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드라마 제작 주체의 변화]
3. 한국 드라마의 현실
[시청률 전쟁]
[한류의 중심]
[경제적 효과]
4. 맺음말
3. 한국 드라마의 현실
[시청률 전쟁]
[한류의 중심]
[경제적 효과]
4. 맺음말
본문내용
출 규모가 1100억원이니까 국내외 매출을 모두 합치면 6600억원 정도에 이른다.
대장금의 경우 2003년 방송이후 올해 상반기까지 프로그램 수출, 라이센싱, 출판, 테마파크 입장료 등 직접적인 생산유발 효과만 1천억원대에 달한다.
하지만, '대장금'이 대만에서 인기를 끌면서 LG의 가전제품 점유율이 1위로 뛰어오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시청률이 86%에 달했던 이란에서는 한국음식을 비롯한 한국 문화 열풍이 불었던 점 등 간접적인 효과까지 따지면 그 규모는 훨씬 더 크다.
'겨울연가'도 마찬가지다. 특히 주인공 배용준이 불러일으킨 '욘사마' 열풍의 직간접적인 경제 효과는 현대경제연구원의 2004년 추정으로 관광유발 수입 8천400억원, 배용준 화보 200억원, 배용준 달력 100억원 등 3조원에 달했다. 현재도 배용준 때문에 일본 팬들이 한국을 찾고 지난 10월에는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된 '겨울연가'가 일본에서 선을 보여 욘사마의 경제적 효과는 더욱 늘어난 것으로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의 드라마를 통해 국제사회에서 관심이 높아지면 국가 위상의 제고와 고용 창출 등 문화·경제적 파급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4. 맺음말
1960년대 이후 우리 사회가 지향해온 발전의 모습은 근대화라는 것이었다. TV드라마도 우리 사회가 그렇게 근대화 되어가는 길을 따라 변화해왔다. 그리고 그 근대화의 길 위에서 TV드라마는 이 시대의 대중화된 문화를 만들어 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오직 카마메라 2대로 녹화기도 없이 생방송을 하던 시절의 주간 단막극에서 일일연속극으로, 그리고 특집극에서 미니시리즈로 각 시기마다 TV드라마의 형식은 변화해왔다.
TV드라마의 변천과정은 우리나라 정치, 사회문화의 배경에 영향을 많이 받았을 뿐만 아니라 대중문화를 선도함으로써 현대인들에게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드라마는 인간의 삶이다. 그냥 사는 것이 아니고 누군가와 함께 살아가고, 미워하고, 회해하는 그런 삶 자체로 오래 전부터 우리 생활의 일부를 차지하는 중요한 오락과 문화의 수단이 되었다. 단순한 휴식 수단이 되기도 하지만 때로는 벅차오르는 감동으로 눈물을 훔치는 문화감수성을 자극하고 우리의 삶과 아름다움 자체를 성찰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조급하게 시청률에 연연하는 가벼운 드라마가 아니라 시간이 걸리더라도 국내외의 시청자들에게 공감을 줄 수 있는 다양하고 완성도 높은 대작 드라마가 나오기를 기대한다.
대장금의 경우 2003년 방송이후 올해 상반기까지 프로그램 수출, 라이센싱, 출판, 테마파크 입장료 등 직접적인 생산유발 효과만 1천억원대에 달한다.
하지만, '대장금'이 대만에서 인기를 끌면서 LG의 가전제품 점유율이 1위로 뛰어오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시청률이 86%에 달했던 이란에서는 한국음식을 비롯한 한국 문화 열풍이 불었던 점 등 간접적인 효과까지 따지면 그 규모는 훨씬 더 크다.
'겨울연가'도 마찬가지다. 특히 주인공 배용준이 불러일으킨 '욘사마' 열풍의 직간접적인 경제 효과는 현대경제연구원의 2004년 추정으로 관광유발 수입 8천400억원, 배용준 화보 200억원, 배용준 달력 100억원 등 3조원에 달했다. 현재도 배용준 때문에 일본 팬들이 한국을 찾고 지난 10월에는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된 '겨울연가'가 일본에서 선을 보여 욘사마의 경제적 효과는 더욱 늘어난 것으로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의 드라마를 통해 국제사회에서 관심이 높아지면 국가 위상의 제고와 고용 창출 등 문화·경제적 파급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4. 맺음말
1960년대 이후 우리 사회가 지향해온 발전의 모습은 근대화라는 것이었다. TV드라마도 우리 사회가 그렇게 근대화 되어가는 길을 따라 변화해왔다. 그리고 그 근대화의 길 위에서 TV드라마는 이 시대의 대중화된 문화를 만들어 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오직 카마메라 2대로 녹화기도 없이 생방송을 하던 시절의 주간 단막극에서 일일연속극으로, 그리고 특집극에서 미니시리즈로 각 시기마다 TV드라마의 형식은 변화해왔다.
TV드라마의 변천과정은 우리나라 정치, 사회문화의 배경에 영향을 많이 받았을 뿐만 아니라 대중문화를 선도함으로써 현대인들에게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드라마는 인간의 삶이다. 그냥 사는 것이 아니고 누군가와 함께 살아가고, 미워하고, 회해하는 그런 삶 자체로 오래 전부터 우리 생활의 일부를 차지하는 중요한 오락과 문화의 수단이 되었다. 단순한 휴식 수단이 되기도 하지만 때로는 벅차오르는 감동으로 눈물을 훔치는 문화감수성을 자극하고 우리의 삶과 아름다움 자체를 성찰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조급하게 시청률에 연연하는 가벼운 드라마가 아니라 시간이 걸리더라도 국내외의 시청자들에게 공감을 줄 수 있는 다양하고 완성도 높은 대작 드라마가 나오기를 기대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제국의 아침 은 어디서 시작되는가?(드라마)
한국 성리학의 특징과 역사적 기능
한국 영화진흥정책의 역사 및 영화산업구조의 문제점과 대안
중국의 동북공정에 맞서 싸우는 우리 드라마
문화비평을 통해 본 일본의 한류 -드라마 <겨울연가>를 중심으로
[미학][미학의 유래][미학의 의의][한국전통의 미학][탈춤의 미학][서예의 미학][역사소설의 ...
한국화(한국전통회화)의 의미와 의의, 한국화(한국전통회화)의 특성과 역사, 한국화(한국전통...
어린이 문화 담론과 과거와 현재의 어린이 표상 분석 연구 - 로틴 문화와 드라마 속 어린이를...
글로벌 환경 변화와 마케팅 (단수산업,소프트산업,글로벌마케팅,글로벌환경변화,글로벌화,한...
[맑스주의, 맑시즘, 마르크스주의, 철학적 관점, 한국철학]맑스주의(맑시즘, 마르크스주의)의...
[한국방송공사]KBS(한국방송공사)의 역사, 조직과 운영, KBS(한국방송공사)의 공적 책임과 재...
[일본문화 분석] 일본 영화와 일본 드라마의 특징 및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