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변증법적 유물론>
<경제결정론>
1.사회는 토대와 상부구조로 구성된 통합체이다.
2.사회 변동의 요인은 생산력과 생산관계 사이의 모순과 그것의 해소로부터 비롯되는 생산양식의 변화다.
3.경제결정론
<자본주의 붕괴의 필연성>
<프롤레타리아 혁명>
<계급투쟁과 역사의 필연성>
<경제결정론>
1.사회는 토대와 상부구조로 구성된 통합체이다.
2.사회 변동의 요인은 생산력과 생산관계 사이의 모순과 그것의 해소로부터 비롯되는 생산양식의 변화다.
3.경제결정론
<자본주의 붕괴의 필연성>
<프롤레타리아 혁명>
<계급투쟁과 역사의 필연성>
본문내용
것은 사실 앞서 나온 필연성을 근간으로 하여 자본주의가 붕괴한다고 주장하는 경제 결정론과는 어울리지 않는다. 현대의 마르크시스트들도 이 문제로 많은 고민을 한다. 오늘날에는 맑스를 경제결정론자로 보지 않으려고 하는 경향이 강하다. 또한 한 사회의 모순을 단순히 생산력과 생산관계의 모순으로만 보지는 않으려는 경향이 강하다. 대표적인 네오 맑시스트가 알튀셰이다. 그의 이론 중에 중층모순이라는 게 있다. 말인즉슨 한 사회의 모순을 생산양식의 모순으로 모두 설명해낼 수 는 없다고 생각하며 모순이 차곡차곡 쌓인다는 의미다. 그리고 또 최종심급에서의 경제결정이라는 이론이 있다. 즉 모순자체는 중층모순에 의해 뒤엉켜있지만 무엇인가 한 사회에 결정적인 변동을 일으킬 때는 경제가 결정한다는 의미다. 알튀세는 『맑스를 위하여』라는 책을 썼다.
근래에 마르크스를 받아들이고 있는 이론들은 마르크스를 일방적으로 경제결정론으로 몰아붙이기엔 무리가 있다는 평가를 많이 한다. 마르크스는 내부적 모순을 포함한다 하겠다. 맑스는 정치적 상황에 변할 때마다 말하는 바가 약간씩 달라진다.
다만 분명한 것은, 모든 역사는 계급투쟁의 역사이고 역사 발전의 원동력은 사회 계급 사이의 대립이다.
근래에 마르크스를 받아들이고 있는 이론들은 마르크스를 일방적으로 경제결정론으로 몰아붙이기엔 무리가 있다는 평가를 많이 한다. 마르크스는 내부적 모순을 포함한다 하겠다. 맑스는 정치적 상황에 변할 때마다 말하는 바가 약간씩 달라진다.
다만 분명한 것은, 모든 역사는 계급투쟁의 역사이고 역사 발전의 원동력은 사회 계급 사이의 대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