달성했고 국내 소비침체, 중국 등 후발국의 추격으로 안경업체들이 쓰러져간 지난해에도 현상유지를 했다.
상식을 깨는 뉴스타의 돌출행위는 지난해에도 계속됐다. 불경(?)스럽게도 바이어를 구조 조정한 것이다.
불경기라면 으레 한 사람의 바이어라도 더 끌어들이려하는 게 정상이지만 마진 을 낮게 책정하는 바이어는 과감히 털어내 수익구조를 개선했다. 제품과 브랜드에 대한 자신감이 없었으면 불가능한 일이었다.
뉴스타는 동양인의 얼굴형을 연구해 한국형 안경을 처음 만들었다.
동양인은 서양인에 비해 얼굴은 평균 4㎜가 넓은 반면, 얼굴 앞면에서 귀까지 거리는 많게는 1㎝까지 짧지만 서양인 기준의 안경만 판매하다보니 안경 구매 시 억지로 비틀거나 늘려 수명이 급격히 줄어드는 등 부작용이 컸다. 뉴스타는 여기에 착안해 기술표준원, 전남대와 공동으로 한국인 1000명을 대상으로 일일 히 치수를 재서 안경을 디자인했다. 30ㆍ40대 위주의 고가 브랜드인 시선의 성공에 힘입어 10ㆍ20대 위주를 겨냥한 '엔프리'를 출시했다.
3-2. 반도 옵티컬 뱅크의 성공사례
기업탐방 '반도광학'
좋은 품질로 역수출 도모- 반도광학은 1986년 설립되어 국내 처음 ‘죠다쉬’라는 브랜드를 런칭 그 뒤를 이어 Guy Laroche, renoma, Michko London등의 파워있는 브랜드 라이센스를 게약해 국내 안경테 시장의 품질을 높여 놓았다. 또한 최근에는 국내 라이센스 브랜드 1위를 석권할 정도로 그 입지를 확고히 다져 국내 안경테 시장에서 손꼽히는 기업이다.
이상탁 시장은 “현재 안경테 시장은 과잉생산이 여러 가지 문제를 야고 하고 있다. 과잉생산 하다보디 가격경쟁이 생긴다. 따라서 80%정도의 안경테를 수출할 수 밖에 없다.” 며 “하지만 단가가 싼 중국과의 경쟁에서 밀려 다시 내수쪽으로 돌아서고 있는 상황이다”라고 안경테 시장의 전반적인 흐름의 문제점의 대해 말했다. 이상탁 사장은 “현재 가장 중요한 것은 수출”이라고 전했다. 현재 반도광학의 주력상품은 레노마, 모야, 겐지아, 앙드레 김 아이웨어 이다. 2003년 홍콩, 타이완, 태국, 싱가폴 등 아시아 7개국으로 독점 판매권을 확대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모야는 미국의 고급 토탈 브랜드로 1999년 반도광학과 월드라이센스 계약을 해 독점하고 있다. 대만에 이어 올해 중국에 까지 수출을 단행하고 있다.”고 말해 모야가 세계를 대상으로 뻗어 나갈 수 있는 제품이라는 것을 시사했다. 반도광학의 모야 제품은 현재 국내 500개 특약점과 해외 25개국에 독점 공급되어 있어 역수출의 진가를 발휘하고 있는 제품이다.
4-1. 뉴스타광학의 앞으로의 과제
① 전략적 제휴
경쟁관계에 있는 기업이 일부사업 또는 기능별 활동부문에서 경쟁기업과 일시적인 협조관계를 갖는 전략적 제휴가 기업발전의 하나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제품수명주기의 단축과 엄청난 연구개발비용에 따른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자원공유 형태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자원과 위험을 공유하고, 전략적 제휴는 신제품개발을 위한 주변기술의 확보와 즉시적인 세계시장 침투를 위한 유통망을 확보하고 신제품개발과 시장진입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신제품개발 및 신 시장 개척에서 뿐만 아니라 기존의 사양산업에서 탈퇴하는 데에도 유용한 수단이 될 수도 있다.
