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운몽에 있어 음악의 서사적기능, 음악적 공간의 역동성, 음악에 대한 정서의 생리적반응, 음악분석에 대한 비판적접근, 한국음악학의 역사, 심상유도 음악프로그램이 중년주부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운몽에 있어 음악의 서사적기능, 음악적 공간의 역동성, 음악에 대한 정서의 생리적반응, 음악분석에 대한 비판적접근, 한국음악학의 역사, 심상유도 음악프로그램이 중년주부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구운몽에 있어 음악의 서사적기능
1. 결연과 음악
2. 복선과 음악

Ⅱ. 음악적 공간의 역동성

Ⅲ. 음악에 대한 정서의 생리적반응
1. 뇌파 반응
2. 심장순환계 반응

Ⅳ. 음악분석에 대한 비판적접근
1. 분석의 성격과 역사
2. 형식주의적 분석의 한계

Ⅴ. 한국음악학의 역사

Ⅵ. 심상유도 음악프로그램이 중년주부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1. 심리치료로서의 GIM
2. GIM의 과정

참고문헌

본문내용

n musicology, 또는 musicology of Korea)과 한국에서의 음악학(musicology in Korea)은 의미상으로 다음과 같이 명백히 구분된다.
한국의 음악학을 뜻하는 한국음악학은 한반도에서 한국어를 쓰면서 민족문화의 기본 동질성(同質性)을 가진 한민족(韓民族)의 음악문화와 음악예술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분야이다. 시간의 종적(縱的) 측면, 곧 역사적 관점에서 전통음악을 위주로 연구하는 소위 국악학(國樂學)이 우선 한국음악학에 포함된다. 이와 동시에 한국음악학은 시간의 횡적(橫的) 측면, 즉 공시적 견지에서 우리 사회의 음악문제에 대한 연구를 포괄해야 하므로, 현재 국악(國樂)과 양악(洋樂)을 포함한 현 사회의 여러 음악문제가 모두 한국음악학의 연구영역에 들어간다.
한국에서의 음악학을 의미하는 한국음악학은 현재 한국에서 연구되는 서양음악과 관련된 문제에 대한 연구활동을 모두 포함해야 하기 때문에, 그 연구영역이 한국의 음악학보다 매우 광범위하다. 오늘날 음대 대학원의 석사학위논문 중 서양음악학 아류(亞流)의 연구주제, 예컨대 바흐(J. S. Bach 1685-1750)의 칸타타나 올간음악의 분석적 고찰, 또는 베토벤(L. von Beethoven 1770-1827)의 교향곡이나 피아노곡에 대한 분석연구라든지, 쇼팽(F. Chopin 1810-1849)의 피아노작품이나 브람스(J. Brahms 1833-1897)의 교향곡에 관한 연구 등과 같은 것들에 대한 연구성과가 비록 일반 교양인에게는 필요할지 몰라도 서양의 음악전문가들에게는 기초지식에 불과하지만, 그런 연구 모두가 한국에서의 음악학에 포함된다. 그러므로 한국음악학의 논의 때에는 한국의 음악학 만이 여기서 취급될 것이고, 한국에서의 음악학은 제외될 수밖에 없다.
서양음악학(西洋音樂學)이 서구(西歐) 여러 나라의 문화적역사적 맥락(脈絡) 속에서 태어났고 성장해왔듯이, 한국음악학(韓國音樂學)은 한민족(韓民族)의 역사와 문화 속에서 탄생하여 발전해갈 수밖에 없다. 서양음악학이나 한국음악학을 포괄하는 음악학이라는 학문이 인간의 삶과 동떨어질 수 없음은 누구를 위한 음악학인가라는 물음에 의해서 명백히 드러난다. 한국음악학의 연구영역은 한국에서의 음악학이 아니라 한국의 음악학이어야 하는 까닭이 바로 여기에 있다.
Ⅵ. 심상유도 음악프로그램이 중년주부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중년 주부의 우울증은 중년기의 여성에게 나타나는 정신위생상의 부정적인 감정이 범위를 벗어나 지나칠 정도로 나타나는 기분장애이다. 음악은 비언어적으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여 내면을 보다 깊이 경험하고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따라서 음악은 내면에 대한 확신과 믿음을 나타내는 자아존중감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며 분노와 적대감이 표출되도록 도와 우울증과 그 밖의 부정적인 정서를 순화시키고 자아를 확인하는 기회를 제공해 자아존중감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1. 심리치료로서의 GIM
