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역처분자가진단을 위한 전문가시스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2p

1.징병검사 관련 사회현상
2.알고리즘에 대한 주제선정이유

Ⅱ. 본론..................................................3p

1.문제정의
2.알고리즘
1)의사결정변수
2)제약조건
3)결과변수
3.예의 적용(도식화)

Ⅲ. 결론.................................................5p

1.알고리즘의 장단점
2.알고리즘의 개발의 필요성

본문내용

)의사결정 변수
신장
나이
자녀수
학력
성장과정
전신기형자 등 외관상 명백한 장애인
수형사실여부
BMI지수 체질량지수(BMI, kg/㎡), 체질량지수는 환자의 체중(kg)을 환자의 키(m)의 제곱으로 나누어 계산 된다.
ex)키 174, 몸무게 72kg 이면 72kg/ 1.74X1.74 = 23.78(소수점 둘째자리까지 계산)
전공상
출생성분
2)제약조건
병역면제
가능조건
만36세 이상의 나이
신장141이하인 사람
자녀수가 3인 이상인자
왜소증이 있는 사람, 척추변형이 심한 사람, 코가 없는 사람 또는 한쪽 이상의 귀가 없는 사람
발병한지 2년 이상이 경과한 난치의 정신장애나 정신지체로 인하여 보호자 또는 감시자가 있어야 하는 사람
말하지 못하는 사람, 듣지 못하는 사람 또는 앞을 못보는 사람(한쪽 눈이 보이지 아니하는 사람 포함)
사지의 마비 또는 단축으로 운동장애가 심한 사람
손가락 또는 발가락 중 3개 이상이 없는 사람
장애인 복지법에 의한 장애등급이 1급내지 6급인 사람
한센병(나병) 환자
군사분계선 이북지역에서 이주하여 온 사람
현역복무
가능조건
만19세 이상 36세 이하의 나이
신장159이상195미만과BMI지수 16~34.9이하의 수치
6월 미만의 실형 선고자 및 1년 미만의 집행유예 선고자
자녀수가 3인 미만인자
고아, 혼혈아, 귀화자, 탈북주민 성전환자가 아닌 사람
보충역복무가능조건
만 19세 이상 36세 이하의 나이
신장146이상158미만, 196이상 경우
신장159~195사이 BMI지수 16미만 또는 35이상의 경우
중졸이상학력
부모·배우자 또는 형제·자매 중 전몰군경 전몰군경 (戰歿軍警)- 적과 싸우다 죽은 군인이나 경찰.
·
순직군인 순직(殉職)군인- 직무를 다하다가 목숨을 잃은 군인
및 상이 장애를 입음
정도가 6급 이상인 전상군경· 전상군경- 전투 중 상이(장애)를 입은 군인이나 경찰
(해외 파병시 전투 중장애를 입었다면 현 시점에서 전상군경으로 등록됨)
공상 군경 공상군경- 공무수행 중 상이를 입은 군인이나 경찰
이 있는 경우의 1인
6월 이상 1년6월 미만 실형선고자 또는 1년 이상 수형자중 집행유예선고자
'74.12.31 이전 출생한자로서 부가 사망한 독자.
부모가60세 이상인 독자·
.2대 이상인 독자
제2국민역가능조건
신장141~145 경우 BMI지수 관련 없음
고아, 혼혈아, 귀화자, 탈북주민, 성전환자 (현역 조건 만족 시 본인의사에 따라 현역조정가능)
중졸 이하 학력
1년 6월 이상 실형선고자
3)결과변수
현역 징집·소집 및 지원 등에 의하여 상비군(常備軍)에 편입되어 실제로 군에 복무하는 일 또는 복무 중인 인원
(1~3급)
보충역 공익근무요원 또는 산업기능요원(방위산업체)
(4급)
제2국민역 제 2국민역은 군대에 가지 않고 민방위 훈련만 받게 되는 것
(5급)
병역면제(6급)
2.알고리즘
3.예의 적용
[입대를 계획 중인 A]
키가 174CM, 몸무게가 72KG인 신체 건강한 남성. 83년생으로 만 28세이다. 신체장애는 없으며 독자가 아닌 59년생 한국인 부모 밑에서 태어난 독자. 본인전과나 가족 중 전공상이 없으며 자녀가 없는 대학생.
STEP1. ④
→ Q1.~Q9 Yes
→ STEP2. ③
→ Q10~Q14 Yes
→ 유형A 현역 판정
Ⅲ. 결론
1. 알고리즘의 장·단점
저희 조는 아직 군대를 접해보지 못한 군미필자도 개인이 이미 알고 있는 자신의 신상정보만으로도 손쉽게 병역등급판정을 예측할 수 있게 의사결정변수를 설정하여 알고리즘의 접근성을 높였으며, 이러한 모형화 과정을 통해 막연하게만 느껴지는 병역판정결과를 사람들이 미리 테스트해 봄으로서 군미필자가 미리 자신에 맞는 군복무를 계획·설계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습니다.
▽ 알고리즘의 조건으로 본 ‘병역등급판정 자가진단 알고리즘’의 장·단점
장점
① 명확성: 각 연산들은 명확한 의미를 가져야 한다.
- 병역법에 근거한 객관적 병역처분기준을 바탕으로 제약식을 수립하여 알고리즘의 신뢰성을 가졌습니다.
② 시간의 효율성: 각 연산은 원칙적으로 일정한 시간 내에 사람이 간단히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 개인신상정보로 병역등급판정 자가진단을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목표로 하여 만족해를 쉽게 구하는 알고리즘을 만들었습니다.
③출력: 하나 이상의 결과가 나온다.
- 동영상에서의 예와 같이 반드시 하나의 해를 갖도록 구현하였습니다.
④ 최단시간의 종결성: 유한 번의 연산 후에는 끝나야 한다.
- 알고리즘의 참여자는 개인신상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의 등급 즉, 해를 도출하여 연산이 끝나도록 유한번의 제약식이 겹치거나 반복과정이 없도록 구현하였습니다.
단점
①단순화의 오류: 의사의 소견과 같은 외부 입력자료가 있을 수 있다.
- 의사의 소견이 필요한 각종 정신적, 신체적등 영역전문가의 지식이 기반이 되는 지식베이스영역에서의 변수는 예외로 가정함으로써 최적해가 아닌 만족해라는 단점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2. 알고리즘의 개발의 필요성
알고리즘은 문제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과정을 통해 사람들이 더 접근하여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장점과 의사결정을 하는 데에 있어서의 시간단축의 효과 그리고, 알고리즘을 통해서 생각하지 못했던 것, 사람이기에 실수 할 수밖에 없었던 부분들 까지 곱씹어 봄으로써 좀 더 과학적인 결과와 대다수가 만족 할 수 있는 만족해, 즉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알고리즘으로 구현 가능한 문제들은 기계에 의해 대체 될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장점들은 한정적인 자원에서 최대한의 이익, 즉 다수의 만족을 끌어내어야 하는 기업의 입장에서 비용을 줄이는데 매력적인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며, 반복적 작업과 알고리즘화가 쉬운 구조화된 업무적인 의사결정과 반구조화된 관리적인 의사결정에 효과적으로 사용 될 것입니다.
※ 참고문헌
-징병검사 신상명세서
-징병신체검사 등 검사규칙
-신장·체중에 따른 신체등위의 판정기준(제10조제1항 관련)(개정2009.1.28)
-질병·심신장애의 정도 및 평가기준(제11조·제20조 및 제21조 관련)
<개정 2010.2.17>
부록
【질문자명단】
성명
학과
학번
질문내용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8.25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74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