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작가
2. 작가 이용악과 그의 시 전반에 관한 고찰
1) 해금작가로서의 이용악
2) 이용악시의 서사와 서정의 세계
3. 『오랑캐꽃』에 관한 연구
1) 시의 해석
2) 오랑캐꽃에 나오는 “제사”에 관한 고찰
4. 『낡은 집』에 관한 연구
1) 시의 해석
2) 낡은 집 의 특징
3) 시적 배경에 대한 고찰 심화
<참고문헌>
2. 작가 이용악과 그의 시 전반에 관한 고찰
1) 해금작가로서의 이용악
2) 이용악시의 서사와 서정의 세계
3. 『오랑캐꽃』에 관한 연구
1) 시의 해석
2) 오랑캐꽃에 나오는 “제사”에 관한 고찰
4. 『낡은 집』에 관한 연구
1) 시의 해석
2) 낡은 집 의 특징
3) 시적 배경에 대한 고찰 심화
<참고문헌>
본문내용
산하를 배경으로 하여 쓰여지고 있다. 여기에는 사냥개를 동원한 꿩 사냥, 저릎등이 시름시름 타 들어가는 겨울밤의 풍경, 노루 멧돼지 쪽제비 등 산짐승에 대한 추억 등의 묘사가 부연된다. 이와 같은 것은 전체 내용을 이루고 있는 궁벽한 농촌의 삶과 더불어 꼭 북쪽 변경지역에서만 있을 수 있는 소재라고는 볼 수 없을 것 같으나 봄이나 초록이 남쪽과 관련이 되는 것과 대조해서 겨울이나 설경은 북쪽에 관련되기 때문이다.
다섯째, 시어에서 구사되는 함북 지방의 방언이다. 예를 들어 둥글소(숫소), 싸릿말(싸리로 결어 만든 작은 말, 마마에 걸린지 열 이틀 되는 날 역신을 내어쫓을 때 쓴다함, 그러나 이시에서는 죽마의 뜻으로 사용되고 있음 대나무가 없는 북쪽에서는 싸리로 비를 만들기 때문에 싸리말 동무란 죽마지우의 뜻, 짓두광주리, 차그운(차가운) 저릎등(겨릅등, 겨릅이란 껍질을 벗긴 삼대로서 마른 삼대를 묶어 태워 밝히는 불) 글거리 등이다.
3) 시적 배경에 대한 고찰 심화
- 왜 털보네 식솔들과 같은 유 이민이 생겼을까 -- 30년대 식민지 현실
작품이 일제 식민지 수탈이 절정에 다다른 시기 그러니까 1938년에 쓰여졌다는 사실은 중요한 외적인 증거가 된다. 물론 문학의 본질이 상상력에 있다고 할 때 모든 작품이 맹목적으로 당대의 현실을 소재화 한다고 말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 경우는 다르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 작품은 시인 자신의 성장환경이 직접적으로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다 주목할 것은 작품 자체가 내포하고 있는 내적 증거이다. 우리는 이 시를 읽을 때 주인공 털보의 유 이민이 일제의 착취에서 비롯했다는 것을 본문의 내용에서 직접적으로 대면하게 된다. 첫째 제2연의 다음과 같은 시행이다. 재를 넘어 무곡을 다니던 당나귀/항구로 가는 콩시리에 늙은 둥글소/모두 없어진지 오랜 여기서 항구로 콩을 실어 가는 데 동원된 털보네 당나귀와 소라는 진술은 일제의 곡물 수탈을 문자 그대도 언급한 대목이라 할 수 있다. 30년대 한국의 항구에서 식량수탈을 위한 일제의 곡식 반출은 배를 이용한 수송 이외는 없었기 때문이다. 시의 내용을 보자면 일제는 이에 그치지 않고 식량 반출의 보조 수단이었던 소나 당나귀조차도 빼앗아 가는 만행을 저지른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 둘째 7연의 내용이다. 털보네가 유 이민으로 떠난 곳에 대해 동네 어른들은 오랑캐 령 이나 러시아 땅일 것이라고 추측한다. 그런데 역사상 한국인들이 만주의 간도나 러시아의 연해주 등지로 유 이민을 떠났던 것은 조선조 말이나 일제 식민지지배기간 이외에는 없었다.
