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최치원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
2. 최치원의 사상적 배경
3. 최치원의 시문학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최치원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
2. 최치원의 사상적 배경
3. 최치원의 시문학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느 중이 지리산 석굴 속에서 최치원의 시첩을 발견하였는데 16수 중에서 이 8수만 전한다고 함.
김진영안영훈 역주, 『고운 최치원 시집』, 민속원, 1997, p. 113~116
1.
東國花開洞 (동국화개동) 우리나라 화개동은
壺中別有天 (호중별유천) 항아리 속 별천지. 한대(漢代)의 선인(仙人) 호공(壺公)이 항아리를 집으로 삼고 술을 즐기며 세속을 잊었다는 고사.
仙人推玉枕 (선인추옥침) 선인이 옥베개를 권하니
身世千年 (신세훌천년) 몸과 세상이 어느새 천년일세. 노생(盧生)이 한단(邯鄲)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잠시 잠이 들었는데 부귀와 영화에 찬 한 평생의 꿈을 꾸었다는 고사.
2.
萬壑雷聲起 (만학뇌성기) 골짜기마다 물소리 우레 같고
千峯雨色新 (천봉우색신) 봉우리마다 초목은 비에 새로워라.
山僧忘歲月 (산승망세월) 산속에 중은 세월을 잊고서
惟記葉間春 (유기엽간춘) 나뭇잎으로만 봄을 기억하네.
3.
雨餘多竹色 (우여다죽색) 비온 뒤 대 빛깔 더욱 짙고
移坐白雲開 (이좌백운개) 옮겨 앉으니 흰구름 열리네.
寂寂因忘我 (적적인망아) 고요하여 나를 잊고 있노라니
松風枕上來 (송풍침상래) 솔바람이 베갯머리에 스치네.
4.
春來花滿地 (춘래화만지) 봄이 오니 꽃이 땅에 가득하고
秋去葉飛天 (추거엽비천) 가을이 가니 낙엽이 하늘에 날리네.
至道離文字 (지도이문자) 지극한 도는 문자를 떠나서
元來是目前 (원래시목전) 원래부터 눈앞에 있는 거라네.
5.
澗月初生處 (간월초생처) 시내에 달이 처음 솟아나고
松風不動時 (송풍부동시) 솔바람은 고요히 불지 않을 때.
子規聲入耳 (자규성입이) 두견새 소리 귀에 들려오니
幽興自應智 (유흥자응지) 그윽한 흥을 절로 알겠네.
6.
擬說林泉興 (의설임천흥) 숲속의 흥취를 말하려 해도
何人識此機 (하인식차기) 어느 누가 이 맛을 알겠는가.
無心見月色 (무심견월색) 무심히 달빛을 보다
坐忘歸 (묵묵좌망귀) 묵묵히 돌아가는 것도 잊네.
7.
密旨何勞舌 (밀지하로설) 은밀한 뜻을 어찌 말로써 하리
江澄月影通 (강징월영통) 강이 맑으니 달그림자 통하네.
長風生萬壑 (장풍생만학) 긴 바람이 골짜기에서 불어오니
赤葉秋山空 (적엽추산공) 붉게 물든 가을산이 텅비었네.
8.
松上靑蘿結 (송상청라결) 소나무 위엔 푸른 덩굴 얽히고
澗中流白月 (간중유백월) 시내에는 흰 달이 흐르네.
石泉吼一聲 (석천후일성) 바위 샘이 한번 울리니
萬壑多飛雪 (만학다비설) 온 골짜기에 눈발 날리네.
고운이 입산(入山)을 하기 전에 지은 시에서는 고운이 상당히 사물을 어둡게 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그가 입산하고 난 뒤에는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고 있다. 즉, 사물을 밝게 보고 있는 것이다. 처음에는 그가 자유의 속박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또 자기 스스로도 자신의 자유를 억압했고, 자기 이외의 외부의 다른 요소들도 그의 자유를 억압했다. 그러나 이 시들에 이르면 그는 한 사람의 완전한 자유인이 된 것이다. 세속의 번뇌 망상을 떨쳐버리고 열반의 경지에 이르니, 이것이 바로 피안 산스크리트의 파람의 번역어. 강 저쪽 둔덕이라는 의미. 진리를 깨닫고 도달할 수 있는 이상적 경지 를 나타내는 말. 특히 일상적인 세속(世俗)으로부터 초월한다는 뜻을 표현하는 말로 많이 쓰임.
