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Egypt)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집트 (Egypt)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국가일반
 1. 국가개요
 2. 정치사회 동향
 3. 한국과의 주요이슈

Ⅱ. 경제
 1. 경제동향 및 전망
 2. 주요산업 동향
 3. 지역무역협정 체결현황

Ⅲ. 무역
 2. 수입규제제도
 3. 대한수입규제동향
 4. 관세제도
 5. 주요인증제도
 6. 통관, 운송

Ⅳ. 투자
 2. 외국기업 투자동향
 3. 우리기업 투자동향
 4. 주요투자법내용
 5. 조세제도
 6. 외환괸리 및 자금조달

본문내용

실정으로 2012년까지 8GW의 전력 생산량을 확충하고 2027년 전체 전력 생산량을 63GW로 증가시킬 계획이다.
이집트 정부는 전력 생산량의 86%를 차지하는 화석연료의 비중을 줄이고 전력 생산원을 다양화하기 위해 풍력, 태양열 발전 비중을 높이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데 현재 1%를 차지하는 풍력 발전 비중을 2010년까지 3%로 높일 계획이다. 2006년 9월에는 공식적으로 원자력 발전소 건립계획을 발표하면서 향후 10년 내 1,000MW 규모의 원자력 발전소 1기를 지중해 연안에 건설하고 이후 3개의 원자력 발전소를 추가로 건립해 증가하는 전력 수요에 대처할 예정이다.
마. ICT 산업
휴대폰과 컴퓨터 수의 증가, 관련 법규 개정 등으로 IT 산업은 이집트 경제발전의 선도 분야로 부상 중인데 특히 통신 분야는 매년 20%의 급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2007.1월 기준 이집트 컴퓨터 사용 인구는 600만명으로 추산되며 매월 컴퓨터 판매대수가 약 15만대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컴퓨터 사용자의 도시 집중화가 심해 카이로와 알렉산드리아 2개 지역에서 75%의 컴퓨터가 구매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컴퓨터 사용인구도 아직 전체 인구의 7.5%에 불과한 실정이다.
인터넷 다이얼 업 사용인구는 2002녀 160만명에서 2007년 1월 640 만명으로 증가하였으며 2007년 중반까지 700만명이 인터넷을 사용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ADSL 사용인구는 2006년 1월 9만 6,000명에서 2007년 1월 21만 6,000명으로 인터넷 사용인구 증가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2007년 1월 기준 이집트에는 1,400개의 IT 클럽이 있는데 이집트 정부는 IT 기업과의 제휴를 통해 인터넷 사용인구의 확충을 꾀하고 있다. Lucent Technology와 제휴로 공립학교에서의 인터넷 및 E-mail 접근성을 강화하고 있다. 2006년 12월에는 Google과의 제휴를 통해 e-mail 및 메시지 서비스를 300만명의 대학생에게 서비스하고 있다.
이집트 ICT 분야 중 이동통신 분야가 가장 활발한 성장을 보이고 있는데 2007년 4월 기준 Vodafone과 Mobinil 이 시장을 각각 48%, 52%씩 점유하고 있는 가운데 총 이동통신 사용 인구는 2006년 1월 1,390만명에서 2007년 1월 1,850만명으로 증가하였따. 현재 2개 이동통신사는 2.5세대 기술을 통해 WAP, GPRS, SMS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통화품질에 대한 소비자의 불만이 증가하고 있어 서비스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2006년 7월 신규로 제3이동통신 사업자가 아랍에미리트 ETISALAT 로 선정되고 2007년 5월부터 서비스를 개시함에 따라 이동통신 시장은 보다 치열한 경쟁체제로 돌입하게 되었다. 제3이동통신 사업권은 총 31억 달러가 소요됐으며 2세대 뿐만 아니라 최신 기술인 3세대 GSM 운영권까지 획득함으로써 신규 이동통신 업체가 유리한 입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2010년까지 신규사업자 고객도 1,000만명이 될 것으로 전문가는 예측하고 있다. 2007.1월에는 최신 기술의 필요성을 느낀 Vodafone에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이집트 정부에 5억 8,000만 달러를 지불, 15년간 3세대 기술 사용허가를 받음에 따라 3개 이동통신 기업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유선통신은 정부기업인 Telecom Egypt에 의해 독점되고 있는데 현재 전화라인은 1,090만 라인으로 2006년 기준 16%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집트 정부는 국제 전화 사업에 민간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원칙을 세우고 있지만 아직 구체적 계획은 없으며 우선적으로 3대 이동통신업체의 ISP 자회사에 배정하겠다는 원칙을 세우고 있다. 국제전화 사업을 위한 자회사 확보를 위해 Vodafone 은 2006년 9월 Raya Telecom의 지분 51% 를 1억 8,000만 달러에 인수하여 발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으며 Mobinil은 자회사인 Link.Net 을 통해 국제전화 사업에 참여할 전망이다.
3. 지역무역협정 체결현황
가. 개요
이집트는 유럽과 아시아, 아프리카를 잇는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하고 있다. 거대 시장인 EU 시장과 오일 달러가 넘치는 아랍권 그리고 외부에서의 접근이 어려운 아프리카 시장의 길목에 있다.
이집트 정부는 1995년 WTO 가입을 시작으로 세계 교역 질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FTA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여 EU, 미국의 양대 시장을 비롯해 아랍권, 동남부 아프리카와도 FTA를 체결했다.
2001년에 EU와 이집트-EU Partnership Agreement를 체결 2004년부터 발효됨으로써 세계 양대 시장 중 하나인 EU와 사실상 자유무역협정(FTA)를 체결하고 있다. 이로써 이집트 공산품의 대 EU 수출은 무관세로 이루어지지만 EU 의 대이집트 공산품 수출관세는 12년간 4단계에 걸쳐 철폐하게 됐다.
농산품에 대한 협상은 권국 농산품 보호 경향에 따라 미 타결 되었으며 협상이 계속 추진중이다. 미국, 이스라엘 등과도 부분적인 FTA 인 QIZ 협정이 2005.1.1일 발효되어 이스라엘산 원부자재 11.7%이상 사용, 국내산 원부자재 35% 사용 규정을 충족하는 경우 미국으로 무관세 및 무쿼터 수출이 가능하게 되어 세계 2대 시장으로의 접근성이 강화됐다. 2007년 10월 이스라엘산 원부자재 조달비율이 10.5%로 완화되어 2008년 1월부터 완화된 규정이 적용되고 있다.
인근 아프리카 및 아랍권과의 FTA 추진도 활발하여 20개 회원국을 보유한 동남부 아프리카 공동시장(COMESA) 9개국과 상호 무관세 협약을 체결하였으며 아랍리그 14개 국가(PAFTA)와도 FTA 협상을 체결했다.
2007.1월 이집트는 EFTA 4개국(유럽자유무역연합 : 스위스,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과 FTA를 체결했는데 동 협정내용은 수산물, 농산물, 공산품을 포괄하고 있으며 농산물은 이집트와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스위스 개별 양자 협정 방식이다. 동 협정 발효 즉시 이집트가 EFTA 로 수출할 경우 농수산물을 제외한 광산품의 관세가
  • 가격3,000
  • 페이지수72페이지
  • 등록일2011.08.04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33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