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개발 레포트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시재개발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서론
도시재개발의 개념
도시재개발의 의의
도시재개발의 동기

본론
도시재개발사업의 연혁
도시재개발계획
도시재개발사업의 절차
도시재개발의 유형

결론
우리나라 도시재개발 사업의 주요내용
외국의 도시재개발 사례
도시재개발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본문내용

운드 가운데 63억파운드가 민간자본을 통해 확보하였으며, 이중 64%인 41억파 운드가 외국기업 자본으로 구성
ㄴ.주거지 개발
- 자족성 확보와 도시 내 각 기능의 완벽한 조화를 목표로 주거 레저 교육시설을 균형있게조성
- 지역적인 특성에 맞춰 주거지 계획 및 개발 : 도심과 가까운 워핑과 버몬시 리버사이드지역은 고풍스런 옛멋을 그대로 살린 고급주택지역, 업무밀집지역인 아일오브독지역에는 강가의 전원주택 지역, 도심과 멀고 땅이 넓은 벡턴지역은 중저가의 서민주택지역으로 각각 설정
- 81년부터 지금까지 약 1만9천9백여가구의 주택이 새로 건설됐으며 주로 단독 주택과 빌라형 주택으로 구성
- 81년 1만5천가구에 그쳤던 주택수가 3만3천9백여가구로 증가. 주민수도 개발착수당시 3만 9천5백여명에서 지금은 7만2천명으로 증가
- 플라트(Flat)라고 불리는 4-5층의 공동주택과 10층내외의 아파트도 건설돼 서민용이나 극빈자를 위한 임대용으로 주로 이용
ㄷ.교육시설
­ 37개의 초등 및 중등학교와 대학이 새로 건립되거나 증개축
ㄹ.기반시설
- 하수처리 : 벡턴지역 인근에 위치한 폐수처리장으로 보내 템즈워터오소리티에서 관리
⑫향후 발전 목표 및 시사점
- 이미 버몬시 리버사이드 벡턴의 개발권은 지자체로 넘어갔으며 워핑 서리독 라임하우스는올해, 아일오브독은 내년에 각각 이관될 예정
- 이곳을 지금은 주거.업무.상업기능이 균형을 이룬 성공한 재개발 도시로 만들어낸 영국정부의 체계적인 개발계획, 민자유치 프로그램, 제도적 지원, 인프라시설확충 등은 앞으로 계속적인 신도시건설이 불가피한 우리실정에 많은 것을 시사해주고 있음
<도클랜드 항공사진>
<도클랜드 전경>
<시 중심부 진입이 용이한 도로체계> <지역이동이 용이한 신교통시스템>
<원활한 교통흐름을 위한 roundabout> <보행자 중심 워터 프론트>
⑬ 신부도심 조성을 통한 런던 도심문제 해결과 지역경제 활성화
<은행등 업체 입주현황> <경전철역사 복합개발사례>
<진행중인 업체 입주>
⑭ 기존 역사자원의 재활용
<폐쇠된 항구를 새로운 도시의 매력요소로 활용><창고건물을 개조하여 주택으로 재이용>
⑮ 런던도심과의 원활한 연계를 위한 철도망 구축
<광역접근성을 위한 지하철 도입> <지역내 교통을 분담하는 경전철>
이용편익을 위한 공공 공간 조성
<중심가내 모든 건물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보행쾌적성과 편리성 증진을 위한 보행교>
조성된 지하 쇼핑몰>
10.도시재개발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문제점
-지금까지의 도시재개발사업은 상위계획에 입각한 일관성 있는 도시 개발 정책이라 기보다는 행정 편의 위주의 대책으로 시행된 경우가 많았다.
-도시재개발사업이 지구 단위의 미시적이고 물리적인 관점에서 시행됨으로써 도시 전체의 공간체계 또는 주변지역과의 연계성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으며, 재개 발구역 전체의 체계성 및 일관성을 상실하고 있다.
-지금까지 재개발구역의 지정은 당해 구역의 사회적경제적공간적 특성과 그 구역이 지닌 전통성을 무시하고 건물의 노후화와 과밀의 해소만을 목적으로 지정되어 왔을 뿐 아니라, 불량도의 측정을 위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못한 다. 더구나 도심재개발사업과 주택재개발사업의 차이도 모호한 상태에 있다.
-도심재개발사업의 경우, 토지이용의 고도화를 위해 고층의 업무상업기능 위주의 개 발사업이 추진됨으로써 기능의 과도한 편중 등 왜곡된 도시공간구조를 형성하여 교 통혼잡도심공동화도심환경의 획일화 등과 같은 도심문제를 더욱 더 심화 시키고 있다.
-현행 토지 등의 소유자에 대한 동의 제도가 재개발사업의 조속한 추진에는 도움이 되겠지만, 소규모 토지소유자의 의견이 경시되기 쉽다. 더구나 주민 참여가 사후적 참여에로 국한 되고 있을 뿐 구역의 지정 및 사업계획의 수립과정 등에서는 거의 배제되어 왔다.
-공공시설 설치의 경우 지방자치단체가 설치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부담하도록 되 어 있나, 실제로는 그러한 경우가 극히 드물어 시행자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재개발사업 후에 토지가격의 상승 및 이에 대한 기대심리로 투기행위가 조장되고 있으며, 제 3개발자가 시행자인 경우에는 개발이익이 편중될 소지가 크다.
-주택재개발사업의 경우 전매차익이 크고 건설단가가 낮은 대형주택을 선호하는 경 향이 크며, 이에 따라 경제적 능력이 부족한 현지 주민들의 재정착율이 매우 낮다.
-재정적 부담의 가중사업시행절차의 복잡성 등으로 인하여 재개발사업이 장기화될 소지가 크고, 철거 주민에 대한 안정적 수용대책이 결여되어 있다.
2)개선방향
-도시기본계획 - 도시계획 - 재개발기본계획 - 재개발사업계획 - 지구단위 개발 계획 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도시개발정책체계 속에서 거시적 정책목표 중간적 정책목 표 미시적 정책 목표가 유기적이고 일관성 있게 짜여지고 집행 될 수 있도록 추 진 되어야 한다.
-물적 기준뿐만 아니라 사회적 경제적 기준을 포함한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재개발 구역 선정기준의 설정이 필요하다. 동시에 도심재개발구역의 선정기준과 주택재개 발구역의 선정기준을 분리해야 할 것이다.
-도심재개발의 경우 주거기능의 확보를 의무화하며, 주거업무상업문화 등의 도시활 동이 조화될 수 있도록 복합용도개발을 추진하여야 한다.
-재개발사업의 수준 향상과 효율적 추진을 위해 주민과 전문가의 참여가 확대되어야 한다.
-금융지원의 확대와 정부역할의 강화가 요구된다. 특히 공익시설을 위한 재정적 지 원이 뒤따라야 한다. 앞으로는 민간주도형 또는 합동재개발방식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보여, 개발이익 중심의 사업시행과 개발이익의 편중에 대한 방지 및 주택 규모의 조정 등을 위한 정부의 역할이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다.
<자료출처>
[출처] (언론보도) 체증없는 ‘대중교통 천국’ 히로시마 |작성자 보거스
http://blog.naver.com/elf820707?Redirect=Log&logNo=120028601446
4정판 도시계획론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편저, 보성각
[출처] 2. 도클랜드 (Dockland)|작성자 시티헌터
http://blog.naver.com/6461min/140022952230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11.08.24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70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