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전략-디보스에 대한 사례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구⋅경북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전략-디보스에 대한 사례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 서 론

Ⅱ . 해외진출전략에 대한 이론적 배경
1. 해외진출 방식 결정
2. 직접투자에 의한 진출방법

Ⅲ . 디보스의 연혁과 현황 및 해외진출전략의 수립
1.디보스의 연혁과 현황
2.해외진출전략의 수립
⑴ 해외진출 방식 결정
⑵ 직접투자에 의한 진출방법

Ⅳ . 결론

본문내용

차지하고 있다. 또한 스웨덴 자체가 대외 의존형 경제이므로 교역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과 매너는 상당히 세련되어 있다. 한편 그간 중립국으로서 쌓아온 국제 사회에서의 신인도와 기술제품 수출국으로서의 명성 등을 고려할 때, 가격 경쟁력을 갖춘 Made in Sweden 이라고 하게 되면 판로개척에 유리하다.
외국인 투자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으며, 외국인 투자자에 대해서도 국내업체와 동일한 대우(지원)제공을 기본 원칙으로 하고 있다. 종래에는 스웨덴의 중요산업을 보호하는 성향이 강했으나 점차 외국인의 소유권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변동하고 있으며, 특히 지역 간 균형개발을 위하여 외국인 투자자에 대해서도 국내업체와 동일한 대우(지원)제공을 기본원칙으로 한다.
디보스는 이런 입지적 여건에서 유럽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스웨덴 스톡홀름에 ‘디보스 노르딕’이라는 현지 법인을 전격적으로 설립한다. 스웨덴 시장은 당시 대기업들의 경쟁이 약한 상태에다 경제 부국으로서 국민 소득이 높아 잠재적인 시장 형성 기대가 높았다.
디보스가 가장 먼저 찾아간 곳은 일반 가전 유통 업체가 아니라, 스웨덴 최대의 인터넷 판매 업체인 더스틴사였다.
“브랜드 파워가 약하기 때문에 처음부터 가전 전문 매장을 목표로 하면 싼 가격으로 팔 수밖에 없습니다. 손쉬운 입점 방법이지만 결국에는 미래가 없는 일이죠.”
신동규 현지 법인장의 설명처럼 대부분의 업체가 시장의 장벽을 뚫을 때 흔히 쓰는 가격 정책을 디보스는 과감히 포기했다. 대신에 다른 방법을 선택한 것이다. 일반 가전 매장을 찾는 소비자들에 비해 인터넷 쇼핑을 즐기는 소비자들의 연령층이 젊고, 젊은 층은 브랜드보다 제품의 품질에 더 주목한다는 계산을 했다.
디보스는 더스틴과의 미팅에서 한국의 정통 사극을 시연했다. 빠른 무술 장면을 통해 디보스의 LCD TV가 빠른 움직임도 부드럽게 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극대화시킨 것이다. 게다가 한국의 전통 문화를 소개함으로써 한국 문화 전반에 관한 이미지 재고에도 좋은 방법이었다.
디보스의 전략은 적중하여 마침내 디보스의 기술력을 인정한 더스틴은 판매를 전격 결정하였고, 인터넷 유통에서 매출이 올라가기 시작하자 거꾸로 스웨덴 최대의 일반 가전 유통 업체인 테크데이터사가 먼저 찾아왔다. 물론 테크데이터와의 계약에서 가격 인하 조항은 찾아볼 수 없었다. 처음부터 테크데이터의 문을 두드렸다면 상상할 수 없는 조건이었다. 디보스는 드디어 2004년 10월 스웨덴 최대의 가전 유통업체인 테크데이터에 첫 납품을 시작한다. 디보스의 판매가 정상 궤도에 올라서는 첫 출발이었다. 이와같이 해당국가를 분석하여 적극적으로 입지적 우위를 확보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Ⅳ . 결론
본 연구에서는 대구경북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전략을 디보스의 사례를 들어 알아보았다. 해외진출 전략의 이론적 배경인 해외진출방식의 결정과 직접투자에 의한 진출방식에 대해 고찰해 보고, 이 이론을 바탕으로 디보스의 연혁과 현황을 바탕으로 SWOT분석과 해외직접투자 이론인 절충이론에 따라 디보스의 해외진출전략에 대해 알아보았다.
해외직접투자에서 우리 기업이 직면하고 있는 과제는 네 가지 측면에서 볼 수 있다.
세계화에 대비한 기업체질 강화의 문제, 신산업의 적극적 개척 문제, 해외투자지원체제 강화 문제, 정부기업노조의 공조를 들 수 있다.
대구경북 중소기업의 글로벌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지역 중소기업으로서 스웨덴 시장을 포함한 유럽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는 디보스의 사례를 바탕으로 대구경북 중소기업도 적극적인 해외진출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해외직접투자뿐만 아니라, 수출, 라이센싱, 합작투자 등을 다각도로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야겠다.
  • 가격무료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7.22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09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