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윤리
1. 윤리와 윤리강령
2. 윤리적 행동의 핵심기준
3. 윤리적 딜레마
Ⅱ. 윤리적 실천
1. 자각
2. 능력을 갖추고 일하기
3. 비밀유지
Ⅲ. 참고문헌
1. 윤리와 윤리강령
2. 윤리적 행동의 핵심기준
3. 윤리적 딜레마
Ⅱ. 윤리적 실천
1. 자각
2. 능력을 갖추고 일하기
3. 비밀유지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목표 지향적이라는 믿음, 인간은 변화할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믿음과 같은 인간 본성에 대한 낙관적인 관점을 포기해버린다. 이러한 관점 대신에 그들은 더욱 냉소적이고 비관적인 관점을 발전시킨다. 어떤 경우에는 이러한 관점 변화가 수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내담자가 발전할 수 없다고 믿는 사회복지사는 지원하는 데에 에너지를 덜 투자하게 될 것이다.
※ 면담
면담하는 것은 내담자에게 영향을 끼치거나 내담자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어떤 기대 없이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이다. 하지만 면담의 과정은 예기치 않게 내담자를 고통스럽거나 잊어져 있던 감정에서 해방시키는 쪽으로 이끌 수도 있다. 따라서 면담에 숙달된 사람은 면담에서 발생되는 예기치 않은 반응을 다룰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혹은 적절한 대안적 자원으로 내담자를 의뢰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게다가 그들은 효과적으로 조사하는 시기와 방법에 대해 알고 있다.
상담은 숙련된 면담을 요구하지만 문제해결, 고통스러운 감정을 다루는 것, 그리고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것 같은 활동으로 내담자를 돕는 다른 목적도 부가적으로 가지고 있다. 심리치료사는 성격변화 혹은 더욱 중한 정신적 장애의 치료에 중점을 두는 밀도 있는 상담을 수행한다. 자기 능력의 한계 내에서 일하려면, 상담자들은 오직 그들이 충분하게 훈련받아서 적용할 수 있는 기법과 전략만을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상담자는 경험과 연구 증거에 의해 성공의 가능성이 합리적으로 지지되는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많은 담당건수와 상담에서의 감정적인 요구는 정서적육체적 피로를 불러오고, 이에 따라 수행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 “상담자는 그들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고 있어야 하며 극심한 피로에서 그들 자신과 내담자를 보호하기 위해 행동해야 한다.”(Daniluk&Haverkamp, 1993: 18) 유능한 전문가는 그들이 제공할 수 있는 업무량의 한계를 어떻게 정해야 하는지 안다. 언제 자문을 받아야 하는지, 그리고 언제 지원이나 개인적인 상담을 구해야 하는지 안다.
3. 비밀유지
절대적인 비밀은 내담자의 이야기가 어느 누구와도 공유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상대적인 비밀은 정보가 그 기관 내에서는 슈퍼바이저나 동료와, 기관 밖에서는 내담자의 허락 하에 정보가 공유되며, 또는 아동학대 관련 법률과 같은 법적인 요구로 인해 법정에서 정보가 공유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전문가는 내담자가 자신이나 혹은 타인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비밀을 깨야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내담자는 상대적인 비밀만을 보장받을 수 있다.
따라서 내담자는 사회복지사에게 정보를 공유하도록 요구하는 모든 법적윤리적 책임을 포함하여 비밀의 제한범위에 관해 충분히 정보를 받을 권리를 가진다.
※ 고지된 동의(informed consent)
클라이언트의 권리를 가장 잘 보호하는 방법으로 알려진 고지된 동의란 사회복지사가 제공할 서비스와 관련한 목적, 위험성, 한계점, 감수해야 할 사항, 대안, 거부할 수 있는 권리, 시간 설정 등에 관해 클라이언트에게 명확하게 알려야 함을 의미한다. 고지된 동의는 클라이언트 관계 전 과정을 통해 이루어져야 하는 지속적 절차로서 기록, 녹음, 녹화 등과 같은 과정상의 구체적 절차와 관련해서도 행해져야 한다.
상담자가 내담자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공공장소 그리고 파티 또는 다른 사회적인 행사에서 내담자에 대해 논의하지 않도록 그들 자신을 훈련시켜야 한다. 상담에 의한 스트레스를 다루는 중요한 부분은 동료들, 슈퍼바이저와 함께 어려운 문제와 개인적인 반응에 대해 대화하면서 긴장을 풀 수 있지만 누군가 우연히 들을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해야한다.
