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한 기업문화와 기업체성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강한 기업문화와 기업체성과

Ⅰ. 강한 기업문화의 개념

1. 공식화된 공유가치체계
2. 규범화, 체질화된 행동패턴
3. 기업문화의 지속성

Ⅱ. 강한 기업문화의 역효과

Ⅲ. 실증적 연구결과

본문내용

산업의 207개 기업체를 대
상으로 기업문화의 강도와 기업의 장기성과간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기업문화
의 강도는 (1) 기본가치의 공식화 및 의식화 정도, (2) 기본가치가 기업경영에
반영되고 있는 정도 그리고 (3) 기업문화가 경쟁업체들에게 널리 잘 알려져 있
는 정도 등을 기준으로 5점 척도에 의하여 측정되었고, 기업체성과는 1970년
대와 1980년대의 연평균 시장가치 증가율과 연평균 순이익 증가율 그리고 연
평균 투자이익률에 의하여 측정되었다. 그 결과 기업문화의 강도는 기업체의
시장가치 증가율이 0.26 순이익 증가율이 0.42 그리고 투자이익률이 0.30의
상관관계를 각각 나타냈다.
IBM, HP, Wal-Mart, Anheuser-Bush(맥주회사) 등이 강한 기업문화와 높은
기업성과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대표적인 예이나, 그 반면에 GM, J. C.
Penney(백화점) Sears Roebuck(백화점) Goodyear Tire등이 강한 기업문화에도
불구하고 낮은 성과를 보인 대표적인 기업체들이다. 이들은 대체로 한때는 높
은 성과를 올렸지만, 과거의 성공적인 기업경영을 통하여 강하게 정착된 기업
문화 속에서 안주하다가 강한 기업문화가 경직된 기업문화로 변하고 환경 변화
에 무감각해지면서 기업의 기본사명과 구심점을 잃게 되어 결국 기업성과도
저조해진 기업체들이다. 그리고 약한 기업문화에도 불구하고 성과지표에는 높
게 나타난 기업체에는 McGraw-Hill(출판), Smith Kline(제약), Pitney Bowes(사
무기기) 등이 속해 있는데, 이들은 고성장 기업체의 인수전략이나 특정 제품시
장의 독점적 위치 등 특수한 외적 요인에 의하여 높은 기업성과를 달성한 기업
체 들이다. 따라서 이들 기업체의 성과만을 중심으로 약한 기업문화가 높은 기
업체성과의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는 없다.
전체적으로 볼 때, 코터와 헤스켓의 연구결과는 강한 기업문화와 기업체
성과간의 관계를 입증하고는 있지만, 그 관계는 성과지표에 따라서 0.26-0.42
정도의 상관관계로서 아주 높지도 않고 아주 낮지도 않은 중간정도의 관계라
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강한 기업문화가 반드시 높은 기업체성과를 가져온다고
는 할 수 없지만, 강한 기업문화는 높은 기업성과의 중요한 요건이라는 결론은
내릴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강한 기업문화는 높은 기업성과의 필수조건은 되
지만 충분조건이 된다고는 할 수 없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8.29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83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