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접근 방법(기법)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롤랑바르트
스투디움(Studium)
푼크툼(punctum)
최민식
배병우
이경모
Robert Capa

본문내용

사진 접근 방법(기법)








롤랑바르트


 ≪ 사 진 ≫

프랑스의 구조주의 철학가이자 비평가.

그의 저서 <밝은 방: 사진에 대한 노트>, <카메라 루시다>등에서 사진에 대한 내용을 다룸.








스투디움(Studium)


● 사진이 담고 있는 전체적 범주로 작가의 원래 의도(인문화, 관습, 나른한 욕망, 잡다한 흥미, 총체적 정보)을 가진 지극히 넓은 영역이다.

● 코드화되고 일상적인 것이다.

● 일상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은 고전적인 정보 쪽으로 기울어지기 마련이고, 일반적인 관심을 갖는다. 그 감정을 길들여진 감정이라고 얘기한다.








 ≪ 사 진 ≫ ≪ 사 진 ≫








푼크툼(punctum)


● 타인에게는 일반적인 사진이 자신에게는 오래도록 기억에 남고 가슴을 찌르는 듯한 세부적인 요소를 말한다.

● ‘무엇을 의미한다’라는 객관적 영역이 아닌 ‘의미의 과잉or결핍’을 뜻하는 형이상학적 존재이다.

● 존재론적 관점 : 문화적 코드로부터 이탈한 다른 종류의 주관적 의미로 해석
(탈-의미, 탈-코드)








 ≪ 사 진 ≫ 








최민식


 ≪ 사 진 ≫ 

● 한국 다큐멘터리사진의 시초 발판을 마련

● 1957년부터 사진을 찍기 시작하여 50여 년 동안 민중들의 삶을 찍음.

● 가난하고 힘없는 사람들의 존엄성과 그것에 기생하는 권력의 부조리함을 알리기 위해 노력함.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1.08.10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6943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