따라서 이 시가 1938년에 쓰여진 것을 감안할 경우, 이 시행은 일제의 억압과 착취에서 기인된 동시대의 역사적 사실 즉 한국 농민의 유 이민 현상에 대한 고발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http://songkw.com.ne.kr/hyun6/이용악.htm
http://ipcp.edunet4u.net/~koreannote/1/1-이용악.htm
「한국현대 시인론」1995.2. 김병택 지음. 국학자료원.
다섯째, 시어에서 구사되는 함북 지방의 방언이다. 예를 들어 둥글소(숫소), 싸릿말(싸리로 결어 만든 작은 말, 마마에 걸린지 열 이틀 되는 날 역신을 내어쫓을 때 쓴다함, 그러나 이시에서는 죽마의 뜻으로 사용되고 있음 대나무가 없는 북쪽에서는 싸리로 비를 만들기 때문에 싸리말 동무란 죽마지우의 뜻, 짓두광주리, 차그운(차가운) 저릎등(겨릅등, 겨릅이란 껍질을 벗긴 삼대로서 마른 삼대를 묶어 태워 밝히는 불) 글거리 등이다.
3) 시적 배경에 대한 고찰 심화
- 왜 털보네 식솔들과 같은 유 이민이 생겼을까 -- 30년대 식민지 현실
작품이 일제 식민지 수탈이 절정에 다다른 시기 그러니까 1938년에 쓰여졌다는 사실은 중요한 외적인 증거가 된다. 물론 문학의 본질이 상상력에 있다고 할 때 모든 작품이 맹목적으로 당대의 현실을 소재화 한다고 말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 경우는 다르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 작품은 시인 자신의 성장환경이 직접적으로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다 주목할 것은 작품 자체가 내포하고 있는 내적 증거이다. 우리는 이 시를 읽을 때 주인공 털보의 유 이민이 일제의 착취에서 비롯했다는 것을 본문의 내용에서 직접적으로 대면하게 된다. 첫째 제2연의 다음과 같은 시행이다. 재를 넘어 무곡을 다니던 당나귀/항구로 가는 콩시리에 늙은 둥글소/모두 없어진지 오랜 여기서 항구로 콩을 실어 가는 데 동원된 털보네 당나귀와 소라는 진술은 일제의 곡물 수탈을 문자 그대도 언급한 대목이라 할 수 있다. 30년대 한국의 항구에서 식량수탈을 위한 일제의 곡식 반출은 배를 이용한 수송 이외는 없었기 때문이다. 시의 내용을 보자면 일제는 이에 그치지 않고 식량 반출의 보조 수단이었던 소나 당나귀조차도 빼앗아 가는 만행을 저지른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 둘째 7연의 내용이다. 털보네가 유 이민으로 떠난 곳에 대해 동네 어른들은 오랑캐 령 이나 러시아 땅일 것이라고 추측한다. 그런데 역사상 한국인들이 만주의 간도나 러시아의 연해주 등지로 유 이민을 떠났던 것은 조선조 말이나 일제 식민지지배기간 이외에는 없었다.
따라서 이 시가 1938년에 쓰여진 것을 감안할 경우, 이 시행은 일제의 억압과 착취에서 기인된 동시대의 역사적 사실 즉 한국 농민의 유 이민 현상에 대한 고발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http://songkw.com.ne.kr/hyun6/이용악.htm
http://ipcp.edunet4u.net/~koreannote/1/1-이용악.htm
「한국현대 시인론」1995.2. 김병택 지음. 국학자료원.
추천자료
중국 현대문학 ; 소설과 시
현대 서사시
현대 생태주의 시에 관하여
현대시인 오장환의 시세계
[현대문학교육론] 시 교육에 대해서
현대소설작가 - 장용학
[한국현대문학] 이성복의 작가소개와 아, 입이 없는 것들 중심으로 작품분석
[현대시론][모더니즘][주지주의][임화시론][김수영시론][김기림시론][김수영][김기림][시]현...
[현대시강독] <1940년대 한국시>
[1950년대][시][문학][모더니즘][작가][시인][전통극][소극장]1950년대의 시, 1950년대의 문...
현대 미국시에 대한 성찰
[현대문학사] 1930년~1945년대 전반의 시대적 배경과 시
현대문학 - 정지용(민족의 기억에 빛날 시의 성좌)
현대문학 - 괴기함을 통한 인식의 변화(그로테스크적 표현을 중심으로 본 ‘최승호’ 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