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고객중심전략
Ⅰ. 서비스 개선 프로그램
Ⅱ. 고객중심의 성장전략
Ⅲ. 고객유지전략 - 관계마케팅, 데이터베이스마케팅
-> 관계 마케팅
->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Ⅳ. 틈새시장
Ⅰ. 서비스 개선 프로그램
Ⅱ. 고객중심의 성장전략
Ⅲ. 고객유지전략 - 관계마케팅, 데이터베이스마케팅
-> 관계 마케팅
->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Ⅳ. 틈새시장
본문내용
리 간단한 일이 아니다-DB에 축적되는 개별데이터는 한번에 발생되지
않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순차적으로 생성된다. 또한 발생한 수많은 데이터 중에
서 유용한 데이터를 선별하여 축적하고 분석하기 위해서는 부단한 노력과 시행
착오가 따르게 된다. 따라서 한번 구축된 DB 및 이를 이용하여 획득된 경쟁우위
는 쉽게 모방되기 힘들다.
(4) 틈새시장 (niche market)
틈새시장이란 영어의 'Niche를 우리말로 표현한 것으로, 니치(niche)란 (1)'상
(像)이나 꽃병 등을 안전하게 두기 위하여 벽을 움푹 들어가게 한 곳'으로 벽감
(壁翁)이라 하고; (2)사람이나 사물에게 가장 적합한 장소, 고용, 지위 또는 활동
을 의미하기도 하며; (3)특화시장(specialized market) 등의 의미도 갖는다. 마케
팅에서는 시장세분화를 통해 자기 기업의 제품에 알맞은 시장, 즉 '아직 다른 기
업들이 관심을 두지 않고 있어 경쟁이 없는 안전한 시장'을 틈새시장이라 하고,
이를 표적시장으로 찾게 된다.
이는 대기업들이 규모의 경제 때문에 눈을 돌리지 못하고 있는 시장으로 초점
화전략(Focus strategy)U)의 대상이며, 이를 들새시장 또는 적소(適所) 시장이라
고도 한다. 대부분의 신생기업이나 중소기업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먼저 이러한
틈새시장을 찾아 그곳을 집중적으로 공략함으로써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게 된다.
성공적인 우량기업은 제품/서비스를 신속히 시장에 내놓고 신속히 평가하며,
이의 피드백 정보는 다음 제품설계에서 구체화된다. 신 모델이 나오면 기존 모델
에 대한 시장과 신 모델에 대한 시장이 나누어진다. 골드먼(Goldman) 등(1994)은
이를 "틈새 속의 틈새"(niches within niches)를 표적으로 하는 시장세분화
(market segmentation)의 새로운 차원으로 본다.
소니(Sony)와 미쯔비시(Mitsubishi)는 신제품을 도입하면서 동시에 그 제품의
황혼일(sunset date), 즉 다른 제품에 의해 교체될 시기를 설정한다. 그리고 대체
제품의 개발에 착수한다. 이들 제품은 기존재품의 개선, 부산물, 완전히 새로운
것 등으로 분류된다. 제품이 시장에서 철수되면, 세 가지의 새로운 제품이 도입된
다. 파나소닉(Panasonic)은 90일을 주기로 신 모델을 내놓고, 이에 따라 고객들에
게는 선택의 폭이 넓혀져 왔고, 각각의 모델에 대한 시장이 존재하게 된다.
않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순차적으로 생성된다. 또한 발생한 수많은 데이터 중에
서 유용한 데이터를 선별하여 축적하고 분석하기 위해서는 부단한 노력과 시행
착오가 따르게 된다. 따라서 한번 구축된 DB 및 이를 이용하여 획득된 경쟁우위
는 쉽게 모방되기 힘들다.
(4) 틈새시장 (niche market)
틈새시장이란 영어의 'Niche를 우리말로 표현한 것으로, 니치(niche)란 (1)'상
(像)이나 꽃병 등을 안전하게 두기 위하여 벽을 움푹 들어가게 한 곳'으로 벽감
(壁翁)이라 하고; (2)사람이나 사물에게 가장 적합한 장소, 고용, 지위 또는 활동
을 의미하기도 하며; (3)특화시장(specialized market) 등의 의미도 갖는다. 마케
팅에서는 시장세분화를 통해 자기 기업의 제품에 알맞은 시장, 즉 '아직 다른 기
업들이 관심을 두지 않고 있어 경쟁이 없는 안전한 시장'을 틈새시장이라 하고,
이를 표적시장으로 찾게 된다.
이는 대기업들이 규모의 경제 때문에 눈을 돌리지 못하고 있는 시장으로 초점
화전략(Focus strategy)U)의 대상이며, 이를 들새시장 또는 적소(適所) 시장이라
고도 한다. 대부분의 신생기업이나 중소기업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먼저 이러한
틈새시장을 찾아 그곳을 집중적으로 공략함으로써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게 된다.
성공적인 우량기업은 제품/서비스를 신속히 시장에 내놓고 신속히 평가하며,
이의 피드백 정보는 다음 제품설계에서 구체화된다. 신 모델이 나오면 기존 모델
에 대한 시장과 신 모델에 대한 시장이 나누어진다. 골드먼(Goldman) 등(1994)은
이를 "틈새 속의 틈새"(niches within niches)를 표적으로 하는 시장세분화
(market segmentation)의 새로운 차원으로 본다.
소니(Sony)와 미쯔비시(Mitsubishi)는 신제품을 도입하면서 동시에 그 제품의
황혼일(sunset date), 즉 다른 제품에 의해 교체될 시기를 설정한다. 그리고 대체
제품의 개발에 착수한다. 이들 제품은 기존재품의 개선, 부산물, 완전히 새로운
것 등으로 분류된다. 제품이 시장에서 철수되면, 세 가지의 새로운 제품이 도입된
다. 파나소닉(Panasonic)은 90일을 주기로 신 모델을 내놓고, 이에 따라 고객들에
게는 선택의 폭이 넓혀져 왔고, 각각의 모델에 대한 시장이 존재하게 된다.