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회계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Ⅱ. 공인회계사 1
1 ) 공인회계사 소개 1
2 ) 공인 회계사의 중요성 1
3 ) 공인 회계사의 수행 직무 2
1. 회계 감사 2
2. 경영 컨설팅 2
3. 세무 대리 2
4. 실사 업무 3
4 ) 회계사가 되기 위한 과정 3
5 ) 공인 회계사 시험 5
1. 절차 5
2. 방법 5
6 ) 시험 합격 후 실무수습 9
7 ) 공인 회계사의 전망과 업무영역 10
8 ) 공인 회계사의 불확실성 및 향후 개선책 12

Ⅲ. 해외의 공인회계사 제도 13
1 ) AICPA 13
2 ) CMA 17
3 ) 한국 CPA와의 비교 19

Ⅳ. 결론 20

본문내용

0이 되며 최소 500점은 획득하여야 합격으로 처 리되는데, 이는 수험생이 시험문제의 60 - 70%는 맞아야 획득할 수 있는 점수이 다.
오답에 대한 감점제도는 없다.
⑤ 시험 합격률
CMA 시험이 CBT 방식으로 변경된 이래 전 세계 누적 합격률은 52%이다.
⑥ 자격취득요건
1) IMA 회원이어야 한다.
2) Part IㆍIIㆍIIIㆍIV를 모두 합격해야 한다.
3) 2년의 실무경력을 구비해야 한다 : 경력증명서는 응시원서 접수 시 또는 시험합 격 후 7년 이내에 제출하여야 한다.
4) 도덕적 인격을 갖추고 IMA의 윤리기준(Standards of Ethical Conduct)을 준수 해야 한다.
⑦ 시험 과목
시험과목
주요내용
Part1. Business Analysis
(3 hours : 110 multiple-choice questions)
A-Business Economics (25%) (Level B)
B-Global Business (20%) (Level B)
C-Internal Controls (15%) (Level A)
D-Quantitative Methods (15%) (Level B)
E-Financial Statement Analysis (25%)
(Level B)
Part2. Management Accounting and Reporting
(4 hours : 140 multiple-choice questions)
A-Budget Preparation (15%) (Level C)
B-Cost Management (25%) (Level C)
C-Information Management (15%) (Level A)
D-Performance Measurement (20%)
(Level C)
E-External Financial Reporting (25%)
(Level B)
Part3. Strategic Management
(3 hours : 110 multiple-choice questions)
A-Strategic Planning (15%) (Level B)
B-Strategic Marketing (15%) (Level A)
C-Corporate Finance (25%) (Level B)
D-Decision Analysis (25%) (Level C)
E-Investment Decisions (20%) (Level C)
Part4. Business Applications
(Level C)
(3 hours : 4 to 7 essays/problems
A-All topics from Parts 1, 2, and 3 plus:
B-Organization Management
C-Organization Communication
D-Behavioral Issues
E-Ethical Considerations
3. CMA의 전망과 진출영역
CMA는 일반 기업의 재무ㆍ기획부서 뿐만 아니라 조직의 다양한 부서에서 전략적 의사결정을 주도하는 핵심브레인으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CMA 교과과정은 직무관련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미국과 유럽의 주요한 기업들은 CMA 과정을 사내 교육과정의 일환으로 채택하여 실시하거나 외부 교육기관에 위탁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실제로 교육과정의 특성상 CMA 자격증 소지자들의 평균연봉은 자격증 미소지자보다 약 20%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기업회계의 국제화와 관리 및 기획업무의 선진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대기업과 다국적기업들에서 CMA의 필요성은 이미 입증되고 있으며, 관리/기획 및 회계전문가의 대명사로서 그 입지는 더욱 확고해 질 것이다.
3 ) 한국공인회계사와의 비교
한국공인회계사보다 AICPA와 CMA는 그 활동 무대가 미국 내에 국한되어 있지 않고 전 세계에 펼쳐져 있다는 점이 다르며 세계 어디서나 인정을 받을 수 있고 국제적인 전문가로서 세계의 중심에서 활약할 수 있는 유망한 국제 전문자격증이다. 또한 정부 업무 및 교육업무를 포함한 국제금융 등 High Level Skill을 가지고 독자적인 영역을 형성하며 눈부신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Ⅳ. 결론
평소에는 공인회계사라고 하면 일단 공인회계사라는 직업을 갖기가 굉장히 어렵다고만 생각했지 공인회계사가 무슨 일을 하며, 공인회계사 시험이 어떤 형식으로 치러지는지 얼마나 어려운지 전혀 관심이 없었다. 하지만 이번에 졸업 작품을 하면서 공인회계사가 무슨 일을 하는지, 공인회계사 시험이 얼마나 어려운지 등 여러 가지를 알게 되었다.
공인회계사에 대해 조사하면서 가장 의외였던 점은 한국공인회계사와 미국공인회계사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점이었다. 국내와 국제회계 기준이 틀리고 시험 성격도 우리나라는 고시수준인 반면 국제공인회계사는 단기간 준비로 충분히 합격할 수 있는 차이 때문에 상호간 교류가 어려워서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그리고 한국공인회계사가 회계사의 고유 업무인 회계감사를 수행하는 주체가 될 수 있지만 미국공인회계사는 회계감사에 참여는 할 수 있으나 자신의 이름으로 회계감사를 수행하고 감사보고서를 발행할 수 없다. 즉, 미국공인회계사는 우리나라에서 회계사로서 활동하는 데 상당한 제약을 받고 있는 것이다. 미국공인회계사가 우리나라에서의 제약을 받는 반면에 장점 또한 있는데 국제공인이기 때문에 외국기업 입사가 가능하다는데 있다. 또 국내 공인회계사와 달리 단기간 준비로 합격이 가능하다. 아직 국내에서 미국공인회계사에 대한 검증이 명확히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지만 국제화시대임을 감안할 때 도전해볼만하다.
처음에는 깊은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공인회계사에 대해 자료를 수집하고 요약하고 수정하고 하는 과정에서 단어 하나하나가 어렵고 이해하기가 쉽지 않아서 어려웠지만 논문 제출을 하고 또 한 번의 수정작업을 하는 등 시간이 흐를수록 자연스럽게 이해가 되었다.
미래의 유망 직업인 공인회계사. 그 꿈을 키우고 있는 세무회계를 전공으로 하고 있는 우리들은 결코 쉽지 않은 과정이지만 앞에서 언급한 시험 절차 및 방법과 합격 후 실무수습에 유의하면서 최선을 다해 도전한다면 공인회계사는 우리의 미래일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1.08.18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59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