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적
2. 이론
3. 실험 장치
4. 실험 방법
2. 이론
3. 실험 장치
4. 실험 방법
본문내용
미터
4. 실험 방법
① 황동관의 처음 길이(L0)를 측정한다.
② 62p 그림 8.1.과 같이 장치를 설치한다. 황동관의 한 쪽은 증기 발생기와 연결하고, 다른 쪽은 고무호스를 연결하여 비커에 놓아둔다.
③나사를 돌려서 황동관을 고정시킨다.
④ 다이얼 게이지를 설치한다. 다이얼 게이지의 작은 시침 단위는 1mm이며 큰 시침의 단위는 0.01mm이다.
⑤증기발생기에 3/4의 물을 채우고, 나사를 단단히 채운다.
⑥ 황동관의 처음 온도(T0)를 측정하기 위하여 그림 8.1.과 같이 멀티미터를 이용하여 저항(R0)을 측정한다. 테이블에 표시되어 있는 표를 보고 온도로 변환한다. 멀티미터로 측정한 저항값이 테이블에 표시가 없을 시에는 저항과 온도의 비례관계를 이용하여 구한다.
⑦ 다이얼 게이지의 작은 포인터위치를 기록하고 큰 포인터는 0점에 맞춘다.
⑧ 다이얼 게이지의 포인터가 최고의 변화를 나타낼 때의 위치를 기록하고 동시에 저항(Rhot)을 측정한다.
⑨ 위의 식을 이용하여 선팽창계수(α)를 계산하여 결과표에 기록한다.
⑩ 황동관을 강철관, 알루미늄관으로 교체하여 위의 실험을 반복한다. 이때의 황동관은 뜨거워져 있으므로 충분히 식은 후에 교체하도록 한다.
4. 실험 방법
① 황동관의 처음 길이(L0)를 측정한다.
② 62p 그림 8.1.과 같이 장치를 설치한다. 황동관의 한 쪽은 증기 발생기와 연결하고, 다른 쪽은 고무호스를 연결하여 비커에 놓아둔다.
③나사를 돌려서 황동관을 고정시킨다.
④ 다이얼 게이지를 설치한다. 다이얼 게이지의 작은 시침 단위는 1mm이며 큰 시침의 단위는 0.01mm이다.
⑤증기발생기에 3/4의 물을 채우고, 나사를 단단히 채운다.
⑥ 황동관의 처음 온도(T0)를 측정하기 위하여 그림 8.1.과 같이 멀티미터를 이용하여 저항(R0)을 측정한다. 테이블에 표시되어 있는 표를 보고 온도로 변환한다. 멀티미터로 측정한 저항값이 테이블에 표시가 없을 시에는 저항과 온도의 비례관계를 이용하여 구한다.
⑦ 다이얼 게이지의 작은 포인터위치를 기록하고 큰 포인터는 0점에 맞춘다.
⑧ 다이얼 게이지의 포인터가 최고의 변화를 나타낼 때의 위치를 기록하고 동시에 저항(Rhot)을 측정한다.
⑨ 위의 식을 이용하여 선팽창계수(α)를 계산하여 결과표에 기록한다.
⑩ 황동관을 강철관, 알루미늄관으로 교체하여 위의 실험을 반복한다. 이때의 황동관은 뜨거워져 있으므로 충분히 식은 후에 교체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