모든 사례 기록, 전화 메시지, 책상 위의 쪽지들을 치워야 한다. 이것은 다른 내담자가 다른 내담자의 이름을 보는 것을 방지하며 사적인 기록을 공공장소에 남겨놓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강화한다. 내담자에게 전화 메세지를 남길 경우, 그들은 오직 그들의 성만을 남겨야하며 그들의 직함 혹은 전화의 성격에 대해서 말해선 안 된다.
면담 그 자체는 사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대기실 혹은 다른 직원이나 내담자가 엿들을 수 있는 장소에서 수행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상담 중에 전화를 거는 것은 비밀에 대한 부주의한 위반으로 이어질 수 있고 내담자의 문제를 무심하게 다루고 있다고 내담자에게 암시한다.
때때로 사회복지사는 공공장소에서 우연히 내담자를 만난다. 이런 경우, 심지어 내담자가 개의치 않는 것처럼 보일지라도 문제에 대한 논의는 피하도록 하고 사적인 장소에서 그리 행동했던 이유를 설명하도록 한다.
Ⅲ. 참고문헌
Brammer, L. M. The Helping Relationship: Process and Skills. 3r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85
Corey, M., & G. Corey. Becoming a Helper. Pacific Grove, CA: Brooks/Cole, 1989.
Corsini, R. J. Encyclopedia of Psychology. New York: John Wiley & Sons, 1984.
Daniluk, J. c., & B. E. Haverkamp. "Ethical Issues in Counseling Adult Survivors of Incest,"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2, no. 1(1993): 16-22
Dumont, M. The Absurd Healer: New York: Viking Press, 1968
Harris, H. S., & D. C. Maloney. Human Services: Contemporary Issues and Trends. Boston: Allyn & Bacon, 1996.
Shebib, B. Counseling Skills. Victoria: Province of British Columbia, Ministry of Education, Skills and Training, 1997
김기태 외 3명(2007). 사회복지실천론. 고양: 공동체출판사
※ 면담
면담하는 것은 내담자에게 영향을 끼치거나 내담자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어떤 기대 없이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이다. 하지만 면담의 과정은 예기치 않게 내담자를 고통스럽거나 잊어져 있던 감정에서 해방시키는 쪽으로 이끌 수도 있다. 따라서 면담에 숙달된 사람은 면담에서 발생되는 예기치 않은 반응을 다룰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혹은 적절한 대안적 자원으로 내담자를 의뢰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게다가 그들은 효과적으로 조사하는 시기와 방법에 대해 알고 있다.
상담은 숙련된 면담을 요구하지만 문제해결, 고통스러운 감정을 다루는 것, 그리고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것 같은 활동으로 내담자를 돕는 다른 목적도 부가적으로 가지고 있다. 심리치료사는 성격변화 혹은 더욱 중한 정신적 장애의 치료에 중점을 두는 밀도 있는 상담을 수행한다. 자기 능력의 한계 내에서 일하려면, 상담자들은 오직 그들이 충분하게 훈련받아서 적용할 수 있는 기법과 전략만을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상담자는 경험과 연구 증거에 의해 성공의 가능성이 합리적으로 지지되는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많은 담당건수와 상담에서의 감정적인 요구는 정서적육체적 피로를 불러오고, 이에 따라 수행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 “상담자는 그들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고 있어야 하며 극심한 피로에서 그들 자신과 내담자를 보호하기 위해 행동해야 한다.”(Daniluk&Haverkamp, 1993: 18) 유능한 전문가는 그들이 제공할 수 있는 업무량의 한계를 어떻게 정해야 하는지 안다. 언제 자문을 받아야 하는지, 그리고 언제 지원이나 개인적인 상담을 구해야 하는지 안다.
3. 비밀유지
절대적인 비밀은 내담자의 이야기가 어느 누구와도 공유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상대적인 비밀은 정보가 그 기관 내에서는 슈퍼바이저나 동료와, 기관 밖에서는 내담자의 허락 하에 정보가 공유되며, 또는 아동학대 관련 법률과 같은 법적인 요구로 인해 법정에서 정보가 공유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전문가는 내담자가 자신이나 혹은 타인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비밀을 깨야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내담자는 상대적인 비밀만을 보장받을 수 있다.