② 브랜드 인지도
안경테업계의 국산브랜드 키우기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산안경테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는 여전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뉴스타 광학의 메인 브랜드인 “시선(視線)” 또한 아직 국내 외에서 브랜드 인지도가 높지 않다. 현재, 가격경쟁에서는 유리하지만, 브랜드 인지도가 낮아서 고부가가치 상품화 전략을 펼치기는 힘든 상황이다. 최근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고부가가치 상품화 전략을 위해 힘쓰고는 있으나, 극히 일부 소비자들에게 인지 되고 있는 상태이며, 해외 직접투자 추진 단계에 있기 때문에, 아직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③ 새로운 마케팅 전략
뉴스타광학의 역사가 17년이상이 되었는데, 아직까지 뉴스타광학이라는 기업명칭조차 생소하다. 현재, 뉴스타광학의 메인 브랜드인 “시선(視線)”의 마케팅 활동은 일부 명품 잡지에만 광고를 내보내고 있으며, TV나 라디오 광고 등에는 활동을 하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시선(視線)”이란 브랜드가 극히 일부에만 알려져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대중매체의 광고를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홍보가 힘들다면 다른 새로운 마케팅전략이 필요하다. 최근, 북한 선수단 전원에게 1억원 상당의 최고급 안경을 대회 조직위원장인 조해녕 대구시장을 통해 선물하기도 하고 국제 광학전의 참가를 통해서 광고효과를 거두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광고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지 않으며, 마케팅 전략에 좀 더 비중을 높여야 할 것이다.
4-2. 반도 옵티컬 뱅크의 앞으로의 과제
① 자체 브랜드 개발 필요
현재 반도 옵티컬에서는 오로지 해외 및 국내 브랜드 라이센스에 의존하고 있다. 뉴스타광학의 시선처럼 국내 브랜드를 개발에서 국내에 런칭 할 필요가 있다. 아직까지는 지속적인 라이센싱으로 기업을 유연성있게 유지하고 있지만 그 와중에도 틈새시장을 노리는 용기가 필요할 것이다.
② 마케팅 전략의 필요성
현재 반도 옵티컬 뱅크에서는 TV나 다른 대중매체를 통해 광고를 하고 있지 않고 있다. 하지만 브랜드 선호도 1위 제품인 레노마나 3위인 모야 제품을 가지고 있지만 이를 더욱 더 굳히기 위해서나 앞으로 국내에서 주력제품으로 선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앙드레 김 아이웨어의 홍보를 위해서는 대중매체의 광고 필요성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추천자료
신제품 광고 전략(라면시장 마케팅)
샴푸시장 분석 및 새로운 제품 도입의 성공방안
케어스 제품의 자동차 산업과의 Convergence를 통한 시장 점유율 확대 전략 수립 기획서
스타벅스 제품 시장과 분석
비트 시장현황 소비자 니즈와 제품 커뮤니케이션 전략
사업계획서-다이어트 도시락배달전문점 창업계획서 : 제품과 시장, 운영 계획, 자본금 및 재...
캐논 (canon) - 시장현황, 제품, 생산방식, 기업문화, 마케팅
스마트폰 정의.확산배경,스마트폰시장분석,스마트폰 제품별비교,스마트폰으로인한 우리생활패...
댕기머리샴푸 제품SWOT분석및 마케팅STP,4P전략분석보고서 - 시장환경, 환경분석, 발전방향
오리온 마켓오 제품분석및 마케팅전략분석 - 기업분석, 과자시장의 현황, 외부환경분석, 마이...
[전자산업]전자제품 시장의 성장과 중국의 진출전략 보고서
[e서비스의 설계] 제품,시장 유형에 따른 e-서비스, 프로세스 유형에 따른 e-서비스(이서비스)
꼬꼬면의 시장점유율 확대위한 마케팅전략 방안연구및 꼬꼬면 실패요인분석과 제품분석및 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