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의 정의 및 조작화(한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변수의 정의 및 조작화

2. 변수의 종류

3. 변수의 조작화 및 측정

본문내용

연구자는 실험군 아동과 부모에게 사진을 이용한 수술 진행 상황, 절차, 경험하게 될 과정에 대한 정보를 20분간 제공하였고 대조군 아동과 부모에게는 일상적인 수술 전 교육만 제공.
수술 당일 연구자는 실험군과 대조군 아동 및 부모가 수술 대기실에 도착한 지 5분이 되면 주관적 불안과 생리적 불안을 측정.
·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AS 프로그램을 이용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증은 χ2 검정과 Fisher's exact test 및 unpaired t test로 분석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주관적 불안과 생리적 불안의 중재 전후 변화 간의 차이는 unpaired t test로 검정
연구결과
· 사진을 이용한 정보 제공을 박은 실험군 아동의 주관적 불안은 대조군 아동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 부모의 주관적 불안은 시각적 상사 척도로 측정했을 때 대조군 부모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 사진을 이용한 정보 제공을 받은 실험군 아동의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맥박 변화는 대조군 아동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 부모의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맥박 변화는 대조군 부모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이상의 결과로 사진을 이용한 정보 제공을 받은 아동과 부모의 생리적 불안은 대조군보다 감소하지 않았으나, 주관적 불안 변화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음.
<변수 및 조작화>
· 독립변수 : 사진을 이용한 정보 제공
· 종속변수 : 주관적 불안, 생리적 불안 ; 혈압, 맥박수
· 외생변수의 통제
실험의 확산을 막기 위하여 6월 1일부터 7월 15일 까지 수술을 받은 아동을 대조군으로, 이후 8월 31일까지 수술을 받은 아동을 실험군으로 할당함
<측정>
· 주관적 불안 ; 아동이 지각하는 주관적 불안은 시각적 상사 척도 (Visual Analogue Scale)를 사용하여 10cm 의 수평선상에 불안의 적도를 표시하도록 하여 0에서 표시된 지점까지 잰 길이로 측정. 이 도구는 왼쪽 끝에 0 (불안 없음), 오른쪽 끝에 10 ( 불안이 아주 심함)이라고 적혀 있고 점수가 높을 수록 아동이 지각하는 불안이 심함을 의미하고 부모가 지각하는 주관적 불안은 Spielberger(1972)가 개발한 상태 불안 측정 도구 (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 STAI )를 kim과 shin (1978)이 한국인에 맞게 변역한 도구로 측정. 이는 긍정적 문항 10문항과 부정적 문항 10문항으로 구성되고, 각 문항은 “ 전혀 그렇지 않다” 인1점부터 “ 대단히 그렇다”인 4점 까지 4점 척도이며, 최저 20점에서 최고 80점으로 점수가 높을 수록 불안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 Cronbach's α =.94임
또한 부모가 지각하는 주관적 불안은 시각적 상사 척도 (Visual Analogue Scale)을 사용하여 10cm(0: 불안없음, 10: 불안이 아주 심함)의 수평선상에 불안의 정도를 표시하도록 하여 0에서 표시된 지점까지를 잰 길이로 측정. 점수가 높을수록 부모가 지각하는 불안이 심함.
· 생리적 불안
아동과 부모의 생리적 불안은 Datex-Ohmeda S/5 Anesthesia Monitor (Choong wae medical,2001)를 사용하여 혈압과 맥박수로 측정. 혈압은 정확한 측정을 위해 커프 넓이가 대상자의 상박1/2에서 2/3이고 커프 길이가 팽창 주머니 넓이의 2배로 사지를 충분히 감쌀 수 있는 혈압기 커프를 선택하여 좌측 상완 동맥에서 측정
맥박은 맥박 산소 계측기 (Datex-Ohmeda S/5 Anesthesia Monitor)를 사용하여 우측 네 번째 손가락에서 측정.
Saydah, S., Lochner, K. (2010). Socioeconomic status and risk of diabetes-related mortality in the U.S. Public Health Reports, 125, 377-388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당뇨는 1980년 이후 미국 사망률 원인의 10위권 내를 차지하고 있다. 건강의 불균형은 성별, 인종, 교육이나 수입과 같은 사회경제적인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인 특성에 따라 당뇨의 사망률과의 관계를 연구해보고자 한다.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자료는 NHIS(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의 데이터와 NHIS에 Linked된 사망률 파일을 사용하였다. 샘플 size는 1999년부터 2000년 중 매년 100.000명을 대상으로 25세 이상으로 사망률과 관련된 적합한 대상(n=527,426)을 선정했다. 교육과 가계수입에 따른 사회경제적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당뇨와 연관된 사망자 표본 수는 5,613명이다.
분석방법 SUDAAN 9.1version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사용 및. test, Cox Model(생존분석)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성별, 사회경제적 특성, BMI에 의한 모델에서는 고졸이하의 성인은 college degree 사람에 비해 당뇨에 의한 사망이 2배이며, 가난한 사람들의 위험은 400% FPL 이상의 수입을 가진 사람들보다 2.4배 높다. 그러나 사회경제적 특성이 꼭 낮다고 하여 위험 증가하지는 않는다. 다른 사전 연구에 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 당뇨에 의한 사망률은 매우 관련이 깊게 나타난다. 교육과 가계수입은 당뇨의 사망률과 중요한 요인이 된다.
<독립변수>
사회경제적 특성 -> Education level ,Family income
<매개변수>
인구통계적인 특성 -> Gender ( male, female), Race/ ethnicity ( Non-Hispanic white, Non-Hispainc black, Hispanic), Married Status ( Married, Divorced/Separated/Widowed, Never married), BMI ( Underweight, Normal, Overweight, Obese, Extremely obese)
<종속변수>
당료로 인한 사망률
  • 가격3,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1.08.15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48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