GIM은 음악으로 이끌어진 심상을 통해서 자기를 발견하고 성찰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안내해 나가는 음악치료의 한 방법이다. 훈련을 받은 GIM치료사가 클라이언트의 치료목적에 부합되는 음악을 선정하고, 대상자는 음악으로 유도된 심상을 통해 자신의 문제점과 자기(self)를 찾을 수 있도록 인도된다. GIM세션에서의 음악은 클라이언트를 중요한 사건에 집중시키고, 음악의 특성들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이미지 형상을 발현시키도록 하는 의식의 교체상태를 경험하게 하며 감정이나 기억과 관련된 부분을 건드리는 비언어적인 매개체로, 해결되지 못한 분노나 두려움과 슬픔이 유동성을 가지고 나타나도록 돕는다. 특히 GIM은 깨어 있는 상황에서 꿈을 꾸는 듯한 경험으로 사람들로 하여금 그들의 내면의 세계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해주며 이것은 현재 삶의 이슈인 문제를 조명하거나 해결하도록 도와준다(Carol, 2001). 따라서 GIM은 초 의식적 영역에서의 경험들을 통해 내면의 갈등을 치료하는데 유용할 뿐 아니라 더 높은 의식 수준으로끌어올리는 수단으로 작용한다(Bonny, 1978b).
2. GIM의 과정
보통 한 시간 반에서 두 시간 정도 걸리는 GIM프로그램은 예비대화(목적설정), 긴장이완과 인덕션(Induction), 음악과 심상의 경험, 세션 후 통합(Integration)과정으로 진행되며 각 부분은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먼저 예비대화를 통해 치료사와 상담자 사이의 신뢰를 쌓고 상담자의 현재 감정 상태나 자신의 문제점들에 대한 목적을 설정하고 논의된 목적에 따라 적절한 음악프로그램과 긴장이완 방법의 유형을 선택한다. 인덕션은 새로운 의식수준으로의 문을 여는 단계로 몸의 긴장을 이완시켜 심상을 활성화하고 몸 전체로 음악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의식의 상태와 심상경험의 시작을 연결하는 중요한 다리역할을 하며 상담자의 상태와 목적에 따라 아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심층적 활동이 일어나는 음악과 심상의 경험단계는 깊이 이완된 상태에서 상담자는, 음악을 통하여 발생하는 여러 가지 심상들을 치료사에게 얘기하고 치료사는 상담자가 자신의 경험 속으로 더욱 몰입하도록 도와준다. 마지막 통합 과정(Integration)에서는 세션 중의 경험을 치료사와 대화를 통해 혹은 만다라를 그림으로써 말로 표현될 수 없는 특징들을 통합시키는 방법이 적용되며 상담자가 자신의 경험들을 자신과 연결시켜 그들 스스로 자아 치료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만다라’는 거룩함 혹은 마법의 원을 의미하는 것으로 Copony(1989)는 만다라를 영원을 나타내는 상징으로써 개인적인 투사, 태초의 우주적인 형상, 신성한 상으로 정의하였다.
참고문헌
◈ 김정순, 국민학교 4학년 음악교과의 통합적 접근을 위한 수업 방안 연구, 음악교육연구 제14집, 한국음악교육학회, 1995
◈ 서우석, 음악과 현상, 문학과 지성사, 1989
◈ 이홍수, 음악 교육의 현대적 접근, 서울 : 세광음악출판사, 1991
◈ 정세문, 음악과 학습지도, 창지사, 1986
◈ 최병철, 음악치료학, 서울 : 학지사, 1999
◈ J.L.Mursell, 한국음악교재연구회 역, 음악적 성장을 위한 교육, 세광음악출판사, 1989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8.2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71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