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의 아침 은 어디서 시작되는가?(드라마)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1. 고려의 건축양식을 추측해본다
2. 현존하는 최고의 건축물 `부석사 무량수전`
3. 김홍식 고수팀의 회경전 찾기
4. 부석사 무량수전에서의 추측

3.결어

본문내용

국의 아침' 세트장을 찾아서
세트장은 문경을 제외하고 비어있는 상태였고, 자연경관이 좋은 곳에 조성되어 있었다. 비교적 안내판이 잘 제작되어 있어서 쉽게 찾아갈 수 있었다. 가장 중심이 되는 문경 세트장에 서는 촬영이 있어서 출입이 통제된 상태였다. 문경 세트장은 동양 최대 최고의 야외 세트장이라는 안내문이 눈에 띄었다.
결어
지금까지 부석사 무량수전과 기타 자료를 통해 고려시대 건축물에 대해 알아보았고, 야외 세트장을 자료와 비교하여 보았다. 이번 발표를 통해 느낀 점은 '정말 이다지도 사료가 없단 말인가?' 였다. 부석사 무량수전외에는 자료로서 활용될 만한 현존 건물이 거의 없었고, 문자화된 자료도 현저히 부족했다. 더욱이 어려운 것은 고려 황궁터가 북한에 있기 때문이다.
고려 건축에 대한 연구의 어려움을 새삼 느낄 수가 있었다.
세트장 답사를 마치고, 기숙사로 돌아오면서 '과연 이 세트장이 동양최고의 세트장인가?'라는 의구심이 들었다. 사료에 의해 만들어진 세트장이기에 자료에 근접한 모습들은 많이 보였으나, 그렇지 않은 부분도 눈에 띄었고, 고려시대 건축물의 특징을 알 수 있는 좋은 자료 (청자기와 등)들의 복원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조선시대의 건축물을 변형시킨 듯 한 느낌을 받았다. 고려시대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요즘 역사학도가 해야 할 일은 점점 늘어가고 있다. 부족한 자료들을 찾아내는 일, 그 자료들을 연구하는 일, 범인들의 잘못된 인식을 바로 잡아주는 일, 그러기 위한 한 방편으로 방송매체의 역사관련 프로그램의 잘못을 지적하는 일 등이 그것이다. ( 한재수 교수 인터뷰 인용 )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06.13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60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