의 세계인 것이다. 이구의, 『최고운의 삶과 문학』, 국학자료원, 1995, p.94
4) 최치원 시문학의 의의
최치원의 시는 자기 처지를 절실하게 드러냈다는 데서 그 나름대로의 역설적인 가치를 지닌다. 결국 실패한 인생으로, 무엇하나 이룬 것이 없다고 할지 모르나,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를 두고 자기 나름대로 심각하게 고민했다. 당나라에서 좌절을 경험한 이래로 마침내 가야산에서 자취를 감출 때까지 방황과 번민을 시로 나타내면서 자기대로 진실을 토로했다. 한시 가운데서도 격식이 까다로운 근체시를 익혀서 능란한 표현을 갖추는 것도 쉽지 않은 노릇인데, 내면의 고독과 회환을 오묘한 조화를 갖춘 말로 엮어내는 데까지 이르렀다. 당에서 비로소 완성된 근체시 형식을 예술적으로 충분하게 승화시켰다. 조동일, 『한국문학통사』1, 지식산업사, 1998, p.275~276
Ⅲ. 결론
육두품 중심의 당나라 유학생들이 통일신라 내에서의 신분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개인적 동기에서 유학을 결심했다 하더라도 그들이 유학 가서 공부한 내용은 신라가 보편적 문화를 경험하는 소중한 기회를 마련해주었다고 하겠다. 이로써 통일신라는 본격적으로 동아시아 보편문화를 향유하고 창조하는 성원이 된 것이다. 최치원은 이러한 통일신라의 문화적 지향에 가장 핵심적 역할을 하였다는 점에서 먼저 평가되어야 한다.
한 시대가 안고 있는 문제를 정확하게 포착하고 그것을 문학의 세계속으로 반영하여 마침내 바람직한 세계상까지 그려내는 것이야말로 전환기의 문학이 응당 감당해야 할 일이다. 전환기를 살아간 최치원은 이러한 과업을 도맡을 책임이 있는 육두품계층에 속했다. 그리고 전환기 문학의 한 갈래인 한문학을 본격적으로 실현시킨 존재이기도 하다. 개인적계층적 한계 때문에 그러한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는 못했다 하겠지만, 그 한계의 많은 부분은 그 시대의 일반적 한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치원은 자기 계층의 주객관적 여건을 바탕으로 하여 이념적종교적 종합을 꾀했고, 당시 세계 보편문학 중 하나인 한문학을 차원 높게 수용하여 발전시킴으로써 한 시대 문화인의 최대치를 보여주었다. 최치원의 이러한 점은 당시 세계문화 수준을 고려해볼 때 민족문화의 소중한 자산이다. 『민족문학사강좌 상』, 민족문학사연구소 엮음, 창작과비평사, 1997, p.97
※참고문헌※
1. 『 최치원 연구』, 이재운 저, 백산자료원, 1999
2. 『삼국사기 열전』,김부식 지음구인환 엮음, 신원, 2003
3. 『민족문학사 강좌 상』, 민족문학사연구소 엮음, 창작과비평사, 1997
4. 『한국문학통사』1, 조동일, 지식산업사, 1998
5. 『고운 최치원 시집』, 김진영안영훈 역주, 민속원, 1997
6. 『최치원 문학연구』, 김중렬, 고려대학교 대학원, 1983
7. 『최고운의 삶과 문학』, 이구의, 국학자료원, 1995
김진영안영훈 역주, 『고운 최치원 시집』, 민속원, 1997, p. 113~116
1.
東國花開洞 (동국화개동) 우리나라 화개동은
壺中別有天 (호중별유천) 항아리 속 별천지. 한대(漢代)의 선인(仙人) 호공(壺公)이 항아리를 집으로 삼고 술을 즐기며 세속을 잊었다는 고사.
