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의 판정과 평가, 측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비만의 판정과 평가

Ⅰ. 표준체중법

Ⅱ. 체격지수에 의한 방법

1. 체질량지수
2. 카우프지수
3. 륄러지수

Ⅲ. 피하지방 두께 측정법

Ⅳ. 허리둘레 대 엉덩이둘레 비율측정법

Ⅴ. 허리둘레 측정법

* 참고문헌

본문내용

to Hip Ratio)은 지방분포를 평
가하기 위한 도구이다. 지방은 복부(사과형 또는 남성형 비만으로 남성에게 흔함)나 엉덩이(서양배형 또는 여성형 비만으로 여성에서 혼합)의 두 곳에 주로 모이는 경향이 있다.
비만의 건강위험은 엉덩이보다는 복부에 지방이 축적될 때 더 잘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복부의 비만을 알아내는 방법은 허리둘레 대 엉덩이둘레 비율로 허리둘레를 엉
덩이둘레도 나누면 된다. 남자의 경우 0.8-1.0 사이가, 여자인 경우 0.7-0.85 사
이가 정상범위이고 비율이 높을수록 복부비만의 정도가 심한 것이다. 허리둘레는
배꼽을 지나는 배의 둘레를 측정하고 엉덩이둘레는 둔부의 최대 돌출부위를 측
정한다.
5. 허리둘레 측정법
허리둘레 측정법은 지방 분포를 평가하는 또 하나의 방법이다. 허리둘레 측정법
은 골반 앞쪽의 장골능에서 가장 튀어나온 부분과 갈비뼈 제일 아랫부분과의 중간
부위(배꼽에서 2cm 정도 아래 부분)를 허리둘레로 측정한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여자 78cm(30.7인치), 남자 91.3cm(35.9인치)이면 복부비만
으로 판정한다. 이 수치는 외국에 비해 매우 작은 편이라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 강병우(2005). 공중보건학. 현문사
- 강흥구(2004). 의료사회복지실천론. 학현사
- 고수현 외(2002). 사회복지개론. 대학출판사
- 박노예(1993). 보건교육. 수문사
- 이영호(2002). 정신건강론. 학현사
- 양봉민(1999). 보건경제학. 나남출판
- 보건복지부(2007). 보건복지백서 2007
- 김문주 외(2000). 전신관리학. 청구문화사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7.29
  • 저작시기201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15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