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레토_롱테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파레토 법칙

파레토 법칙이란?

파레토 법칙의 유래는?

파레토법칙의 사례는?

파레토법칙이 잘 적용된 사례

파레토법칙이 시사하는 바는?

2. 롱테일 법칙

롱테일법칙이란?

롱테일 법칙의 유래는?

파레토 법칙과 롱테일 법칙의 관계는?

롱테일 법칙이 발달하게 된 이유는?

롱테일 법칙이 적용될 수 있는 경우는?

롱테일 법칙이 잘 적용된 사례는?

파레토법칙과 롱테일법칙

본문내용

있으며, 오픈마켓이 전체 e커머스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점차 높아질 것이다. 이처럼 시장의 규모가 크고, 향후 5년간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한 온라인 비즈니스가 바로 오픈마켓 서비스다. 오픈 마켓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종류는 200만 여 가지로, 다양한 소비자의 기호를 만족시킨 것이 이들의 성공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ⅲ. 오프라인 산업에서의 롱테일
롱테일 법칙은 오프라인 기업들에서도 나타난다.
플라스틱 블록 완구의 대명사로 불리는 ‘레고’. 어린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갖거나 만져본 적이 있는 장남감일 것이다. 레고는 오프라인으로 시작했지만 온라인 매장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확대재생산하고 있다. 레고의 종류는 무려 1000가지가 넘는다. 이 중 오프라인 매장을 뒤져서 살 수 있는 것은 겨우 10%에 지나지 않는다. 온라인 매장에 1,000가지 제품이 있는데, 적어도 90퍼센트는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살 수 없는 것들이다. 그리고 레고모자이크, 레고 팩토리 등을 통해 사용자들을 생산자로 불러내며 레고는 장난감시장에서 롱테일을 구현하고 있다.
키친에이드는 주방제품 색상에서 롱테일을 구현한 경우다. 대형 할인점에서는 키친에이드 믹서를
흰색, 검은색, 그리고 또 다른 한 가지 색의 3가지 색상 중에서 골라야 하지만, 키친에이드닷컴에 들어가면 50가지가 넘는 색상 중에서 자신의 취향에 맞는 제품을 고를 수 있다.
재미있는 사실은 매년 판매 기준 상위 10위 안에 아무도 인기를 얻으리라고 예상하지 않았던 색상의 제품이 포함된다는 점이다. 만약 오프라인 매장이라면 이런 색상의 제품은 판매 기회조차 얻지 못했을 것이다.
파레토법칙과 롱테일법칙
더 치열해지는 선택과 집중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VIP마케팅이다. 국내 굴지의 백화점은 테이터를 분석한 결과 상위 50% 고객의 구매금액 비율이 2.6% 증가했다는 것을 발견 했다.
흔히 20세기를 대중의 시대라 한다. 기계가 발달해 대량생간과 이에 따른 대량소비가 가능해졌고, 특히 대중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가능케 하는 대중매체가 탄생했던 시기이기도 했다. 소수의 소비자들에게는 많은 것을 원하지 않았으며 최소의 투자로 최대의 이익을 보기위해 대중을 상대로 선택과 집중을 적용해야 했다. 기업들은 가지고 있는 역량을 총동원하여 다중의 소비자를 선택하고 그들에게 집중하였다. 소비자들이 많이 다니는 곳에 상품을 진열하여 판매하였고 더 많이 팔리게 하기위해 대중매체인 티비와 라디오에 광고하였다. 그러다 보니 기업들은 자신도 모르게 위에서 말한 20% 소비자를 상대로 80%의 이익을 내기위해 노력했었다고 할 수 있다.
더욱 굵고 길어지는 꼬리
그러나 1995년 인터넷이 전세계적으로 상용화됨에 따라 그동안의 대중매체와는 다른 새로운 미디어가 탄생하게 되었다. 이런 인터넷 기술은 서서히 시장에서도 새로운 현상들을 방생시켰다. 기업들이 그동안 잊고 지내던 소수의 소비자들을 서서히 생각하게 된 것이다.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른데다 대중 또는 다수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시장의 경쟁 또한 치열해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결정적인 이유는 인터넷을 통해 기업들이 소수의 소비자들과도 대화가 되기 시작했다는 것이 더 큰 변화이다. 즉 다양한 소수가 모여서 거대한 수익의 창출이 가능한 롱테일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기업의 마케터들은 당황스러울 것이다. 시장에서 파레토가 주장한 20%의 소비자를 잡아야 할까? 아니면 다양한 소수 80%를 잡아야할까?
두 법칙중 하나를 택하지 말고 상호 보완하여 시장에 적용해야한다. 여전히 시장은 집중되어 있는 20%의 소비자가 제일 중요하고, 나머지 분산되어 있는 80%의 소비자로 부터는 틈새를 찾아야 할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8.04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31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