仙人推玉枕 (선인추옥침) 선인이 옥베개를 권하니
身世千年 (신세훌천년) 몸과 세상이 어느새 천년일세. 노생(盧生)이 한단(邯鄲)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잠시 잠이 들었는데 부귀와 영화에 찬 한 평생의 꿈을 꾸었다는 고사.
2.
萬壑雷聲起 (만학뇌성기) 골짜기마다 물소리 우레 같고
千峯雨色新 (천봉우색신) 봉우리마다 초목은 비에 새로워라.
山僧忘歲月 (산승망세월) 산속에 중은 세월을 잊고서
惟記葉間春 (유기엽간춘) 나뭇잎으로만 봄을 기억하네.
3.
雨餘多竹色 (우여다죽색) 비온 뒤 대 빛깔 더욱 짙고
移坐白雲開 (이좌백운개) 옮겨 앉으니 흰구름 열리네.
寂寂因忘我 (적적인망아) 고요하여 나를 잊고 있노라니
松風枕上來 (송풍침상래) 솔바람이 베갯머리에 스치네.
4.
春來花滿地 (춘래화만지) 봄이 오니 꽃이 땅에 가득하고
秋去葉飛天 (추거엽비천) 가을이 가니 낙엽이 하늘에 날리네.
至道離文字 (지도이문자) 지극한 도는 문자를 떠나서
元來是目前 (원래시목전) 원래부터 눈앞에 있는 거라네.
5.
澗月初生處 (간월초생처) 시내에 달이 처음 솟아나고
松風不動時 (송풍부동시) 솔바람은 고요히 불지 않을 때.
子規聲入耳 (자규성입이) 두견새 소리 귀에 들려오니
幽興自應智 (유흥자응지) 그윽한 흥을 절로 알겠네.
6.
擬說林泉興 (의설임천흥) 숲속의 흥취를 말하려 해도
何人識此機 (하인식차기) 어느 누가 이 맛을 알겠는가.
無心見月色 (무심견월색) 무심히 달빛을 보다
坐忘歸 (묵묵좌망귀) 묵묵히 돌아가는 것도 잊네.
7.
密旨何勞舌 (밀지하로설) 은밀한 뜻을 어찌 말로써 하리
江澄月影通 (강징월영통) 강이 맑으니 달그림자 통하네.
長風生萬壑 (장풍생만학) 긴 바람이 골짜기에서 불어오니
赤葉秋山空 (적엽추산공) 붉게 물든 가을산이 텅비었네.
8.
松上靑蘿結 (송상청라결) 소나무 위엔 푸른 덩굴 얽히고
澗中流白月 (간중유백월) 시내에는 흰 달이 흐르네.
石泉吼一聲 (석천후일성) 바위 샘이 한번 울리니
萬壑多飛雪 (만학다비설) 온 골짜기에 눈발 날리네.
고운이 입산(入山)을 하기 전에 지은 시에서는 고운이 상당히 사물을 어둡게 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그가 입산하고 난 뒤에는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고 있다. 즉, 사물을 밝게 보고 있는 것이다. 처음에는 그가 자유의 속박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또 자기 스스로도 자신의 자유를 억압했고, 자기 이외의 외부의 다른 요소들도 그의 자유를 억압했다. 그러나 이 시들에 이르면 그는 한 사람의 완전한 자유인이 된 것이다. 세속의 번뇌 망상을 떨쳐버리고 열반의 경지에 이르니, 이것이 바로 피안 산스크리트의 파람의 번역어. 강 저쪽 둔덕이라는 의미. 진리를 깨닫고 도달할 수 있는 이상적 경지 를 나타내는 말. 특히 일상적인 세속(世俗)으로부터 초월한다는 뜻을 표현하는 말로 많이 쓰임.
