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언론의 역사와 바른 언론 기능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인터넷 언론의 역사
카니발이론과 인터넷 언론
카니발이론과 인터넷언론과의 관계
딴지일보의 해학적 메인창
[함께해요 국민범죄시대] 라는 딴지 일보의 글
카니발이론적 성격은 익명성이 보장
오마이 뉴스의 메인
오마이뉴스도 시민 기자숲의 시민기자
바른 언론의 기능

본문내용

인터넷 언론의 역사와 바른 언론 기능








인터넷 언론의 역사


◈ 인터넷 등장 이후, PC통신 게시판이나 대화방과 같은 형태가 아니라 실험적이며, 독자적인 저널리즘의 형식을 갖춘 인터넷 신문이 발달하게 되었다. 특히 인터넷 패러디 신문을 표방한 ‘딴지일보(1998.7.6)’의 등장은 인터넷 기술이 대안적 언론에 적용될 수 있음을 가시적으로 보여주었다.








◈ 2000년 2월 창간한 ‘오마이뉴스’는 기존의 인터넷 신문과는 완전히 차별되는 새로운 언론모델을 창출했다. 그것은 종합일간지적 성격의 인터넷 신문을 시민기자 중심으로 운영하면서 신문과 방송 등 제도화된 언론과 경쟁 가능한 사회적 영향력을 창출한 것이다. ‘오마이뉴스’가 짧은 시간에 전통적인 언론매체와 경쟁할 만큼 영향력을 확보한 가장 중요한 이유는 무엇보다도 시민들이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인터넷 시민 미디어 구축이라는 아이디어에 있다.








카니발이론과 인터넷 언론


◈ 카니발이론

◈ 단순히 축제를 뜻하는 것이 아니고 얼굴을 가면으로 가림으로써 계급을 벗어나 모든 사람이 평등하게 지낼 수 있는 기간 이었다. 이러한 카니발 이론의 중심은 중세시대 피지배계층인 다수의 대중 또는 민중들이 사회 전체에 매몰당면서 개인의 개성과 인격이 배척당하던 시대에 사회의 한 일부로서만 여겨지던 민중이 적극적으로 역사 무대에 작은 한 발짝의 발걸음을 내딛는 획기적이고도 사회의 지배적 이론에서 벗어난 민중 이론이라 할 수 있다.








카니발이론과 인터넷언론과의 관계


◈ 인터넷 언론 또한 카니발이론적 성격을 띄고 있는데 그 처음으로는 카니발이론의 웃음의 철학이다. 이러한 인터넷 언론의 성격을 잘 보여주는 예로 딴지 일보를 들 수 있는데, 딴지 일보를 비롯한 많은 인터넷 언론에서 카니발의 해학과 풍자를 발견할 수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1.08.10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6943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