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외환보유액의 의의와 역할 3
2. 외환보유액 증감 사유 6
3. 최근 외환보유액 동향 8
4. 외환보유액 적정수준에 대한 논의 11
2. 외환보유액 증감 사유 6
3. 최근 외환보유액 동향 8
4. 외환보유액 적정수준에 대한 논의 11
본문내용
외환보유액의 정의
□ IMF는 외환보유액을 교환성이 있고 유동성과 시장성이 높은
자산(liquid or marketable assets)으로서
통화당국인 중앙은행과 정부(외국환평형기금)가 언제든지 사용할
(readily availiable) 수 있는 대외외화 금융자산으로 정의
< IMF(2001.9), International Reserves and Foreign Currency Liquidity Guidelines >
외환보유액에 포함되는 자산 예시
o 미달러화, 유로화 및 일본 엔화와 같이 국제적으로 널리 통용
되는 선진국 통화표시 자산
o 국제금융시장에서 언제든지 쉽게 현금으로 바꾸어 쓸 수 있는
외화자산 (투자부적격채권과 해외부동산 등은 제외)
o 국내 기업 및 금융기관의 해외법인 등을 제외한 비거주자에 대한
외화표시 청구권 (국내은행 해외점포에 대한 외화예치금, 거주자의
해외법인 발행증권 등은 제외)
o 실물자산을 제외한 외화표시 금융자산 (화폐용 금만 포함)
□ IMF는 외환보유액을 교환성이 있고 유동성과 시장성이 높은
자산(liquid or marketable assets)으로서
통화당국인 중앙은행과 정부(외국환평형기금)가 언제든지 사용할
(readily availiable) 수 있는 대외외화 금융자산으로 정의
< IMF(2001.9), International Reserves and Foreign Currency Liquidity Guidelines >
외환보유액에 포함되는 자산 예시
o 미달러화, 유로화 및 일본 엔화와 같이 국제적으로 널리 통용
되는 선진국 통화표시 자산
o 국제금융시장에서 언제든지 쉽게 현금으로 바꾸어 쓸 수 있는
외화자산 (투자부적격채권과 해외부동산 등은 제외)
o 국내 기업 및 금융기관의 해외법인 등을 제외한 비거주자에 대한
외화표시 청구권 (국내은행 해외점포에 대한 외화예치금, 거주자의
해외법인 발행증권 등은 제외)
o 실물자산을 제외한 외화표시 금융자산 (화폐용 금만 포함)
추천자료
[사회과학] 환율하락과 한국산업 관계 분석
원화 강세와 거시경제정책의 수립
위엔화(위안화)절상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환율변동이 수출(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
외국인 직접투자의 국내 유치가 한국 경제에 가져다 줄 영향에 관한 조사
경제학- 최근 한국의 경기 상황 진단 및 전망(경제변동론)
[환율제도] 정의, 특징, 문제점 (고정환율제도, 단일변동환율제, 복수통화바스켓제도, 시장평...
[한국경제][한국경제위기][한국경제개혁][경제체제]한국경제위기의 원인, 한국경제의 동향, ...
[IMF][IMF경제위기][IMF외환위기][IMF금융위기]경제위기(IMF외환위기)의 배경, 경제위기(IMF...
[금융기관][금융정책][금리][지식경영]금융기관의 유형, 금융기관의 주요업무, 금융기관의 현...
위엔화 절상
[한국금융, 외환위기, 중소기업, 증권시장, 통화정책금융]한국금융과 외환위기, 한국금융과 ...
[국제수지][국제][수지]국제수지의 분류, 국제수지의 소득효과, 국제수지의 외국인투자(외국...
[금융 시장론] 국내외 금융기관의 구조조정 사례 및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