의 세계인 것이다. 이구의, 『최고운의 삶과 문학』, 국학자료원, 1995, p.94
4) 최치원 시문학의 의의
최치원의 시는 자기 처지를 절실하게 드러냈다는 데서 그 나름대로의 역설적인 가치를 지닌다. 결국 실패한 인생으로, 무엇하나 이룬 것이 없다고 할지 모르나,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를 두고 자기 나름대로 심각하게 고민했다. 당나라에서 좌절을 경험한 이래로 마침내 가야산에서 자취를 감출 때까지 방황과 번민을 시로 나타내면서 자기대로 진실을 토로했다. 한시 가운데서도 격식이 까다로운 근체시를 익혀서 능란한 표현을 갖추는 것도 쉽지 않은 노릇인데, 내면의 고독과 회환을 오묘한 조화를 갖춘 말로 엮어내는 데까지 이르렀다. 당에서 비로소 완성된 근체시 형식을 예술적으로 충분하게 승화시켰다. 조동일, 『한국문학통사』1, 지식산업사, 1998, p.275~276
Ⅲ. 결론
육두품 중심의 당나라 유학생들이 통일신라 내에서의 신분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개인적 동기에서 유학을 결심했다 하더라도 그들이 유학 가서 공부한 내용은 신라가 보편적 문화를 경험하는 소중한 기회를 마련해주었다고 하겠다. 이로써 통일신라는 본격적으로 동아시아 보편문화를 향유하고 창조하는 성원이 된 것이다. 최치원은 이러한 통일신라의 문화적 지향에 가장 핵심적 역할을 하였다는 점에서 먼저 평가되어야 한다.
한 시대가 안고 있는 문제를 정확하게 포착하고 그것을 문학의 세계속으로 반영하여 마침내 바람직한 세계상까지 그려내는 것이야말로 전환기의 문학이 응당 감당해야 할 일이다. 전환기를 살아간 최치원은 이러한 과업을 도맡을 책임이 있는 육두품계층에 속했다. 그리고 전환기 문학의 한 갈래인 한문학을 본격적으로 실현시킨 존재이기도 하다. 개인적계층적 한계 때문에 그러한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는 못했다 하겠지만, 그 한계의 많은 부분은 그 시대의 일반적 한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치원은 자기 계층의 주객관적 여건을 바탕으로 하여 이념적종교적 종합을 꾀했고, 당시 세계 보편문학 중 하나인 한문학을 차원 높게 수용하여 발전시킴으로써 한 시대 문화인의 최대치를 보여주었다. 최치원의 이러한 점은 당시 세계문화 수준을 고려해볼 때 민족문화의 소중한 자산이다. 『민족문학사강좌 상』, 민족문학사연구소 엮음, 창작과비평사, 1997, p.97
※참고문헌※
1. 『 최치원 연구』, 이재운 저, 백산자료원, 1999
2. 『삼국사기 열전』,김부식 지음구인환 엮음, 신원, 2003
3. 『민족문학사 강좌 상』, 민족문학사연구소 엮음, 창작과비평사, 1997
4. 『한국문학통사』1, 조동일, 지식산업사, 1998
5. 『고운 최치원 시집』, 김진영안영훈 역주, 민속원, 1997
6. 『최치원 문학연구』, 김중렬, 고려대학교 대학원, 1983
7. 『최고운의 삶과 문학』, 이구의, 국학자료원, 1995
키워드
추천자료
조광조의 개혁과 그 실패요인
순자 사상의 개관
왕수인(王守仁)의 생애와 문제의식 및 사상
헨리 제임스
프뢰벨의 생애와 사상
노신의 사상과 문학세계
피카소의 게르니카
율곡 이이의 생애와 사상 연구
[연암 박지원][일야구도하기][방경각외전][허생전]연암 박지원의 생애, 연암 박지원의 사상과...
낭만주의음악가 바그너의 시대적 배경, 낭만주의음악가 바그너의 행적, 낭만주의음악가 바그...
[음악의이해]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 생애, 주변인물, 고전주의 음악, 작품, ...
[경제학] 케인즈 경제학의 시대적 배경과 그의 경제학 본질에 대해
역사를 바탕으로 한 영화의 흥행배경과 문제점,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을 중심으로
[마틴 루터 킹 Martin Luther King] 마틴 루터 킹 이전 상황, 마틴 루터 킹 생애, 마틴 루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