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균의 문학사적 의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김광균의 문학사적 의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① 이병각(1938)

② 김기림(1947)

③ 백철(1949)

④ 홍효민(1959)

⑤ 조연현(1961)

⑥ 김윤식·김현(1973)

⑦ 정태용(1970년대)

⑧ 김규동(1970년대)

⑨ 김종철(1975), 박철희(1980)

⑩ 박철석(1980년대)

⑪ 장윤익(1980년대)

⑫ 조동민(1980년대)

⑬ 김은전(1977, 1980년대)

⑭ 문덕수(1981)

⑮ 조동일(1982)

⑯ 김재홍(1986)

⑰ 김흥규(1986)

⑱ 원명수(1987)

⑲ 서준섭(1988)

⑳ 최동호(1990)

㉑ 박태일(1991)

㉒ 김재용 외(1993)

㉓ 김용직(1996)

㉔ 권영민(2000)

㉕ 김명옥(2000)

㉖ 김유중(2000)

㉗ 윤지영(2002)

㉘ 이남호(2004)

3. 결론

본문내용

감각만큼은 인정했다. 그의 이미지즘이 서구의 이론에 충실하지 못했거나 이론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모습이라는 의견이 박철석 등에 의해 제기되기도 했지만, 이는 우리 시단이 서구의 기준을 따를 어떤 필연적 이유도 없다는 김유중의 주장으로 대답해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주로 비애와 고독, 향수로 표현되는 그의 서정성과 감상에 대해서는 평이 엇갈리는 양상이었다. 전대의 감상의 분출에서 벗어나 절제된 감정과 이미지가 잘 조화시켰다는 의견이 있는 반면, 소재에 대한 본질적인 접근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그저 감정을 드러내는 데 그쳤다는 의견이 있었다. 전자에는 정태용, 김흥규, 원명수, 최동호, 김유중 등이 해당되고, 후자에는 조동민, 조동일, 박태일, 김용직, 권영민 등이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김광균의 한계점으로는 하나같이 현실인식, 역사의식의 부재를 꼽았다. 김윤식·김현을 비롯해 박태일 등이 이 부분을 날카롭게 지적했다. 이에 대해 원명수와 김유중은 김광균이 간접적인 방법으로 현실의식과 역사의식을 드러내려고 한 흔적을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역시 한계를 인정하는 입장을 견지한 상태에서 논의를 진행하는 모습이었다.
모든 점에서 완벽한 예술가도 작품도 없듯이 김광균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긍정적이지만 부분적인 비판을 피해갈 수 없었다. 그럼에도 그의 문학사적 의의는 분명해보이고,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김광균은 ‘서정주의에 기반을 두고 회화적(시각적·감각적) 이미지를 잘 살린 시를 쓴 실천적 모더니스트’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참고문헌에서 80년대 이전의 책은 직접 검토하지 못한 채 김명옥(2000), 김유중(2000), 김학동 외(2002)에 정리된 김광균 연구사에 의지한 점은 이 보고서의 한계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30년대에서 70년대 자료에 접근하기 어려웠다. 자료를 구하기도 어렵고 구하더라도 가독성이 낮은 자료가 많았으며, 한자를 독해하는 데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어 2차 자료에 기댈 수밖에 없었다. 나름대로 80년대 이후의 자료는 연구사에 언급되지 않은 자료들까지 최대한 다양한 문헌을 참고하려고 노력했고, 다양한 논의를 수집하는 데 어느 정도 성공했다고 판단된다.
참고문헌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1』, 민음사, 2002.
김광균, 『와사등』, 열린책들, 2004.
김광균, 『와사등 : 김광균 시선』, 미래사, 1991.
김명옥, 『한국 모더니즘 시인 연구』, 한국문화사, 2000.
김용직, 『한국현대시사 1』, 한국문연, 1996.
김유중, 『김광균 : 회화적 이미지와 낭만 정신의 조화』, 건국대학교출판부, 2000.
김재용 외, 『한국근대민족문학사』, 한길사, 1993.
김학동 외, 『김광균 연구』, 국학자료원, 2002.
김흥규, 『한국문학의 이해』, 민음사, 1986.
박철석, 『한국현대문학사론』, 민지사, 1990.
서준섭, 『한국 모더니즘 문학 연구』, 일지사, 1988.
정한숙, 『현대한국문학사』 2판3쇄,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9.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1982.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7.25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11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