따라서 내담자는 사회복지사에게 정보를 공유하도록 요구하는 모든 법적윤리적 책임을 포함하여 비밀의 제한범위에 관해 충분히 정보를 받을 권리를 가진다.
※ 고지된 동의(informed consent)
클라이언트의 권리를 가장 잘 보호하는 방법으로 알려진 고지된 동의란 사회복지사가 제공할 서비스와 관련한 목적, 위험성, 한계점, 감수해야 할 사항, 대안, 거부할 수 있는 권리, 시간 설정 등에 관해 클라이언트에게 명확하게 알려야 함을 의미한다. 고지된 동의는 클라이언트 관계 전 과정을 통해 이루어져야 하는 지속적 절차로서 기록, 녹음, 녹화 등과 같은 과정상의 구체적 절차와 관련해서도 행해져야 한다.
상담자가 내담자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공공장소 그리고 파티 또는 다른 사회적인 행사에서 내담자에 대해 논의하지 않도록 그들 자신을 훈련시켜야 한다. 상담에 의한 스트레스를 다루는 중요한 부분은 동료들, 슈퍼바이저와 함께 어려운 문제와 개인적인 반응에 대해 대화하면서 긴장을 풀 수 있지만 누군가 우연히 들을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해야한다.
모든 사례 기록, 전화 메시지, 책상 위의 쪽지들을 치워야 한다. 이것은 다른 내담자가 다른 내담자의 이름을 보는 것을 방지하며 사적인 기록을 공공장소에 남겨놓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강화한다. 내담자에게 전화 메세지를 남길 경우, 그들은 오직 그들의 성만을 남겨야하며 그들의 직함 혹은 전화의 성격에 대해서 말해선 안 된다.
면담 그 자체는 사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대기실 혹은 다른 직원이나 내담자가 엿들을 수 있는 장소에서 수행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상담 중에 전화를 거는 것은 비밀에 대한 부주의한 위반으로 이어질 수 있고 내담자의 문제를 무심하게 다루고 있다고 내담자에게 암시한다.
때때로 사회복지사는 공공장소에서 우연히 내담자를 만난다. 이런 경우, 심지어 내담자가 개의치 않는 것처럼 보일지라도 문제에 대한 논의는 피하도록 하고 사적인 장소에서 그리 행동했던 이유를 설명하도록 한다.
Ⅲ. 참고문헌
Brammer, L. M. The Helping Relationship: Process and Skills. 3r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85
Corey, M., & G. Corey. Becoming a Helper. Pacific Grove, CA: Brooks/Cole, 1989.
Corsini, R. J. Encyclopedia of Psychology. New York: John Wiley & Sons, 1984.
Daniluk, J. c., & B. E. Haverkamp. "Ethical Issues in Counseling Adult Survivors of Incest,"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2, no. 1(1993): 16-22
Dumont, M. The Absurd Healer: New York: Viking Press, 1968
Harris, H. S., & D. C. Maloney. Human Services: Contemporary Issues and Trends. Boston: Allyn & Bacon, 1996.
Shebib, B. Counseling Skills. Victoria: Province of British Columbia, Ministry of Education, Skills and Training, 1997
김기태 외 3명(2007). 사회복지실천론. 고양: 공동체출판사
추천자료
성 상담의 필요성과 기법 상담유형별 성담지침
[청소년상담] 청소년상담에 대하여
약물남용 청소년 상담사례를 찾은 후 상담과정별로 기록하기
성상담, 5.22
[상담이론]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Haley의 전략적 가족치료이론의 진단과 치료 및 상담실천 적용에 필요한 상담원의 자세
성인 학습자들을 위한 상담의 원리를 살펴보고, 유능한 성인 학습 상담자에게 필요한 것이 무...
성상담 이론 기말 자료
[가족家族상담 및 치료] 본인 가족 가계도 작성 및 가족상담치료 이론 중 한 가지로 본인의 ...
★ 성인학습 및 상담 - 성인학습 이론과 성인상담이론
[기독교와 심리치료] 기독교상담학자 및 상담사, 연구자와 목회자들이 가져야 하는 기독교적 ...
[기독교와 심리치료] 기독교상담사의 상담직업에 대한 소명
현대인의 가정에서 핵가족화로 인해 가정폭력, 알코올중독 등 가족상담 및 치료의 필요성 대...
[이혼문제] 우리나라 이혼의 현황과 이혼의 결과 이혼예방 및 이혼과정 이혼전후 상담프로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