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심이문사상>
1)일심의 의미
2)이문
(1)심진여문, 심생멸문
①심진여문
②심생멸문
(2)이문의 관계
<화쟁사상>
<수행법: 지관이행>
1)일심의 의미
2)이문
(1)심진여문, 심생멸문
①심진여문
②심생멸문
(2)이문의 관계
<화쟁사상>
<수행법: 지관이행>
본문내용
가지 능력이다. 이는 결국 본지위라는 완성된 깨달음의 경지에 오르는 것을 말한다.
이처럼 원효는 심진여문을 내세움으로써 무명에 덮인 중생이 나아가야 할 수행의 목적지를 보여주며, 본각의 청정자성을 드러내지 못하고 있는 심생멸문을 제시함으로써 현실 존재의 미오 상태에서 벗어나 수행을 통해 불각의 상태에서 시각의 상태를 거쳐 본각의 진여자성지에 들어가 완전한 인격완성을 이루는 이론적 바탕을 제시한다.
다시 말해 심생멸문 속에 내포된 여래장(모든 중생의 마음속에 이미 갖추어져 있는 부처의 씨앗)을 굳게 믿음으로써, 비록 현 상태는 번뇌의 객진 속에 덮여 그 빛을 발하지는 못하지만 수행에 의해 심생멸문 안의 번뇌의 객진만 제거하면 원래의 청정한 진여심을 되찾을 수 있다는 불교적 인격완성의 길을 제시하고 있다.
이처럼 원효는 심진여문을 내세움으로써 무명에 덮인 중생이 나아가야 할 수행의 목적지를 보여주며, 본각의 청정자성을 드러내지 못하고 있는 심생멸문을 제시함으로써 현실 존재의 미오 상태에서 벗어나 수행을 통해 불각의 상태에서 시각의 상태를 거쳐 본각의 진여자성지에 들어가 완전한 인격완성을 이루는 이론적 바탕을 제시한다.
다시 말해 심생멸문 속에 내포된 여래장(모든 중생의 마음속에 이미 갖추어져 있는 부처의 씨앗)을 굳게 믿음으로써, 비록 현 상태는 번뇌의 객진 속에 덮여 그 빛을 발하지는 못하지만 수행에 의해 심생멸문 안의 번뇌의 객진만 제거하면 원래의 청정한 진여심을 되찾을 수 있다는 불교적 인격완성의 길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