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2. 이론적 배경
3. 실천과정
4. 활용 및 평가
2. 이론적 배경
3. 실천과정
4. 활용 및 평가
본문내용
있도록 그 상황을 점차적으로 변경하여 가는 방법을 말한다. 대인관계에 미숙한 클라이언트에게 대화법을 학습시키고자 할 때 우선은 사회복지사와의 관계에서 대화법을 익힌 후에 점차 다른 상황의 대인관계에까지 확대시켜 나가는 방법이 바로 용암법을 적용한 행동학습이다.
③ 후속결과(C)영역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 제거 목적
소거
어떤 행동에 대해 더 이상 강화를 해 주지 않음으로써 그 행동의 발생을 약화시키는 기술
처벌
- 어떤 행동이 발생했을 때 불쾌한 결과를 동반시킴으로써 그 행동을 약화시키는 기술
- 벌은 새로운 행동을 가르치지 못하고 단순히 불쾌감만 주므로 행동변화가 쉽지 않고 효과적이 못함.
- 벌의 종류
① 불쾌한 결과 부가
② 유쾌한 결과 제거 - 보다 효과적임
예) 식탁에서 싸우는 아이들에 대한 벌은 식후에 늘 보던 만화영화를 보지 못하게 하는 것
③ Time-out : 문제행동을 하였을 때 주변 환경과 분리시켜 놓는 것
예)남을 괴롭히는 아이를 방 한구석이나 특정 원안에 일정시간 있도록 하는 것
④ 벌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긍정적 강화와 함께 사용하여 문제행동을 하면 벌을 사용하고 바람직한 대체행동을 하면 강화를 해주는 것이다.
⑤ 벌은 긍정적 강화와 마찬가지로 행동 즉시 사용해야한다.
바람직한 행동 증가 목적
- 긍정적 강화물을 일관되게 사용함
- 새로운 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강력한 강화물을 찾음
- 강화물은 새로운 행동을 보일시에만 주어짐
(3) 종결단계(평가와 종결)
① 종결이 다가오면 종결을 예고하고 그 동안의 진전과정을 클라이언트와 함께 초기단계에 작성한 계약을 가지고 평가한다. 계약상의 목적과 관련하여 진 전도를 평가하고 얻어진 결과를 점검한다. 목적달성에 어려움이 있다면, 원인을 분석하고 필요한 과정을 논의한다.
② 종결의 결정이 내려지면, 바람직한 행동의 유지를 위한 조건을 설정하고 클라이언트에게 비록 사회복지사의 면담이 없더라도 최소한 4주 정도는 문제 행동의 진전 상황을 기록하도록 해야 한다.
4. 활용 및 평가
·- 행동수정모델은 적용되는 분야가 매우 풍부하다.
- 단기간에 효과를 볼 수 있다
- 행동 문제를 갖고 있는 아동, 청소년, 정신병동 환자, 흡연, 비만, 약물 환자
- 자극을 변화시켜 행동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가정이 인간의 자유의지라든가 자기결정 권리를 간과하고 있다.
- 그러나 강제성을 띠지 않는다는 점에서 일반적으로 가치중립적이라 할 수 있다.
③ 후속결과(C)영역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 제거 목적
소거
어떤 행동에 대해 더 이상 강화를 해 주지 않음으로써 그 행동의 발생을 약화시키는 기술
처벌
- 어떤 행동이 발생했을 때 불쾌한 결과를 동반시킴으로써 그 행동을 약화시키는 기술
- 벌은 새로운 행동을 가르치지 못하고 단순히 불쾌감만 주므로 행동변화가 쉽지 않고 효과적이 못함.
- 벌의 종류
① 불쾌한 결과 부가
② 유쾌한 결과 제거 - 보다 효과적임
예) 식탁에서 싸우는 아이들에 대한 벌은 식후에 늘 보던 만화영화를 보지 못하게 하는 것
③ Time-out : 문제행동을 하였을 때 주변 환경과 분리시켜 놓는 것
예)남을 괴롭히는 아이를 방 한구석이나 특정 원안에 일정시간 있도록 하는 것
④ 벌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긍정적 강화와 함께 사용하여 문제행동을 하면 벌을 사용하고 바람직한 대체행동을 하면 강화를 해주는 것이다.
⑤ 벌은 긍정적 강화와 마찬가지로 행동 즉시 사용해야한다.
바람직한 행동 증가 목적
- 긍정적 강화물을 일관되게 사용함
- 새로운 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강력한 강화물을 찾음
- 강화물은 새로운 행동을 보일시에만 주어짐
(3) 종결단계(평가와 종결)
① 종결이 다가오면 종결을 예고하고 그 동안의 진전과정을 클라이언트와 함께 초기단계에 작성한 계약을 가지고 평가한다. 계약상의 목적과 관련하여 진 전도를 평가하고 얻어진 결과를 점검한다. 목적달성에 어려움이 있다면, 원인을 분석하고 필요한 과정을 논의한다.
② 종결의 결정이 내려지면, 바람직한 행동의 유지를 위한 조건을 설정하고 클라이언트에게 비록 사회복지사의 면담이 없더라도 최소한 4주 정도는 문제 행동의 진전 상황을 기록하도록 해야 한다.
4. 활용 및 평가
·- 행동수정모델은 적용되는 분야가 매우 풍부하다.
- 단기간에 효과를 볼 수 있다
- 행동 문제를 갖고 있는 아동, 청소년, 정신병동 환자, 흡연, 비만, 약물 환자
- 자극을 변화시켜 행동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가정이 인간의 자유의지라든가 자기결정 권리를 간과하고 있다.
- 그러나 강제성을 띠지 않는다는 점에서 일반적으로 가치중립적이라 할 수 있다.
추천자료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가족대상실천기술에 대해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사업기록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인지행동모델
[사회복지실천기술론]클라이언트중심모델
[사회복지실천기술론]위기개입모델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사의 활동 중 매우 중요하고 기초적인 부분인 면담의 ①중요성,...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인지행동모델의 철학, 이론적 기반, 주요 가정, 개입목표, 개입과정, 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심리사회이론의 배경과 적용 사례(초기~종결단계)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사의 윤리적갈등이 발생 할 수 있는 구체적인 상황의 사례나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사가 느끼는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기술...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전문직의 윤리와 가치에 대해 설명하시오 [전문직]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심리사회모델의 주요개념과 실천절차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 모델을 현...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인지행동모델을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클라이언트에게 적용함에 있어서...
사회복지실천기술론)사회문제 사례 발췌 및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입방법 기술.최근 사회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